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서론
2.본론
1) 근대 이후로 이성을 통한 세계 이해의 한계와 그 대안의 성찰과 모색은 어떻게 진행되어 왔는가?
1-1) 이성을 통한 세계 이해의 한계는 왜 발생하는가? (이성주의자와 경험주의자의 논쟁을 중심으로)
1-2) 대안은 이성이외에 어디서 찾아지는가? 감각경험인가 정념인가? (경험주의와 스피노자, 니제 등을 중심으로)
1-3) 이때 이성은 포기되는가 혹은 새로이 구상되는가?(데카르트부터 들뢰즈까지)
1-4) 포기의 이유 혹은 새로운 구상의 니용은 무엇인가?(데카르트부터 들뢰즈까지)
2) 실천적 이성은 삶의 원리가 될 수 있나?(데카르트부터 들뢰즈까지)
2-1) 인간은 왜 자유롭지 못한가? 현실은 왜 이성적이 되지 못하는가? 칸트와 헤겔 그리고 마르크스는 이와 같은 부자유한 세계 이해에 있어서 어떤 점에서 다른가?
2-2) 어떻게 인간은 자유로와질 수 있는가?
2-3) 인간의 자유로운 삶을 실현하는 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무엇인가? 예술, 철학, 종교, 국가, 노동 등.
2-4) 사회는 자유의 실현의 장이 될 수 있는가?
3.결론
4.참고문헌
2.본론
1) 근대 이후로 이성을 통한 세계 이해의 한계와 그 대안의 성찰과 모색은 어떻게 진행되어 왔는가?
1-1) 이성을 통한 세계 이해의 한계는 왜 발생하는가? (이성주의자와 경험주의자의 논쟁을 중심으로)
1-2) 대안은 이성이외에 어디서 찾아지는가? 감각경험인가 정념인가? (경험주의와 스피노자, 니제 등을 중심으로)
1-3) 이때 이성은 포기되는가 혹은 새로이 구상되는가?(데카르트부터 들뢰즈까지)
1-4) 포기의 이유 혹은 새로운 구상의 니용은 무엇인가?(데카르트부터 들뢰즈까지)
2) 실천적 이성은 삶의 원리가 될 수 있나?(데카르트부터 들뢰즈까지)
2-1) 인간은 왜 자유롭지 못한가? 현실은 왜 이성적이 되지 못하는가? 칸트와 헤겔 그리고 마르크스는 이와 같은 부자유한 세계 이해에 있어서 어떤 점에서 다른가?
2-2) 어떻게 인간은 자유로와질 수 있는가?
2-3) 인간의 자유로운 삶을 실현하는 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무엇인가? 예술, 철학, 종교, 국가, 노동 등.
2-4) 사회는 자유의 실현의 장이 될 수 있는가?
3.결론
4.참고문헌
본문내용
있더라도 마찬가지다.
관념론만으로는 자유 개념이 내포할 수 있는 여러 난관을 해결할 수 없으므로 자유에 대해 일반적인 개념이나 형식적인 개념을 넘어 자유에 대한 실재적이고 생동적인 개념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우리가 자유로워지기 위해서는 진정한 자유가 무엇을 의미하는지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도덕적 원칙이 무엇인지를 통해 자유는 단순히 자신이 원하는 대로 행동하고 원하는 바에 방해받지 않는 것을 떠올리지만 자유로운 행동은 자율적인 행동을 의미하며, 결국 내가 나에게 부과한 원칙에 의한 행동이다. 결국, 내가 이성적으로 나에게 내린 원칙에 따라 행동할 수 있어야 한다. 그렇게 되면 우리는 진정한 자유로운 인간이 될 수 있다.
그러나 단순히 쾌락만 좇거나 욕망을 채우고 고통을 피하려 하면 진짜 자유로울 수 없다. 이는 기호와 충동 때문에 지배된 상황에서 행동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욕구는 나의 선택이 아니므로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자연적 필연성인 외부적인 강제에 따라 행동하는 것이며 결국 타율적인 행동으로 이성적으로 선택하지 않은 기호에 따라 행동하거나 이성으로 선택하지 않았던 욕망에 따라 행동하는 것이다.
우리가 기호나 쾌락을 좇을 때 우리는 외부에서 주어진 목적을 이루기 위한 수단으로 행동하게 되며, 우리가 추구하는 목적이 주체가 아닌 도구가 되는 것이다. 스스로 부과한 법칙으로 자율적으로 행동하면 우리는 목적 자체를 위해 일을 하게 되고 외부에서 주어진 목적의 도구가 아니라 자신이 목적이 될 수 있다. 칸트는 자유롭게 행동하려는 능력은 우리의 삶에 특별한 존엄성을 부여하게 된다고 말했다.
데카르트는 나는 생각한다, 고로 존재한다. 라고 말하며 우리의 존재에 대해 생각해보도록 한다. 결국, 우리가 진정으로 존재하는 대상일 때 진정한 자유를 좇을 수 있으며 감정이 능동적 또는 수동적인 것으로 구별하며 행동과 격정을 구별하여 우리가 능동적인 감정을 보일 때 자유롭고 자기감정의 주인이 될 수 있다고 본다. 수동적인 감정에 의해 우리는 쫓기고 자신도 인지하지 못한 채 동기에 의해 움직여지는 대상 즉, 도구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우리가 자유로워지기 위해서는 우리 스스로 존재에 대해 생각해보고 내가 도구가 아닌 목적 그 자제가 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이 노력조차 우리가 인식하는 순간 진정한 자유가 될 수 없으므로 우리는 진정한 자유를 얻기엔 어려움이 많을 것이다.
2-3) 인간의 자유로운 삶을 실현하는 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무엇인가? 예술, 철학, 종교, 국가, 노동 등.
우리가 자유로운 삶을 실현하기 위해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철학이다. 철학을 통해 우리는 우리의 삶 속에서 진정한 가치를 찾고 그 본질 자체를 이해할 수 있다. 우리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자유는 진정한 자유의 의미와는 차이가 있으며, 우리가 주체가 아닌 도구로써 활용되는 수준에서의 자유만을 좇고 있다. 따라서, 철학적인 의미에서의 자유를 좇기 위해서는 우리가 철학에 대한 높은 이해도를 만드는 것도 중요하다.
다양한 철학자들이 양자의 조화를 위해 다양한 시도 했으며 그 속에서 자유도 다양하게 정의되면서 우리는 필연성과 자유가 일관된 체계 속에서 조화롭게 수용하기에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다. 따라서, 철학적인 지식을 통해 우리가 원하는 진정한 자유를 실현할 수 있도록 배우고 익히는 자세를 가져야 한다. 우리의 인식에서부터 자유의 개념이 새롭게 정의되고, 진정한 자유에 관해 이해하는 것에서 시작하여 자유로운 삶을 실현할 수 있기 때문이다.
2-4) 사회는 자유의 실현의 장이 될 수 있는가?
우리는 사회를 통해 진정한 자유를 얻기는 어렵다. 사회 속에서 구성원들이 개인의 자유나 인권, 존엄성을 보장받고 싶어 하지만, 진정한 개인의 자유나 자아실현 및 주체성에 적합한 사회를 구성하는 것은 어렵기 때문이다. 구성원들이 진정한 자유의 실현을 이루지 못하고 있는 상황에서 사회가 자유 실현의 장이 되는 것은 한계가 있으며 이를 위해 우리는 깨어 있는 국가와 성찰하는 사회뿐만 아니라 구성원들의 인식과 자유에 대해서도 새로운 시각을 가져야 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인간의 본질을 구성하는 요소인 자유에 대해 자아실현의 개념으로 이해함으로써 법이나 권력으로 사회가 지배되면 안 된다. 그러나 국가가 자유를 보장한다는 것은 특정 기준에 의해 통치되는 것으로 진정한 자유에 억압의 가능성이 있다. 결국, 사회에서 우리는 진정한 자유를 누릴 수 없고 그 자유를 침해할 수 있는 불완전한 권리를 받게 되는 것이다.
3.결론
우리는 다양한 철학자를 통해 우리가 이성을 통해 세계를 이해하는 데 한계가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고 이는 이성주의와 경험주의의 논쟁을 통해서 살펴볼 수 있었다. 우리는 대안을 위해 더 강한 정서를 통해 정념은 극복되어야 한다는 걸 알 수 있었다. 또한, 우리는 실천적 이성이 삶의 원리가 될 수 있는지에 대해 살펴보면서 우리가 생각하는 진정한 자유에 관한 개념을 다시 생각해볼 수 있었다. 우리가 진정한 자유를 이해하고 좇기 위해서는 철학이 우리에게 중요한 요소가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4.참고문헌
1) Goldstein, Rebecca. 플라톤, 구글에 가다. 서울: 민음사, 2016.
2) Chomsky, Noam Avram. 촘스키, 러셀을 말하다. 서울: 시대의창, 2011.
3) 안명진(Ahn Myung jin). \"흄의 현상론(Phenomenalism)에 대한 후설의 비판.\" 哲學硏究 136.- (2015): 199-222. 현상론과 현상학(Phenomenology)의 비교.
4) 신중섭(서평자). \"서양근대철학회 지음, 『서양근대철학의 열 가지 쟁점』, 창비, 2004.\" 哲學 83.- (2005): 347-352.
5) 박삼열. \"스피노자와 니체 비교.\" 철학탐구 20.- (2006): 39-66. 니체의 선구자로서의 스피노자.
6) 서울대학교. 데카르트에서 들뢰즈까지. 서울: 세창, 2015.
7) Schelling, Friedrich Wilhelm Joseph von. 인간 자유의 본질에 관한 철학적 탐구. 서울: 지식을만드는지식, 2012.
관념론만으로는 자유 개념이 내포할 수 있는 여러 난관을 해결할 수 없으므로 자유에 대해 일반적인 개념이나 형식적인 개념을 넘어 자유에 대한 실재적이고 생동적인 개념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우리가 자유로워지기 위해서는 진정한 자유가 무엇을 의미하는지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도덕적 원칙이 무엇인지를 통해 자유는 단순히 자신이 원하는 대로 행동하고 원하는 바에 방해받지 않는 것을 떠올리지만 자유로운 행동은 자율적인 행동을 의미하며, 결국 내가 나에게 부과한 원칙에 의한 행동이다. 결국, 내가 이성적으로 나에게 내린 원칙에 따라 행동할 수 있어야 한다. 그렇게 되면 우리는 진정한 자유로운 인간이 될 수 있다.
그러나 단순히 쾌락만 좇거나 욕망을 채우고 고통을 피하려 하면 진짜 자유로울 수 없다. 이는 기호와 충동 때문에 지배된 상황에서 행동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욕구는 나의 선택이 아니므로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자연적 필연성인 외부적인 강제에 따라 행동하는 것이며 결국 타율적인 행동으로 이성적으로 선택하지 않은 기호에 따라 행동하거나 이성으로 선택하지 않았던 욕망에 따라 행동하는 것이다.
우리가 기호나 쾌락을 좇을 때 우리는 외부에서 주어진 목적을 이루기 위한 수단으로 행동하게 되며, 우리가 추구하는 목적이 주체가 아닌 도구가 되는 것이다. 스스로 부과한 법칙으로 자율적으로 행동하면 우리는 목적 자체를 위해 일을 하게 되고 외부에서 주어진 목적의 도구가 아니라 자신이 목적이 될 수 있다. 칸트는 자유롭게 행동하려는 능력은 우리의 삶에 특별한 존엄성을 부여하게 된다고 말했다.
데카르트는 나는 생각한다, 고로 존재한다. 라고 말하며 우리의 존재에 대해 생각해보도록 한다. 결국, 우리가 진정으로 존재하는 대상일 때 진정한 자유를 좇을 수 있으며 감정이 능동적 또는 수동적인 것으로 구별하며 행동과 격정을 구별하여 우리가 능동적인 감정을 보일 때 자유롭고 자기감정의 주인이 될 수 있다고 본다. 수동적인 감정에 의해 우리는 쫓기고 자신도 인지하지 못한 채 동기에 의해 움직여지는 대상 즉, 도구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우리가 자유로워지기 위해서는 우리 스스로 존재에 대해 생각해보고 내가 도구가 아닌 목적 그 자제가 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이 노력조차 우리가 인식하는 순간 진정한 자유가 될 수 없으므로 우리는 진정한 자유를 얻기엔 어려움이 많을 것이다.
2-3) 인간의 자유로운 삶을 실현하는 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무엇인가? 예술, 철학, 종교, 국가, 노동 등.
우리가 자유로운 삶을 실현하기 위해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철학이다. 철학을 통해 우리는 우리의 삶 속에서 진정한 가치를 찾고 그 본질 자체를 이해할 수 있다. 우리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자유는 진정한 자유의 의미와는 차이가 있으며, 우리가 주체가 아닌 도구로써 활용되는 수준에서의 자유만을 좇고 있다. 따라서, 철학적인 의미에서의 자유를 좇기 위해서는 우리가 철학에 대한 높은 이해도를 만드는 것도 중요하다.
다양한 철학자들이 양자의 조화를 위해 다양한 시도 했으며 그 속에서 자유도 다양하게 정의되면서 우리는 필연성과 자유가 일관된 체계 속에서 조화롭게 수용하기에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다. 따라서, 철학적인 지식을 통해 우리가 원하는 진정한 자유를 실현할 수 있도록 배우고 익히는 자세를 가져야 한다. 우리의 인식에서부터 자유의 개념이 새롭게 정의되고, 진정한 자유에 관해 이해하는 것에서 시작하여 자유로운 삶을 실현할 수 있기 때문이다.
2-4) 사회는 자유의 실현의 장이 될 수 있는가?
우리는 사회를 통해 진정한 자유를 얻기는 어렵다. 사회 속에서 구성원들이 개인의 자유나 인권, 존엄성을 보장받고 싶어 하지만, 진정한 개인의 자유나 자아실현 및 주체성에 적합한 사회를 구성하는 것은 어렵기 때문이다. 구성원들이 진정한 자유의 실현을 이루지 못하고 있는 상황에서 사회가 자유 실현의 장이 되는 것은 한계가 있으며 이를 위해 우리는 깨어 있는 국가와 성찰하는 사회뿐만 아니라 구성원들의 인식과 자유에 대해서도 새로운 시각을 가져야 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인간의 본질을 구성하는 요소인 자유에 대해 자아실현의 개념으로 이해함으로써 법이나 권력으로 사회가 지배되면 안 된다. 그러나 국가가 자유를 보장한다는 것은 특정 기준에 의해 통치되는 것으로 진정한 자유에 억압의 가능성이 있다. 결국, 사회에서 우리는 진정한 자유를 누릴 수 없고 그 자유를 침해할 수 있는 불완전한 권리를 받게 되는 것이다.
3.결론
우리는 다양한 철학자를 통해 우리가 이성을 통해 세계를 이해하는 데 한계가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고 이는 이성주의와 경험주의의 논쟁을 통해서 살펴볼 수 있었다. 우리는 대안을 위해 더 강한 정서를 통해 정념은 극복되어야 한다는 걸 알 수 있었다. 또한, 우리는 실천적 이성이 삶의 원리가 될 수 있는지에 대해 살펴보면서 우리가 생각하는 진정한 자유에 관한 개념을 다시 생각해볼 수 있었다. 우리가 진정한 자유를 이해하고 좇기 위해서는 철학이 우리에게 중요한 요소가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4.참고문헌
1) Goldstein, Rebecca. 플라톤, 구글에 가다. 서울: 민음사, 2016.
2) Chomsky, Noam Avram. 촘스키, 러셀을 말하다. 서울: 시대의창, 2011.
3) 안명진(Ahn Myung jin). \"흄의 현상론(Phenomenalism)에 대한 후설의 비판.\" 哲學硏究 136.- (2015): 199-222. 현상론과 현상학(Phenomenology)의 비교.
4) 신중섭(서평자). \"서양근대철학회 지음, 『서양근대철학의 열 가지 쟁점』, 창비, 2004.\" 哲學 83.- (2005): 347-352.
5) 박삼열. \"스피노자와 니체 비교.\" 철학탐구 20.- (2006): 39-66. 니체의 선구자로서의 스피노자.
6) 서울대학교. 데카르트에서 들뢰즈까지. 서울: 세창, 2015.
7) Schelling, Friedrich Wilhelm Joseph von. 인간 자유의 본질에 관한 철학적 탐구. 서울: 지식을만드는지식, 2012.
추천자료
아나키즘과 아나키스트-아나키스트 연구를 통한 아나키즘의 현대적 재조명
현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여성 철학적 모색 -몸의 철학과 보살핌의 윤리
[인터넷][인터넷정책][온라인][사이버][인터넷활용]인터넷의 역사, 인터넷의 철학, 인터넷의 ...
[철학교양] 포스트모더니즘의 본질과 한계 -미셸 푸코를 중심으로
[정의][정의관][정의론][정의 원칙][정의 유형][정치적 정의관][근대시민사회 이중성][근대적...
생태 중심주의 윤리의 특성과 한계에 대해 논술하시오go.
[포스트모던적사유]철학분야에서 포스트모던적사유가 근대성에 대해 가하는 비판양상에 대해 ...
포스트페미니즘 담론에 나타난 ‘여성의 개별화’와 바우만의 액체근대 이론 한계점 고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