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다음 중 올바른 표기 형태를 고르고, 그 이유가 무엇인지 설명하시오. (5점)
2. 다음 밑줄 친 부분에서 올바른 표기 형태를 고르고, 그 이유가 무엇인지 설명하시오. (16점)
3. 다음 문장에서 단어의 쓰임에 문제가 있거나 문장성분 간의 공기관계가 적절하지 않은 것을 지적하고 그 이유에 대해 설명하고 올바른 문장으로 고쳐 쓰시오. (15점)
4. 수식의 관점에서 여러 가지 문제가 있는 다음 문장을 좀 더 바람직한 문장으로 고쳐 보시오. (9점)
5. 다음 논저들에 포함된 서지정보를 활용하여 참고문헌란을 일관성 있게, 그리고 바르게 완성하시오. (15점)
6. 단락의 구조와 구성 방식에 대해 설명하시오. (10점)"
2. 다음 밑줄 친 부분에서 올바른 표기 형태를 고르고, 그 이유가 무엇인지 설명하시오. (16점)
3. 다음 문장에서 단어의 쓰임에 문제가 있거나 문장성분 간의 공기관계가 적절하지 않은 것을 지적하고 그 이유에 대해 설명하고 올바른 문장으로 고쳐 쓰시오. (15점)
4. 수식의 관점에서 여러 가지 문제가 있는 다음 문장을 좀 더 바람직한 문장으로 고쳐 보시오. (9점)
5. 다음 논저들에 포함된 서지정보를 활용하여 참고문헌란을 일관성 있게, 그리고 바르게 완성하시오. (15점)
6. 단락의 구조와 구성 방식에 대해 설명하시오. (10점)"
본문내용
73, 이화사학연구 6, pp. 7-25.
野間秀樹, “한국어 어휘와 문법의 상관구조”, 2002, 태학사.
김완진, “국어 음운체계의 연구”, 일조각, 1971, pp. 1-115.
고영근, 국어문법교육의 방향 탐색, 우리말연구 15, p. 23-52, 2004.
N. Chomsky & M. Halle (1968), The Sound Pattern of English, New York: Harper & Row.
답)
고영근(2004), “국어문법교육의 방향 탐색”, 『우리말연구』15, p. 23-52.
고영근구본관시정곤연재훈(2004),『북한의 문법 연구와 문법 교육』,박이정.
고영근(2008), 『북한의 문법연구와 문법지식』, 한국문화사.
김완진(1971), 『국어 음운체계의 연구』, 일조각, pp. 1-115.
김완진(1978),“모음체계와 모음조화에 대한 반성”,『어학연구』 14-2,서울대학교 어학연구소, pp.37-65.
송원용(2000), “형태론 2-1”, 『현대국어 임시어 형태론』, pp.1-16.
이기백(1973), “한국사의 보편성과 특수성”, 『이화사학연구』6, pp. 7-25.
홍재성(1999), “기능동사 구문 연구의 한 시각”, 『인문논총』 41, pp.135-173.
小倉進平(1931), “濟州道方言”, 『靑丘學叢』5, pp.36-89.
野間秀樹(2002), 『한국어 어휘와 문법의 상관구조』, 태학사.
Leech, Geoffrey(1974), “Sematics”, London: Hazell Waston and Veney.
N. Chomsky & M. Halle (1968), “The Sound Pattern of English”, New York: Harper & Row.
6. 단락의 구조와 구성 방식에 대해 설명하시오. (10점)\"
단락은 글의 전체에 있어서 내용의 일부를 담는 단위로 한 개 이상의 문장으로 구성된다. 하나의 단락은 하나의 중심, 즉 소주제를 담고 있는 ‘소주제문’과 이러한 중심내용을 뒷받침하는 뒷받침 문제로 구성된다. 단락의 구성 방식은 연역적 구성, 귀납적 구성, 양괄식 구성의 세 가지로 볼 수 있다. 연역적 구성은 주제문이 먼저 나오고 그에 대한 근거를 뒷받침하는 방식이다. 귀납적 구성은 논거를 먼저 제시하고, 이에 대한 주장을 단락의 마지막에 제시하는 방식이다. 마지막으로 양괄식 구성은 단락의 소주제문이 글의 앞 뒤, 총 두 번 나오는 방식을 의미한다.
野間秀樹, “한국어 어휘와 문법의 상관구조”, 2002, 태학사.
김완진, “국어 음운체계의 연구”, 일조각, 1971, pp. 1-115.
고영근, 국어문법교육의 방향 탐색, 우리말연구 15, p. 23-52, 2004.
N. Chomsky & M. Halle (1968), The Sound Pattern of English, New York: Harper & Row.
답)
고영근(2004), “국어문법교육의 방향 탐색”, 『우리말연구』15, p. 23-52.
고영근구본관시정곤연재훈(2004),『북한의 문법 연구와 문법 교육』,박이정.
고영근(2008), 『북한의 문법연구와 문법지식』, 한국문화사.
김완진(1971), 『국어 음운체계의 연구』, 일조각, pp. 1-115.
김완진(1978),“모음체계와 모음조화에 대한 반성”,『어학연구』 14-2,서울대학교 어학연구소, pp.37-65.
송원용(2000), “형태론 2-1”, 『현대국어 임시어 형태론』, pp.1-16.
이기백(1973), “한국사의 보편성과 특수성”, 『이화사학연구』6, pp. 7-25.
홍재성(1999), “기능동사 구문 연구의 한 시각”, 『인문논총』 41, pp.135-173.
小倉進平(1931), “濟州道方言”, 『靑丘學叢』5, pp.36-89.
野間秀樹(2002), 『한국어 어휘와 문법의 상관구조』, 태학사.
Leech, Geoffrey(1974), “Sematics”, London: Hazell Waston and Veney.
N. Chomsky & M. Halle (1968), “The Sound Pattern of English”, New York: Harper & Row.
6. 단락의 구조와 구성 방식에 대해 설명하시오. (10점)\"
단락은 글의 전체에 있어서 내용의 일부를 담는 단위로 한 개 이상의 문장으로 구성된다. 하나의 단락은 하나의 중심, 즉 소주제를 담고 있는 ‘소주제문’과 이러한 중심내용을 뒷받침하는 뒷받침 문제로 구성된다. 단락의 구성 방식은 연역적 구성, 귀납적 구성, 양괄식 구성의 세 가지로 볼 수 있다. 연역적 구성은 주제문이 먼저 나오고 그에 대한 근거를 뒷받침하는 방식이다. 귀납적 구성은 논거를 먼저 제시하고, 이에 대한 주장을 단락의 마지막에 제시하는 방식이다. 마지막으로 양괄식 구성은 단락의 소주제문이 글의 앞 뒤, 총 두 번 나오는 방식을 의미한다.
추천자료
- 2020년 1학기 글쓰기 기말시험 과제물
- 2020년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글쓰기 기말시험] 그러고 나서/그리고 나서, 초생달/초승달, 떡볶...
- 글쓰기] 다음 문장에서 단어의 쓰임에 문제가 있거나 문장성분 간의 공기관계가 적절하지 않...
- 글쓰기] 2020년 방송대 글쓰기 기말 과제물 A+
- [2020년 방통대 글쓰기 기말시험] 1.다음 중 올바른 표기 형태를 고르고, 그 이유가 무엇인지...
- (2020-1학기 경영학과) 글쓰기-1. 다음 중 올바른 표기 형태를 고르고, 그 이유가 무엇인지 ...
- [ 글쓰기 ) 1. 다음 중 올바른 표기 형태를 고르고, 그 이유가 무엇인지 설명하시오. (1) 그...
- [ 글쓰기 ) 다음 문장에서 단어의 쓰임에 문제가 있거나 문장성분 간의 공기 관계가 적절하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