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잔여주의와 제도주의
(1) 잔여주의와 제도주의의 차이
(2) 두 관점의 지역사회 복지의 차이
2. 지지하는 관점과 그 이유
3. 충북 청주의 지역사회 문제 사례 및 해결책
4. 출처 및 참고문헌
(1) 잔여주의와 제도주의의 차이
(2) 두 관점의 지역사회 복지의 차이
2. 지지하는 관점과 그 이유
3. 충북 청주의 지역사회 문제 사례 및 해결책
4.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주는 것이 아니다. 화려한 연번을 자랑하는 이들도 그 도가 지나치고 명확성이 없다면 한낮 입방정만 뜨는 아저씨, 아줌마로만 사람들에게 인식될 것이다.
어느 기준이 있으면서 유동적으로 변할 수 있는 시스템이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이미 우리가 사는 사회는 어떠한 것이 옳다, 그르다는 경계가 많이 허물어졌기 때문이다. 한 가지만 고집한다고 해서 해결되는 사항도 없다고 생각한다.
특히 이러한 사회복지는 국민성을 파악하고 연구하는 절차가 먼저 적용이 된 상태에서 시행되어야지 그 효과가 더 빛을 발하지 않을까 생각한다. 인공지능이 난무하는 4차 산업 시대에 추가로 냄비근성으로 유명한 국민성을 맞추는 사회복지정책 제시는 쉽지가 않은 상황이다.
3. 충북 청주의 지역사회 문제 사례 및 해결책
충북 청주의 경우 저소득층과 위기 청소년, 그리고 여성에 대한 사회복지체제는 잘 되어 있다고 생각한다. 문제는 최근 이슈화 되는 20대 남성 청년층에 대한 지원 체제가 많이 부족하다는 점이다.
어느 때 보다 경기가 불안정하고 취업난이 심각한 상황이라고 생각한다. 잔여주의의 관점에서 보자면 많은 수를 차지하고 있는 20대 남성 구직자들에 대한 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본다. 이들 역시 전체에서 상대적으로 본다면 취약계층임이 틀림없기 때문이다.
사람들이 생각하기에는 단지 신체 건강하고 아직은 혈기 왕성한 나이라고 보기 때문에 방관하지 않나 싶다. 10년 후에는 청주의 기둥이 될 세대 인만큼 취업지원 서비스나 위기 청년 극복을 위한 사업이 절실하다고 보인다. 소수의 취업이 취약한 청년들을 외면하는 순간 그 고통은 당사자만이 아닌 추후 우리 또한 받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물론 청소년이나 여성에 대한 지원사업도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은 10대 청소년들이라고 할 수 있다. 이전 세대와는 차원이 다를 정도로 이상한 사상과 생각을 가진 10대 학생들이 많아지고 있다. 물론 고대 시대 때부터 젊은이들은 버릇이 없었다고 하나, 10대 청소년들이 사리 분별할 수 있도록 지역사회에서 지속적인 관심과 많은 도움의 손길은 필요하다고 본다.
사실 이들을 바꾸는 것은 불가능하다. 왜냐하면 세상은 변하고 있고, 사람들은 변하고 있기 때문이다. 변화는 받아들이더라도 심각한 사회문제가 될 수 있는 청소년 문제들은 우리가 항상 관심을 가지고 지속적인 모니터링 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디지털 기기화의 발달로 이상행동을 보이는 이들이 다소 증가하고 있다는 것은 받아들이고 개선해야 할 사항이다. 가치관의 재정립 문제 또한 올바르게 인식 시켜 주는 것이 필요하다.
내가 만나 본 10대 학생들의 가치관의 우선순위는 오로지 돈이었다. 꿈과 희망도 없이 오로지 돈과 유명해지고 싶은 욕구뿐이었다. 학생 개인의 문제가 아닌 그렇게 생각하도록 만든 우리 사회의 영향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었다.
4. 출처 및 참고문헌
- 유종해, 하동석, (이해하기 쉽게 쓴) 행정학 용어사전, 새정보미디어, 2019
- 청주시 홈페이지 https://corona.cheongju.go.kr/
어느 기준이 있으면서 유동적으로 변할 수 있는 시스템이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이미 우리가 사는 사회는 어떠한 것이 옳다, 그르다는 경계가 많이 허물어졌기 때문이다. 한 가지만 고집한다고 해서 해결되는 사항도 없다고 생각한다.
특히 이러한 사회복지는 국민성을 파악하고 연구하는 절차가 먼저 적용이 된 상태에서 시행되어야지 그 효과가 더 빛을 발하지 않을까 생각한다. 인공지능이 난무하는 4차 산업 시대에 추가로 냄비근성으로 유명한 국민성을 맞추는 사회복지정책 제시는 쉽지가 않은 상황이다.
3. 충북 청주의 지역사회 문제 사례 및 해결책
충북 청주의 경우 저소득층과 위기 청소년, 그리고 여성에 대한 사회복지체제는 잘 되어 있다고 생각한다. 문제는 최근 이슈화 되는 20대 남성 청년층에 대한 지원 체제가 많이 부족하다는 점이다.
어느 때 보다 경기가 불안정하고 취업난이 심각한 상황이라고 생각한다. 잔여주의의 관점에서 보자면 많은 수를 차지하고 있는 20대 남성 구직자들에 대한 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본다. 이들 역시 전체에서 상대적으로 본다면 취약계층임이 틀림없기 때문이다.
사람들이 생각하기에는 단지 신체 건강하고 아직은 혈기 왕성한 나이라고 보기 때문에 방관하지 않나 싶다. 10년 후에는 청주의 기둥이 될 세대 인만큼 취업지원 서비스나 위기 청년 극복을 위한 사업이 절실하다고 보인다. 소수의 취업이 취약한 청년들을 외면하는 순간 그 고통은 당사자만이 아닌 추후 우리 또한 받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물론 청소년이나 여성에 대한 지원사업도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은 10대 청소년들이라고 할 수 있다. 이전 세대와는 차원이 다를 정도로 이상한 사상과 생각을 가진 10대 학생들이 많아지고 있다. 물론 고대 시대 때부터 젊은이들은 버릇이 없었다고 하나, 10대 청소년들이 사리 분별할 수 있도록 지역사회에서 지속적인 관심과 많은 도움의 손길은 필요하다고 본다.
사실 이들을 바꾸는 것은 불가능하다. 왜냐하면 세상은 변하고 있고, 사람들은 변하고 있기 때문이다. 변화는 받아들이더라도 심각한 사회문제가 될 수 있는 청소년 문제들은 우리가 항상 관심을 가지고 지속적인 모니터링 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디지털 기기화의 발달로 이상행동을 보이는 이들이 다소 증가하고 있다는 것은 받아들이고 개선해야 할 사항이다. 가치관의 재정립 문제 또한 올바르게 인식 시켜 주는 것이 필요하다.
내가 만나 본 10대 학생들의 가치관의 우선순위는 오로지 돈이었다. 꿈과 희망도 없이 오로지 돈과 유명해지고 싶은 욕구뿐이었다. 학생 개인의 문제가 아닌 그렇게 생각하도록 만든 우리 사회의 영향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었다.
4. 출처 및 참고문헌
- 유종해, 하동석, (이해하기 쉽게 쓴) 행정학 용어사전, 새정보미디어, 2019
- 청주시 홈페이지 https://corona.cheongju.go.kr/
추천자료
(지역사회복지론 공통) 1) 잔여주의와 제도주의의 차이를 서술하고 잔여주의 지역사회복지와 ...
지역사회복지론)잔여주의와 제도주의의 차이를 서술하고 잔여주의 지역사회복지와 제도주의 ...
방송대 중간과제 지역사회복지론 1) 잔여주의와 제도주의의 차이를 서술하고 잔여주의 지역사...
(지역사회복지론 공통) 1) 잔여주의와 제도주의의 차이를 서술하고 잔여주의 지역사회복지와 ...
[지역사회복지론 공통] 1) 잔여주의와 제도주의의 차이를 서술하고 잔여주의 지역사회복지와 ...
[지역사회복지론]1) 잔여주의와 제도주의의 차이를 서술하고, 잔여주의 지역사회복지와 제도...
지역사회복지론 2021년] 잔여주의와 제도주의의 차이를 서술하고,지역사회복지론 잔여주의 지...
2021 지역사회복지론] 잔여주의와 제도주의의 차이를 서술하고,지역사회복지론 잔여주의 지역...
[지역사회복지론 3학년 공통] 1) 잔여주의와 제도주의의 차이를 서술하고, 잔여주의 지역사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