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상담 및 가족치료] 가족문제가 잘 드러나는 영화 한편을 선택하여 가족치료 모델 중 한가지를 적용시켜 영화속 가족의 문제를 구체적으로 분석하시오 - 다세대 정서체계가족치료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가족상담 및 가족치료] 가족문제가 잘 드러나는 영화 한편을 선택하여 가족치료 모델 중 한가지를 적용시켜 영화속 가족의 문제를 구체적으로 분석하시오 - 다세대 정서체계가족치료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보웬의 다세대 정서체계가족치료란

2. 다세대 정서체계가족치료를 적용한 영화속 가족의 문제를 구체적으로 분석 – 영화 ‘바람난 가족’
1) 영화 ‘바람난 가족’ 속 원가족 이해
2) 보웬의 가족체계이론으로 살펴본 가족
3) 다세대 정서체계가족치료를 적용한 영화속 가족의 문제를 구체적으로 분석

3. 시사점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쉽다고 했다. 또한 이런 경우 부부 갈등이 될 때 한 배우자에게서 역기능이 발생하여 자신들의 문제를 자녀에게 투사하기 쉽다. 즉, common self 를 형성하여 정서적 평형이 유지될 수 없고 친밀한 기간과 정서적 거리를 느끼는 기간이 교차되다가 정서적 이혼상태에 놓이게 된다. 이것이 미분화된 두 배우자가 겪는 갈등관계이며 부부는 이 갈등을 벗어나기 위한 수단으로 한 사람은 지배적인 입장을 취하고 나머지 한 사람은 복종적 입장을 취하게 된다. 복종적인 배우자는 지배적인 배우자에 의존하여 의사결정 책임과 자아에 대한 책임을 회피하게 되고 스트레스 상황에 봉착하면 종속적인 배우자는 정서적, 신체적, 사회적 역기능을 발생시킨다고 하였다. Stahmann와 Hiebert (1980)은 원가족으로 부터의 분리가 성공적인 결혼의 지표라고 하였다. 또한 결혼 생활에 잘 적응하는 부부는 심리적으로 자신의 원가족을 떠날 수 있는 부부라고 하였다. 여기서 ‘심리적으로 원가족을 떠난다’는 것은 더 이상 자신의 인생에 대한 책임을 부모에게 전가하지 않고 자신의 심리적인 정체감을 스스로 형성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그렇지 못한 부부는 다음과 같은 네 가지의 어려움을 겪게 된다고 주장하였다. 첫째, 원가족의 문제에 계속 메어있게 되어 부부관계가 늘 위기에 처해있으며, 둘째, 배우자가 자신에게 부모역할을 해주기를 기대하여 친밀한 관계로 유지할 동반자 보다는 자신을 돌봐 줄 배우자를 원한다. 셋째, 자신의 문제 외에도 원가족의 문제를 다루어야되므로 다른 사람들보다 더 자주 신체적으로 아플 가능성이 높다. 넷째, 이러한 부부들의 경우 이들의 부모들이 자녀들이 심리적 독립을 하는 것을 원하지 않는 경우가 많아 성인으로서 성장할 기회를 놓치게 된다.
Ⅲ. 결론
지금까지 본론에서는 가족문제가 잘 드러나는 영화 한편을 선택하여 가족치료 모델 중 한가지를 적용시켜 영화속 가족의 문제를 구체적으로 분석해 보았다. 살아 있는 세포들은 외부의 영향을 받지만, 자체적으로 자신을 통제하는 기능이 있다. 이러한 기능을 자율통제기능이라고 한다. 가족치료는 세포의 자율통제기능을 가족 구성원들의 관계에 적용하여 만들어 낸 치료의 분야이다. 순환의 사고는 자율통제기능을 설명하는 가장 기본적인 원리이다. 개인치료와 달리 가족치료를 하는 원리는 다차원적이다. 개인치료의 선형적 사고는 순환 원리의 하나에 불과하다. 순환성의 원리는 구성원들의 관계 흐름 또는 맥락을 만들어 주는 근거로 역할 한다. 한 구성원의 행동이 다른 구성원의 행동에 영향을 미치고, 다른 구성원의 행동은 원래 행동을 한 구성원에게 영향을 준다. 한 구성원의 생각이 다른 구성원의 생각이나 행동에 영향을 끼치게 되고, 영향을 받은 구성원은 스스로 생각하거나, 행동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 행동을 지배하고 통제하는 요인은 다양하나 주요한 한 가지 요인은 감정의 흐름이다. 가족치료를 하는 이유는 대부분의 삶의 문제들이 가족 속에서 일어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가족은 가족 구성원에게 유익을 끼치거나 저해할 수 있는 강력한 힘을 가졌다. 가족 구성원 간에는 상호 관련성이 존재한다. 그들의 행동이 각 개인과 전체의 건강과 역기능에 영향을 준다.
참고문헌
김용태. 『가족치료이론 : 개념과 방법들』. 2판, 서울: 학지사, 2019.
최광현. (2020). 가족의 두얼굴. 서울 : 부키.
김태형. “보웬의 가족치료에 근거한 자아분화의 시도를 통한 불안극복에 대한 목회 상담적 연구.” 『목회와 상담』 제28호 (2017).
김하연. (2020). 부모의 자기분화 수준, 자녀의 자아개념, 자녀가 지각한 부모관련스트레스와의 관계(석사학위).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서울.

키워드

  • 가격3,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22.06.20
  • 저작시기2022.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7127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