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셜이노베이션1 ) 소셜, 인공지능, 소셜이노베이션 입니다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소셜이노베이션1 ) 소셜, 인공지능, 소셜이노베이션 입니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소셜이노베이션1] - 소셜이노베이션 화두 9개
1. 왜 사람은 습관을 가지고 있는 것일까요? 그 습관을 형성하기 위해서 우리는 목표지향적이고 의식적으로 접근하면 잘 안되었던 이유도 이제 알 수 있게 되었네요. 그렇다면 소셜이노베이션에서는 어떤 습관을 어떻게 형성할 수 있을까요?
2. 4차 산업혁명과 소셜이노베이션에서 HCI는 어떤 역할을 하는 것일까요? 마크와이저의 유비쿼터스컴퓨팅과 하이데거의 실존주의적 존재론이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무엇입니까? 아이패드는 왜 성공하였다고 하였는지요?
3. ‘이야기의 힘’이 지속가능한 행동유도를 형성하지요? 왜 그럴까요? 어떻게 그런 것이 가능할까요? 소셜이노베이션에서는 어떻게 접근해야 할까요? (무의식, 자동화, 일관성, 스토리 에디팅, 새로운 이야기 단서 제공 참조)
4. 인공지능을 활용하여 소셜이노베이션이 가능할까요? 가능하다면 어떻게 할 수 있을까요? (조현병(정신분열), 환자 미래예측, 부정맥 진단, 암 진단용 AI AR (병리) 현미경 참조)
5. 스페인 몬드라곤의 사회혁신 비밀은 무엇이었는지요? 우리는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할까요?
6. 캐나다 퀘벡과 이탈리아 볼로냐에는 어떤 비밀이 있었는지요? 우리 현실에 맞게 적용할 수 있는 것이 무엇이 있는지요? 총 3개의 사례를 살펴봤습니다. 그렇다면, 이 사례를 토대로 소셜이노베이션의 정의를 내린다면?
7. 서울의 사회혁신 도전 중에 사회적경제특구를 살펴봤습니다. 어떻게 보셨는지요? 서울은 무엇 때문에 사회적경제특구를 시작했을까요? 그리고 그 중 강동구 사회적경제특구는 어떻게 되고 있다고 보시나요? 이 모두 우리의 미래입니다.
8. 디지털 사회혁신의 개념과 다양한 사례를 살펴보았습니다. 특히 인공지능 기술이 활용되는 모습도 보았는데요. 어떤 통찰을 하셨는지 궁금합니다. 이제 사회혁신을 언급할 때 DSI를 인프라로 고려하고 접근하는 것이 필요하지 않을까요?
9. 서울특별시 사회적경제 기본조례, 사회적기업 육성법(사회적기업법), 협동조합 기본법, 도시재생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도시재생법) 등 한국의 사회혁신 관련 주요 법을 확인하였습니다. 어떤 철학과 방향성을 확인할 수 있었는지요?"

본문내용

최우선으로 하는 사회혁신적 자세를 본받아야 한다.
6. 세계 사회적경제 3대 모델로 스페인 몬드라곤과 함께 캐나다의 퀘벡과 이탈리아 볼로냐가 꼽힌다. 퀘벡은 시민참여형 의료협동조합이 중요 역할을 하고, 볼로냐의 뿌리 깊은 사회적 자본은 이탈리아의 사회적 경제를 지탱한다. 우리의 현실에서도 보건복지와 의료, 지역사회 협동조합 등을 응용할 수 있겠다. 사례들을 토대로, 소셜이노베이션은 결국 \'사회가 협력하여 더 나은 방향으로 발전을 이뤄내고자 하는 사회혁신\' 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7. 서울시는 지역별로 역량이나 산업적 특성에 맞게 사회적 경제 방식의 일자리 창출을 위해 사회적경제특구를 시작했다. 예를 들어 강동구의 사회적경제특구는 청년 중심의 가죽 패션 산업 협업체계 구축이 진행되고 있다. 프리마켓, 엔젤공방 등의 프로그램 운영으로 청년 일자리 창출과 산업 부흥에 힘쓰고 있는 것으로 보아 긍정적 효과가 기대된다.
8. 디지털 분야 혁신이 빠질 수 없는 4차 산업혁명의 시대의 사회혁신에 디지털 소셜이노베이션은 기본 인프라로서 고려되어야 한다. 사회를 나은 방향으로 이끌어가는 데에 디지털 분야는 가장 첨단적이고 중요하며 이미 일상에 깊게 자리잡은 혁신인프라이기
  • 가격3,7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22.08.10
  • 저작시기2022.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7691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