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아버지의 역할
II. 아버지와 자녀의 성장발달
1. 사회성 발달과 성역할
2. 인지발달과 학업성적
3. 도덕성 발달
III. 부성실조
* 참고문헌
II. 아버지와 자녀의 성장발달
1. 사회성 발달과 성역할
2. 인지발달과 학업성적
3. 도덕성 발달
III. 부성실조
* 참고문헌
본문내용
다(Biller, 1993). 자녀양육에서 바람직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아버지를 가진 아동은 그 태도를 동일시하려 하며 내적인 도덕성 발달의 근거를 마련하기 때문이다. 아버지가 자녀양육에 능동적으로 참여할 때, 또 아버지가 애정 중심적 훈육을 할 때 체벌 중심적 훈육을 할 때보다 자녀는 올바른 도덕 적 관념을 갖는다.
도덕성은 비행과 관련시킬 수 있다. 이때 사회적으로 바람직하지 않은 행동은 낮은 도덕성의 표출로 보게 된다. 아버지의 태도가 반사회적이며 냉담하고 적대적일 때 자녀는 여러 비행을 보인다. 비행아동들은 대개 그들의 부모에 대해 부정적 태도를 가지고 있었고, 특히 아버지에 대해 아들이 심한 부정적 태도를 가지고 있어 정상집단과 현격한 차이를 보였다. 또 이들은 권위적인 대상에 대해 불신과 거부를 나타내는데 특히 아버지의 거부와 무시에 대해 심한 반발을 보이고 있었다.
III. 부성실조
부성실조(Parental deprivation)의 주요 원인에는 아버지 가 사망하거나 어머니와의 이혼 또는 별거 등이 있다. 또한 아버지가 한 가정 내에서 물리적으로는 존재하나 아버지로서의 역할을 다하지 못할 때(technically present yet functionally absent) 부성실조라는 환경으로 간주된다. 이러한 아버지들은 지나치게 아버지의 권위를 내세워 물리적 접촉시간을 갖지 못하고 자녀와 심리적 교류가 가능하지 않다.
부성실조의 원인이 어디에 있던 간에 이 결손환경은 자녀의 성장발달에 바람직하지 않다는 가정 하에 연구되어 왔다(Biller, 1995). 그 결과 대체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리고 있다. 자녀들은 남성다움을 동일시 할 수 있는 대상의 부재 또는 왜곡된 대상으로 인해 남자의 성역할 습득을 올바르게 할 수 없다. 아버지는 사회규범의 전달자이기 때문에 부성실조 환경은 자녀의 중지 못한 사회적 행위를 야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모호한 도덕적 판단기준을 지니게 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아버지로부터 받아야 하는 논리적이고 이성적 자극의 결핍은 자녀에게 높은 지적 성취 욕구를 기대할 수 없다.
사회의 변화는 자녀에 대한 부모 각자의 역할에 대한 확실한 구분도 없고 남성다운 남아, 여성다운 여아로 키울 필요가 없다는 결론에 도달하였다. 이러한 시각에서는 부성실조가 아동의 성역할의 발달에 저해요인이 아닐 것이다(Schaffer, 1990). 아버지의 부재 자체가 문제가 되는 것이 아니라 어머니 혼자서 자녀를 키울 때 심리적 지지를 받을 수 없다는 사실이 중요하게 작용할 것이다(Lamb, 1995).
* 참고문헌
인간발달 / 박성연, 백지숙 저 / 파워북 / 2011
아동발달 / 이항재 저 / 교육과학사 / 2004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아동심리학 / 김경희 저 / 박영사 / 2005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도덕성은 비행과 관련시킬 수 있다. 이때 사회적으로 바람직하지 않은 행동은 낮은 도덕성의 표출로 보게 된다. 아버지의 태도가 반사회적이며 냉담하고 적대적일 때 자녀는 여러 비행을 보인다. 비행아동들은 대개 그들의 부모에 대해 부정적 태도를 가지고 있었고, 특히 아버지에 대해 아들이 심한 부정적 태도를 가지고 있어 정상집단과 현격한 차이를 보였다. 또 이들은 권위적인 대상에 대해 불신과 거부를 나타내는데 특히 아버지의 거부와 무시에 대해 심한 반발을 보이고 있었다.
III. 부성실조
부성실조(Parental deprivation)의 주요 원인에는 아버지 가 사망하거나 어머니와의 이혼 또는 별거 등이 있다. 또한 아버지가 한 가정 내에서 물리적으로는 존재하나 아버지로서의 역할을 다하지 못할 때(technically present yet functionally absent) 부성실조라는 환경으로 간주된다. 이러한 아버지들은 지나치게 아버지의 권위를 내세워 물리적 접촉시간을 갖지 못하고 자녀와 심리적 교류가 가능하지 않다.
부성실조의 원인이 어디에 있던 간에 이 결손환경은 자녀의 성장발달에 바람직하지 않다는 가정 하에 연구되어 왔다(Biller, 1995). 그 결과 대체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리고 있다. 자녀들은 남성다움을 동일시 할 수 있는 대상의 부재 또는 왜곡된 대상으로 인해 남자의 성역할 습득을 올바르게 할 수 없다. 아버지는 사회규범의 전달자이기 때문에 부성실조 환경은 자녀의 중지 못한 사회적 행위를 야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모호한 도덕적 판단기준을 지니게 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아버지로부터 받아야 하는 논리적이고 이성적 자극의 결핍은 자녀에게 높은 지적 성취 욕구를 기대할 수 없다.
사회의 변화는 자녀에 대한 부모 각자의 역할에 대한 확실한 구분도 없고 남성다운 남아, 여성다운 여아로 키울 필요가 없다는 결론에 도달하였다. 이러한 시각에서는 부성실조가 아동의 성역할의 발달에 저해요인이 아닐 것이다(Schaffer, 1990). 아버지의 부재 자체가 문제가 되는 것이 아니라 어머니 혼자서 자녀를 키울 때 심리적 지지를 받을 수 없다는 사실이 중요하게 작용할 것이다(Lamb, 1995).
* 참고문헌
인간발달 / 박성연, 백지숙 저 / 파워북 / 2011
아동발달 / 이항재 저 / 교육과학사 / 2004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아동심리학 / 김경희 저 / 박영사 / 2005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