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외국어습득론 ) 언어습득모델 가운데 한 가지를 골라서 제2언어 학습자에게 적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을 서술하시오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 외국어습득론 ) 언어습득모델 가운데 한 가지를 골라서 제2언어 학습자에게 적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을 서술하시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I. 서론
II. 본론
1. 상호작용이론
2. Piaget의 상호작용이론과 Vygotsky의 상호작용이론의 차이점
3. 언어습득의 구체적인 방안
III. 결론
IV. 참고문헌

본문내용

하는 것이 사람들로 하여금 자연스럽게 대화의 주제를 넓혀갈 수 있도록 한다. 1단계와 마찬가지로 제 2언어 한 가지로만 이야기를 나누어야 하고 모국어는 되도록 사용하지 않도록 한다. 모국어를 사용하는데 큰 제한을 두지 않고 제 2언어로는 알 수 없는 단어나 표현으로 제한한다. 1단계 2명에서 2단계 3명으로 사람이 늘어나면서, 다양한 사람들을 통해 더 많은 사람들의 표현법을 학습할 수 있다.
3) 3단계
제 2언어를 습득하고 있는 수준이 비슷한 4-5명이 오프라인에서 대화를 하는 것이다. 3단계에서는 2단계보다는 좀 더 어려운 주제를 준다. 간단한 토론을 할 수 있도록 한다. 3단계의 주제 또한 4-5명이 함께 정할 수 있도록 한다. 모두의 동의를 얻은 주제로 대화를 하는 것이다. 의견을 통합하는 과정에 있어서도 자신이 의견을 내고 다른 사람들의 동의를 얻음으로써 상호작용이 일어나는 것이다. 찬성과 반대와 같이 주제에 대한 각자 주장하고, 자신의 의견에 대하여 뒷받침하는 의견을 제시하는 것이다. 찬성과 반대의 입장을 번갈아 가며 의견을 제시하고 반박할 수 있도록 한다. 여러 명이 대화를 나눔으로써 현재 이야기하고 있는 사람의 말을 이해하지 못하거나 대화의 흐름을 파악하지 못하는 사람은 다른 사람에게 물어보거나 도움을 요청할 수 있는데, 이런 과정에서도 상호작용이 일어나는 것이다.
III. 결론
최근 스마트폰의 발달로 인해 많은 부모들이 자녀가 아주 어릴 때부터 스마트폰에 노출시킨다. 자녀들은 스마트폰으로 각종 동영상을 보며 즐거워한다. 하지만 스마트폰이 언어발달지연에 영향을 준다는 뉴스 기사를 심심치 않게 찾아볼 수 있다. 부모들은 스마트폰을 활용해 동영상을 보면 언어를 듣기 때문에 언어발달지연과는 관계가 없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스마트폰에서 흘러나오는 동영상과의 의사소통은 일방적이다. 아동은 이를 듣기만 하면 된다. 그리고 그저 듣는 사람 없이 혼자서 말을 따라 하거나 노래를 부르면 된다. 대화에서 중요한 건 말하는 사람과 듣는 사람이다. 동영상은 말하는 사람이고 아이들은 듣는 사람이다. 이들 간의 상호작용이 없는 것이다. 그러므로 일방적인 동영상 시청은 아이들의 언어발달에 큰 도움이 되지 않는다. 이렇듯 언어를 습득하는데 있어 상호작용은 굉장히 중요한 요인이라고 할 수 있다.
IV. 참고문헌
민형기(2003). 제 2언어 습득에서의 상호작용에 대한 연구. 세종대학교 대학원 영어교육과. 석사학위논문.
  • 가격3,7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22.07.28
  • 저작시기2022.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7382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