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기 기억발달] 학령기 아동의 기억발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아동기 기억발달] 학령기 아동의 기억발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I. 기억의 종류
1. 단기기억
2. 장기기억

II. 기억책략
1. 반복시연
2. 정교화
3. 조직화

III. 상위기억

IV. 학교수업에서의 정보처리접근
1. 읽기 학습
2. 산수 학습

* 참고문헌

본문내용

uage approach)을 주장하는 심리학자나 교육학자들은 읽기를 시작하는 아동에게 완전한 문장 형태인 이야기나 시, 편지 등으로 학습해야 된다는 것이다. 의미 있는 문장을 읽는 연습을 하게 되면서 아동들은 글자에 대한 동기화가 쉽게 이루어진다고 보았다. 그러므로 유아 그림책은 아동의 언어 경험을 확장하고 촉진시키기 위해 좋은 언어교육 자료이며 확실한 문해자원이다(이경우, 1996). 반면, 기초기술접근(basic-skills approach)에서는 자음이나 모음이 어떻게 소리로 읽게 되는 가를 습득하면 점차 복잡한 문장을 읽게 된다고 간주한다. 이 두 가지 접근 중 어느 것이 더 나은 가는 밝혀지지 않았으며 두 방법을 혼합시켰을 때 읽기 학습에 효과적이라는 결론을 얻은 연구는 있다(Berk, 1996).
한글은 자음과 모음을 일렬로 배열하지 않고 2-4개의 자모를 묶어 음절단위로 배열하는 모아쓰기의 표기체계를 갖추고 있다. 음절 단위가 곧 글자가 된다. 그러므로 아동이 읽을 수 있다는 것은 \"한 글자는 한 소리로 발음되고\" \"한 글자는 언제나 같은 소리로 발음된다.\"는 것을 인지한다는 의미이다. 글자-음절 대응으로 글을 읽는 \"글자읽기\" 단계와 시기를 밝힌 연구(윤혜경, 1997)를 통해 한글획득의 순서를 두가지로 추론하였다. 첫째, 음절인식은 글자에 접하지 않아도 가능하다. 글자에 접하면서 한 글자는 한 음절로 발음된다는 것을 터득할 것이다. 둘째, 문자에 접하는 것이 글자인식에 필수적이며 자신의 이름 글자의 발음 항상성이 가장 빠르다는 것이다. 가정의 문해 환경 즉 아동에게 책을 읽어 준다든지 읽기 쓰기에 대한 부모의 신념 등이 아동의 읽기와 쓰기발달에 영향을 준다는 것(이문옥, 1997)은 명백하다.
(2) 산수 학습
아동이 초등학교에 들어가면 더하기, 빼기, 곱하기, 나누기 등의 산수 학습에 많은 시간을 보낸다. 종래의 연구에서는 아동에게 산수과제가 주어지면 기존으로 갖고 있던 셈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답을 구한다. 그러나 아동들은 기초개념이 불명확하므로 다음과 같은 틀린 답을 제시하는 것이다.
538 - 254 = 324
6001 - 4227 = 1224
왼쪽의 예를 각 칼럼에서 무조건 큰 수에서 작은 수를 맨 것이다. 오른쪽의 틀린 답은 밑의 숫자가 작을 때는 한 자리 왼쪽에서 빌려 온다는 것을 알고 있는 아동이 %의 숫자에는 그대로 2로 답해 버린 경우이다.
아시아 나라의 아동들이 산수를 잘하는 것에 대한 그 이유를 찾는 연구들(Stigler & Fernander, 1995; Sterenson, 1995)이 있다. 물론 아시아 문화권에서는 산수과목에 대한 중요도 인식이 높아 많은 시간을 투자하기도 한다. 그 외의 두 가지 이유를 들었다. 첫째 십진법으로 숫자를 읽는다. 12인 경우 십이, 13이떤 십삼으로 읽기 때문에 쉽고, 둘째 발음할 때 짧아 장기 기억에의 저장이 용이하기 때문이다(Berk, 1996). 그러나 우리나라 아동은 수 단어 획득시 오류분석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것은 이중구조의 수 단어 체계, 즉 고유 수 단어인 하나, 둘, 셋‥‥과 한자 수 단어 일, 이, 삼‥‥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이다(흥혜경, 1995).
* 참고문헌
인간발달 / 박성연, 백지숙 저 / 파워북 / 2011
아동발달 / 이항재 저 / 교육과학사 / 2004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아동심리학 / 김경희 저 / 박영사 / 2005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키워드

개념,   정의,   특징,   특성,   기억,   아동,   정보,   발달
  • 가격2,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22.06.02
  • 저작시기2022.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6991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