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태권도 정신 및 예절
Ⅱ. 태권도 역사 : 태권도 5대 기관의 연혁 및 기능과 역할
Ⅲ. 태권도 용어 및 기본동작의 이해
Ⅳ. 참고문헌 및 출처
Ⅱ. 태권도 역사 : 태권도 5대 기관의 연혁 및 기능과 역할
Ⅲ. 태권도 용어 및 기본동작의 이해
Ⅳ. 참고문헌 및 출처
본문내용
흡이다. 기술별로 사용방법이 다르고, 원칙 및 일관성이 부재되는 현상이 있었다. 이를 개선하기위해 얼굴지르기, 몸통지르기, 아래지르기, 손날 얼굴 비틀어막기 등을 개정하였다. 두 번째로 통일성 미흡이다. 같은 기술을 지역 또는 도장마다 다르게 호칭하고 있어 뒤후리기, 회축, 뒤후려차기, 몸돌려후려차기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세 번째로 긴 용어다. 외국인들이 따라하기 힘들고 외우기 힘든 용어들이 많아 이를 개정할 필요성이 있었는데 예로 굽힌 손목 몸통 바깥막기, 편주먹 몸통 바로 세우기 등이 대표적이다. 마지막으로 겨루기, 시범용어다. 교본에 수록되지 않은 용어들이 많았는데 예를들어 밋뽕, 턴, 따블, 쭈가리, 540도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이처럼 많은 용어들이 각 도장 지역마다 다르게 사용하고 있어 정립작업이 매우 중요했던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태권도는 무예를 바탕으로 하기 때문에 공격 및 방어 목표를 표현해야한다. 공격 및 방어 목표는 생략함을 원칙으로 하되, 기술 지도를 할 때 예령(豫令)으로 쓸 수 있다. 품새 설명처럼 정확한 목표 부위를 나타내야 할 때는 뜻풀이에서 다음에 나온 세부 목표를 활용 할 수 있다. 공격 및 방어 목표는 크게 얼굴/몸통/아래 로 구분할 수 있으며, 세부 목표로는 턱, 목, 옆구리, 관자놀이, 등, 무릎 등으로 구분 할 수 있다. 이를 응용하자면 얼굴 바탕손 앞치기, 몸통 배주먹 바깥치기, 아래 편손끝 젖혀찌르기로 예를 들 수 있다.
이처럼 태권도는 다양한 기술체계를 갖추고 있는데 크게 방어, 공격, 보조 기술로 나눌 수 있다. 방어기술은 막기/빼기/피하기로 구분하며, 공격기술은 지르기, 찌르기, 찍기, 치기, 차기, 꺾기, 넘기기로 구분할 수 있다. 보조기술은 서기, 딛기, 뛰기, 잡기, 밀기, 준비자세, 특수품으로 구분 할 수 있다.
또한, 태권도에서는 본 기술이라하여 방어기술과 공격기술로 구분된다. 여기서 핵심은 ‘힘(Force)’이다. 태권도에서 힘이란 공방을 수행하기 위해 내가 가지고 있는 에너지를 말하며, 이를 어떻게 이용하느냐에 따라 숙련도와 수련의 차이가 나타 날 수 있다. 또한 호흡법은 발살바 호흡법(Valsalva Manuever)이 있는데, 이탈리아 해부학자 발살바가 연구한 호흡법이다. 이 호흡법이 태권도에 매우 적합하며 권장하고 있다.
Ⅳ. 참고 및 출처
세계태권도연수원(WTA), ‘2020년도 [4품-4단 전환보수교육] 온라인 동영상 강의’
또한 태권도는 무예를 바탕으로 하기 때문에 공격 및 방어 목표를 표현해야한다. 공격 및 방어 목표는 생략함을 원칙으로 하되, 기술 지도를 할 때 예령(豫令)으로 쓸 수 있다. 품새 설명처럼 정확한 목표 부위를 나타내야 할 때는 뜻풀이에서 다음에 나온 세부 목표를 활용 할 수 있다. 공격 및 방어 목표는 크게 얼굴/몸통/아래 로 구분할 수 있으며, 세부 목표로는 턱, 목, 옆구리, 관자놀이, 등, 무릎 등으로 구분 할 수 있다. 이를 응용하자면 얼굴 바탕손 앞치기, 몸통 배주먹 바깥치기, 아래 편손끝 젖혀찌르기로 예를 들 수 있다.
이처럼 태권도는 다양한 기술체계를 갖추고 있는데 크게 방어, 공격, 보조 기술로 나눌 수 있다. 방어기술은 막기/빼기/피하기로 구분하며, 공격기술은 지르기, 찌르기, 찍기, 치기, 차기, 꺾기, 넘기기로 구분할 수 있다. 보조기술은 서기, 딛기, 뛰기, 잡기, 밀기, 준비자세, 특수품으로 구분 할 수 있다.
또한, 태권도에서는 본 기술이라하여 방어기술과 공격기술로 구분된다. 여기서 핵심은 ‘힘(Force)’이다. 태권도에서 힘이란 공방을 수행하기 위해 내가 가지고 있는 에너지를 말하며, 이를 어떻게 이용하느냐에 따라 숙련도와 수련의 차이가 나타 날 수 있다. 또한 호흡법은 발살바 호흡법(Valsalva Manuever)이 있는데, 이탈리아 해부학자 발살바가 연구한 호흡법이다. 이 호흡법이 태권도에 매우 적합하며 권장하고 있다.
Ⅳ. 참고 및 출처
세계태권도연수원(WTA), ‘2020년도 [4품-4단 전환보수교육] 온라인 동영상 강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