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1) 인간의 심리·사회적 발달 이론과 정체감
2) 정체감의 분류
3) 자아정체감의 특성
3. 결론
4. 참고문헌 및 사이트
2. 본론
1) 인간의 심리·사회적 발달 이론과 정체감
2) 정체감의 분류
3) 자아정체감의 특성
3. 결론
4. 참고문헌 및 사이트
본문내용
정체감은 본인을 타인과 다른 존재로 인식하는 주관적 차원의 정체감이다. 개별적 정체감의 하위유형 중 하나인 개인적 정체감은 자기동질성과 연속성이라는 특성에 기반한 자기인식이며 이보다 포괄적 개념의 자아정체감은 개인적 정체감에 사회·환경적인 자극과 내적 욕구, 감정적 변화, 도덕적 가치 등을 개인 나름의 방법으로 재통합하여 확보되는 정체감이다.
이번 과제를 통해서 학문적 용어들의 개념을 다시 생각해볼 때 그 복잡성에 이해가 어려웠다. 하위유형으로 구분되는 각 용어의 성향이 서로 비슷하기도 하고 너무 포괄적이며 광범위한 의미를 담고 있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개념의 혼란은 에릭슨 스스로가 의도했던 것이기도 하다. 그는 자아정체감이라는 용어에 다양한 함축적 의미가 담기도록 하고 싶었다고 한다. 그 누구라도 ‘나는 누구인가?’라는 질문에 명확한 답변을 할 수 있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다만 이번 과제를 통해서 시간적 연속감을 지닌 일관적이고 안정감이 있는 나에 대해서 생각해보는 계기가 되었고 나에게 주어진 다양한 역할 속에서 요구되는 정체감을 어떻게 다루는 것이 올바른 것인지 또한 이렇게 자아정체감을 확립한 뒤에 본질적으로 이루고자 하는 목적, 그에 따른 실천 의지가 나에게 있는지 정말 많은 생각을 하게 되었다. 우리 시대의 청년들 등 사회적으로 불안한 위치에 있는 사람일수록 자아정체감에 대한 깊은 고민을 하게 되는 것 같다. 개인의 심리적 안정을 위해 자아정체감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차원의 변인들을 함께 고민하고 바람직한 발전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하는 시기가 아닌가 생각해보면서 과제를 마치도록 하겠다.
4. 참고문헌 및 사이트
1) 이동수, 이유리, 이소영, 「한국인의 정체성에 관한 예비연구」, 삼성생명공익재단 사회정신건강연구소 연구보고서, 2006.
2) Marcia, J.,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Ego Identity Statu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3: 551-8, 1966.
3) Dignan, M.H., 「Ego identity and maternal identifica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1(5): 476-483, 1965.
4) 김애순, 『청년기 갈등과 자기이해』, 시그마프레스, 2015. 31~32쪽.
이번 과제를 통해서 학문적 용어들의 개념을 다시 생각해볼 때 그 복잡성에 이해가 어려웠다. 하위유형으로 구분되는 각 용어의 성향이 서로 비슷하기도 하고 너무 포괄적이며 광범위한 의미를 담고 있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개념의 혼란은 에릭슨 스스로가 의도했던 것이기도 하다. 그는 자아정체감이라는 용어에 다양한 함축적 의미가 담기도록 하고 싶었다고 한다. 그 누구라도 ‘나는 누구인가?’라는 질문에 명확한 답변을 할 수 있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다만 이번 과제를 통해서 시간적 연속감을 지닌 일관적이고 안정감이 있는 나에 대해서 생각해보는 계기가 되었고 나에게 주어진 다양한 역할 속에서 요구되는 정체감을 어떻게 다루는 것이 올바른 것인지 또한 이렇게 자아정체감을 확립한 뒤에 본질적으로 이루고자 하는 목적, 그에 따른 실천 의지가 나에게 있는지 정말 많은 생각을 하게 되었다. 우리 시대의 청년들 등 사회적으로 불안한 위치에 있는 사람일수록 자아정체감에 대한 깊은 고민을 하게 되는 것 같다. 개인의 심리적 안정을 위해 자아정체감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차원의 변인들을 함께 고민하고 바람직한 발전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하는 시기가 아닌가 생각해보면서 과제를 마치도록 하겠다.
4. 참고문헌 및 사이트
1) 이동수, 이유리, 이소영, 「한국인의 정체성에 관한 예비연구」, 삼성생명공익재단 사회정신건강연구소 연구보고서, 2006.
2) Marcia, J.,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Ego Identity Statu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3: 551-8, 1966.
3) Dignan, M.H., 「Ego identity and maternal identifica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1(5): 476-483, 1965.
4) 김애순, 『청년기 갈등과 자기이해』, 시그마프레스, 2015. 31~32쪽.
추천자료
에릭슨의 심리사회이론 - 심리사회적 발달, 자아심리학
[전생애발달] 인간발달이론(심리성적 발달이론 심리사회적 발달이론 인지적 발달이론)
에릭슨의 심리사회적 발달단계에 대해 간단히 정의하고 발달단계에 대한 자신의 의견을 자유...
에릭슨의 생애와 업적 및 인간관 심리사회이론의 주요 개념
[에릭슨의 심리사회이론] 심리사회적 발달단계 프로이드이론과 에릭슨 이론의 비교(공통점과 ...
심리성적 발달단계와 심리사회적 발달단계의 비교
프로이트(Freud)의 정신분석이론과 에릭슨(Erikson)의 심리사회이론의 주요개념과 특징을 기...
에릭슨(Erikson)의 심리사회이론
프로이드의 정신분석이론과 에릭슨의 심리사회적이론의 주요내용 및 차이점을 설명하고 인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