목차
과제명]
1. 맥류의 파성을 설명하시오. (20점)
2. 콩의 신육형과 생육특성을 설명하시오. (10점)
3. 옥수수의 잡종강세와 효율적인 육종방법을 설명하시오. (20점)
목차
서론
본론
1. 맥류의 파성을 설명하시오. (20점)
2. 콩의 신육형과 생육특성을 설명하시오. (10점)
3. 옥수수의 잡종강세와 효율적인 육종방법을 설명하시오. (20점)
결론
참고문헌
1. 맥류의 파성을 설명하시오. (20점)
2. 콩의 신육형과 생육특성을 설명하시오. (10점)
3. 옥수수의 잡종강세와 효율적인 육종방법을 설명하시오. (20점)
목차
서론
본론
1. 맥류의 파성을 설명하시오. (20점)
2. 콩의 신육형과 생육특성을 설명하시오. (10점)
3. 옥수수의 잡종강세와 효율적인 육종방법을 설명하시오. (20점)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생육이 불량한 잡종약세를 보이기도 한다. 잡종강세는 잡종 제1대(F₁)에서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잡종 세대가 거듭될수록 점차 강세의 정도가 감소하는 것이다. 옥수수는 타화수정을 하기 때문에 자연 상태에서는 유전적으로 잡박해지기 쉽다. 반면 암꽃과 수꽃이 따로 있고, 꽃가루가 풍부하며, 암이삭 하나에 낟알이 많이 달리는 특성이 있어 다른 품종과 교잡시키기 쉬운 까닭에 잡종강세를 이용하는 교잡종이 크게 발달했다.
잡종강세로 인해 활력, 크기, 알곡충실도, 생육발달속도, 병저항성, 환경저항성 등이 향상되는 것을 볼 수 있다. 효율적인 육종방법으로는 1대교잡종품종을 섞는 하이브리드를 생산해내는 것인데 우수한 특성을 지닌 옥수수 개체나 계통을 선택하여 자가수분시켜 자식 계통을 만드는 방법이 있다. 또한 합성품종이 가장 좋은 방식이라고 생각할 수 있는데, 각각의 조합에서 얻은 종자를 심고 평가한 뒤 우수한 교잡종을 선발하는 것으로 장점은 종자 생산이 쉽고 지역적응성이 우수하지만 단점은 개체간 균일성이 떨어지고 잡종 강세의 발현이 낮다는 것이다.
특히 유전자의 수가 많으면, 한정된 수의 염색체상에 그것들이 연쇄해 있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유리한 유전자만을 한쪽 유전자형에 모으는 일은 더욱 어렵다. 이와 같이 유리한 유전자와 불리한 유전자 모두를 가진 양친 간의 교잡에서는 F₁이 헤테로상태가 되어 서로 한쪽 어버이에게서 온 불리한 열성유전자의 표현이 다른쪽의 유리한 우성 대립유전자에 의해 방해될 확률이 높아진다.
2) 효율적인 육종방법
세계적으로 옥수수는 약 10억톤 정도 생산되고 세계 평균 단위 면적 당 약 5.6 톤/ha의 높은 생산성을 가지고 있다. 옥수수의 생산지를 보면 주로 50% 이상이 미국, 중국, 브라질 등에서 생산되고 있고(FAOSTAT 2014), 주로 돼지, 가금류 등 가축사료로 이용되는 것이 45%로 가장 많으며 그 다음으로 바이오에탄올 44%, 그 외 식량, 종자, 산업 등에 12% 정도가 이용된다(USDA ERS 2015). 옥수수 육종은 하이브리드 육종방식이 도입되면서 빠르게 변화되어 왔다. 현대 육종방식이 도입되기 이전에는 농업인들이 자신의 옥수수 농장에서 좋은이삭을 선발하여 이듬해 종자로 사용하는 집단선발 방식으로 옥수수 형질을 개량하여 왔으며 이 시기에는 대부분이 방임수분품종이었다
옥수수 1대잡종품종을 개발할 경우, 단순한 두 부모에서 얻은 단교잡종이 잡종강세가 높기 때문에, 균일도가 우수하고 수량성이 많으면서 교잡시키기 용이하여 가장 일반적으로 이용된다. 우리나라에서는 1970년대 후반부터 농가에서 교잡종 옥수수를 심기 시작하여 단위 면적당 생산량이 크게 향상되었는데 이를 벼에 이어 제2의 녹색혁명이라 부르기도 했다. 옥수수와 같이 잡종강세가 크게 나타나는 작물은 자화수분이 계속되면 수량이 급격히 떨어지면서 유전적으로 순수한 자식계통이 되는데, 이와 같이 수량이 떨어진 자식계통끼리 교잡하면 잡종강세 현상이 다시 크게 나타난다.
(1) 합성품종
합성품종(synthetic variety)의 초기과정은 1대교잡종품종 육성과 유사하다. 즉, 먼저 자식계통들을 만든 뒤 상호 간에 차례로 조합을 짜서 인위적으로 교잡시킨다. 각각의 조합에서 얻은 종자(hybrid)를 심고 평가한 뒤 우수한 교잡종을 선발한다. 우수한 잡종들의 부모를 확인하고 특성이 서로 다른 우수 부모계통을 섞어서 심는다.
(2) 방임수분품종
방임수분품종(open pollinated variety)은 일반 농가에서 유지해 오는 재래종 품종들이다. 전년도에 골라 낸 이삭들을 밭에 섞어 심고 불량한 형질의 개체는 도태시킨다. 이후 자연상태에서 상호교잡에 의해 맺히는 이삭 중 일부를 선발하여 다음 해 종자로 사용한다. 옥수수는 자가수정을 계속하면 식물체가 작아지는 자식약세현상이 생기지만, 타가수분에 의한 잡종강세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나므로, 1대교잡종품종이 주류를 이루고 합성품종은 극히 일부에 해당한다.
결론
최근 옥수수는 가축의 사료로도 널리 쓰이고 재생에너지의 원료로도 활용되는 귀중한 작물이다. 세계가 전쟁과 기후변화로 인해 식량 보급이 원활하지 않은 지금의 현실에서 보면 척박한 지역에서도 싹을 틔우고 인류의 배고픔을 해결한 공로가 있다. 특히 남미 지역의 경우 옥수수가 주식이고 척박한 잉카의 산악 지역에서도 잘 자라고 탄수화물과 유용한 영양소들을 다수 함유한 귀중한 식재료라 할 수 있다.
[참고문헌]
- 류수노 외(2017) 식용작물학 II.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문화원.
잡종강세로 인해 활력, 크기, 알곡충실도, 생육발달속도, 병저항성, 환경저항성 등이 향상되는 것을 볼 수 있다. 효율적인 육종방법으로는 1대교잡종품종을 섞는 하이브리드를 생산해내는 것인데 우수한 특성을 지닌 옥수수 개체나 계통을 선택하여 자가수분시켜 자식 계통을 만드는 방법이 있다. 또한 합성품종이 가장 좋은 방식이라고 생각할 수 있는데, 각각의 조합에서 얻은 종자를 심고 평가한 뒤 우수한 교잡종을 선발하는 것으로 장점은 종자 생산이 쉽고 지역적응성이 우수하지만 단점은 개체간 균일성이 떨어지고 잡종 강세의 발현이 낮다는 것이다.
특히 유전자의 수가 많으면, 한정된 수의 염색체상에 그것들이 연쇄해 있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유리한 유전자만을 한쪽 유전자형에 모으는 일은 더욱 어렵다. 이와 같이 유리한 유전자와 불리한 유전자 모두를 가진 양친 간의 교잡에서는 F₁이 헤테로상태가 되어 서로 한쪽 어버이에게서 온 불리한 열성유전자의 표현이 다른쪽의 유리한 우성 대립유전자에 의해 방해될 확률이 높아진다.
2) 효율적인 육종방법
세계적으로 옥수수는 약 10억톤 정도 생산되고 세계 평균 단위 면적 당 약 5.6 톤/ha의 높은 생산성을 가지고 있다. 옥수수의 생산지를 보면 주로 50% 이상이 미국, 중국, 브라질 등에서 생산되고 있고(FAOSTAT 2014), 주로 돼지, 가금류 등 가축사료로 이용되는 것이 45%로 가장 많으며 그 다음으로 바이오에탄올 44%, 그 외 식량, 종자, 산업 등에 12% 정도가 이용된다(USDA ERS 2015). 옥수수 육종은 하이브리드 육종방식이 도입되면서 빠르게 변화되어 왔다. 현대 육종방식이 도입되기 이전에는 농업인들이 자신의 옥수수 농장에서 좋은이삭을 선발하여 이듬해 종자로 사용하는 집단선발 방식으로 옥수수 형질을 개량하여 왔으며 이 시기에는 대부분이 방임수분품종이었다
옥수수 1대잡종품종을 개발할 경우, 단순한 두 부모에서 얻은 단교잡종이 잡종강세가 높기 때문에, 균일도가 우수하고 수량성이 많으면서 교잡시키기 용이하여 가장 일반적으로 이용된다. 우리나라에서는 1970년대 후반부터 농가에서 교잡종 옥수수를 심기 시작하여 단위 면적당 생산량이 크게 향상되었는데 이를 벼에 이어 제2의 녹색혁명이라 부르기도 했다. 옥수수와 같이 잡종강세가 크게 나타나는 작물은 자화수분이 계속되면 수량이 급격히 떨어지면서 유전적으로 순수한 자식계통이 되는데, 이와 같이 수량이 떨어진 자식계통끼리 교잡하면 잡종강세 현상이 다시 크게 나타난다.
(1) 합성품종
합성품종(synthetic variety)의 초기과정은 1대교잡종품종 육성과 유사하다. 즉, 먼저 자식계통들을 만든 뒤 상호 간에 차례로 조합을 짜서 인위적으로 교잡시킨다. 각각의 조합에서 얻은 종자(hybrid)를 심고 평가한 뒤 우수한 교잡종을 선발한다. 우수한 잡종들의 부모를 확인하고 특성이 서로 다른 우수 부모계통을 섞어서 심는다.
(2) 방임수분품종
방임수분품종(open pollinated variety)은 일반 농가에서 유지해 오는 재래종 품종들이다. 전년도에 골라 낸 이삭들을 밭에 섞어 심고 불량한 형질의 개체는 도태시킨다. 이후 자연상태에서 상호교잡에 의해 맺히는 이삭 중 일부를 선발하여 다음 해 종자로 사용한다. 옥수수는 자가수정을 계속하면 식물체가 작아지는 자식약세현상이 생기지만, 타가수분에 의한 잡종강세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나므로, 1대교잡종품종이 주류를 이루고 합성품종은 극히 일부에 해당한다.
결론
최근 옥수수는 가축의 사료로도 널리 쓰이고 재생에너지의 원료로도 활용되는 귀중한 작물이다. 세계가 전쟁과 기후변화로 인해 식량 보급이 원활하지 않은 지금의 현실에서 보면 척박한 지역에서도 싹을 틔우고 인류의 배고픔을 해결한 공로가 있다. 특히 남미 지역의 경우 옥수수가 주식이고 척박한 잉카의 산악 지역에서도 잘 자라고 탄수화물과 유용한 영양소들을 다수 함유한 귀중한 식재료라 할 수 있다.
[참고문헌]
- 류수노 외(2017) 식용작물학 II.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문화원.
추천자료
식용작물학, E형 : 콩의 용도별 특성을 비교하고 최근 육성된 품종의 특성을 조사 하시오.
식용작물학2)고구마의 수확 후 관리의 중요성과 저장방법을 구체적으로 조사 설명하시오.
[전학과] 식용작물학2)밀가루 품질의 중요성과 밀가루 종류별 이용방법을 설명하시오
식용작물학2B ) 감자의 수확 후 관리의 중요성과 저장방법을 구체적으로 조사 설명하시오
식용작물학2B형 2021) 콩은 질소비료를 적게 주어도 충분한 생육이 가능하다 식용작물학2B형 ...
식용작물학2C형 2021] 감자의 수확 후 관리의 중요성과 저장방법을 구체적으로 조사 설명하시...
[방송통신대학교 2019학년도 1학기 중간과제물] 식용작물학2(C형) 감자의 수확 후 관리의 중...
(2022년 방송통신대 식용작물학2 기말과제물)맥류의 파성을 설명하시오 콩의 신육형과 생육특...
2022 식용작물학2 REPORT 기말- 맥류파성,콩의 신육형, 생육특성, 옥수수의 육종방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