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기초 이론
1. 유전체, 유전율
2. 용량, 커페시터
3. 시정수
4. 커페시터 전류
5. 정격 전압
6. 저장에너지
7. 커페시터 결합
8. 회로 방정식
9. RC 회로
10. 미분 방정식
11. 연산자 임피던스
12. RC 회로의 시정수
13. 교류, 각주파수
14. 페이저
15. 복소 전달 함수
16. 교류전력
17. 통과필터
18. 저역통과 필터
19.고역통과 필터
실험 방법
시뮬레이션 결과
1. 유전체, 유전율
2. 용량, 커페시터
3. 시정수
4. 커페시터 전류
5. 정격 전압
6. 저장에너지
7. 커페시터 결합
8. 회로 방정식
9. RC 회로
10. 미분 방정식
11. 연산자 임피던스
12. RC 회로의 시정수
13. 교류, 각주파수
14. 페이저
15. 복소 전달 함수
16. 교류전력
17. 통과필터
18. 저역통과 필터
19.고역통과 필터
실험 방법
시뮬레이션 결과
본문내용
기초 이론
1. 유전체, 유전율
양전하와 음전하가 대전되어 있는 평행판 사이의 전기장은 다음과 같다. ???? =
????
????????
(A = 판의 면적) 여기서 ????는 평행판 사이에 있는 유전체의 유전율이라고 하며
진공에서의 유전율 ????0와 물질의 비유전율????????을 써서 ???? = ????0????????로 나타낸다.
2. 용량, 커페시터
두 평행판의 간격을 ????이라고 할 때 두 판 사이의 전압은 ???? = ???????? =
????
????????
????가 되고
????????
????
= ????라고 하면 ???? = ????????가 된다. 이 때 C를 용량이라고 하고 전하를 축적하는 정
도를 나타낸다. 단위는 F(패럿)을 쓰지만 F가 매우 커서 실제로는 ????F이나 pF을 많
이 사용한다. 용량을 가진 소자를 용량성 소자라 하며 커페시터라고도 한다.
3. 시정수
1. 유전체, 유전율
양전하와 음전하가 대전되어 있는 평행판 사이의 전기장은 다음과 같다. ???? =
????
????????
(A = 판의 면적) 여기서 ????는 평행판 사이에 있는 유전체의 유전율이라고 하며
진공에서의 유전율 ????0와 물질의 비유전율????????을 써서 ???? = ????0????????로 나타낸다.
2. 용량, 커페시터
두 평행판의 간격을 ????이라고 할 때 두 판 사이의 전압은 ???? = ???????? =
????
????????
????가 되고
????????
????
= ????라고 하면 ???? = ????????가 된다. 이 때 C를 용량이라고 하고 전하를 축적하는 정
도를 나타낸다. 단위는 F(패럿)을 쓰지만 F가 매우 커서 실제로는 ????F이나 pF을 많
이 사용한다. 용량을 가진 소자를 용량성 소자라 하며 커페시터라고도 한다.
3. 시정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