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서론
2.본론
1)행동주의 학습이론
2)인본주의 학습이론
3)사회학습이론
4)구성주의 학습
3.결론
4.참고문헌
2.본론
1)행동주의 학습이론
2)인본주의 학습이론
3)사회학습이론
4)구성주의 학습
3.결론
4.참고문헌
본문내용
목표를 위하여 경쟁한다. 즉 학생들끼리 서로 높은 점수를 받기위해서 애쓰는 것으로 등수를 따지는 뜀뛰기와 같은 경쟁적 상호작용이다. 구성주의에 따르면, 개인들은 새로운 지식을 그들의 이전 기술과 지식 사이의 상호작용을 통해서(인지적 구성주의), 혹은 동료, 교사와 사회적 활동으로부터의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해 습득한 기술과 지식 사이의 상호작용을 통해서(사회문화적 구성주의)새로운 지식을 구성한다고 주장한다. 인지적 구성주의와 사회문화적 구성주의는 이와 같이 인식론적 설명에 초점을 두어, 종국에 절대적 지식은 존재하지 않는다는 인식론적 상대주의(epistemological relativism)를 옹호하게 된다. 조화태 외2 (2012). 인간과 교육.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따라서 학습자와 독립된 지식의 독자적인 존재를 부정한다는 한계를 수반한다. 즉, 구성주의 이론은 지식에 관한 이론을 다루는 인식론을 실재(reality)에 관한 이론을 다루는 존재론으로 환원하는 오류를 범하고 있다(이성회, 2018). 조화태 외2 (2012). 인간과 교육.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또한 구성주의 이론은 수동적 학습, 암기 등과 같은 전통적 방식의 학습을 간과하였다는 비판을 받기도 한다. 박승호 (2004). 학습에 대한 인지적 구성주의와 사회적 구성주의의 이론적 검토. 사회과학논총
3.결론
행동주의 학습이론은 인간 행동의 원인에 관심을 두어 학습의 동기를 자극 하며, 인본주의 학습이론은 개인의 성장에 중점을 두어 자아실현을 도와준다. 또한, 사회학습이론은 인간이 조직 혹은 단체 안에서 상호 간에 학습 즉 다른 사람의 행동을 관찰한 결과로 나타난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구성주의 학습이론은 개인이 학습하면서 능동적으로 받아들이는 이론이라는 각각의 차이점을 보이고 있다.
지금까지 개발된 성인학습이론은 주로 인본주의적, 구성주의적 행동주의, 인본주의, 사회학습적 접근 방식을 취하는 특성을 보인다. 이는 ‘학습’이라는 개념 자체의 특성과 무관하지 않아 보인다. 교수자가 ‘저기 밖에 있는 지식(knowledge out there)’을 가르친다고 성인학습자가 그 지식을 다 배우는 것은 아니라는 가정하에, (성인)학습자 혹은 학습을 중심에 둔 성인학습이론은 태생적으로 지식이나 진리를 다루는 존재론보다는, 그것을 인식하는 인간 혹은 개인의 인식 과정을 논의하는 인식론에 관심을 두게 된다. Piaget의 구성주의 학습이론이 그 좋은 예이다. 게다가, 현대 교육의 구조주의와 비판이론의 영향을 받아 성인학습이론에서 구성주의적 접근 방식은 더욱 강화되는 경향을 보인다(Haggis, 2009) 박승호 (2004). 학습에 대한 인지적 구성주의와 사회적 구성주의의 이론적 검토. 사회과학논총
. 즉, 절대적 지식은 존재하지 않으며, 지식 자체가 사회적 강자에 의해 사회적으로 구성된 담론 혹은 헤게모니라는 이들의 입장은 성인학습이론에서 구성주의 접근 방식이 주류를 차지하게 하는 데 일정 부분 기여하였다. 또한, 성인학습이론에서 시하하는 바는 중심이 개별 성인학습자의 인지, 혹은 심리 내부에 초점을 둔 심리학적 접근 방식에서 그 무게추가 개별 학습자를 둘러싼 사회적 맥락 혹은 학습적 맥락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학습이 구성은 사회학적 접근 방식이 성인학습이론에 종합되어 온 과정이라는 것이다. 그러나 아쉽게도 현재의 학습이론이 강조하는 것은 학습에서의 ‘사회적 상황’이다. 게다가 여기에서 분명하게 정의 내리고 있지 않은 것은 ‘사회’가 무엇인지에 대한 부분이다. 사회는 학습적 맥락인가? 학습을 하는 기관인가? 학습 장치인가? 사람 사이의 관계 자체인가? 아니면 관계로 구성된 다른 그 무언가인가? 라는 질문에 대해서 성인학습이론은 제공해주어야 하는 것은 명백한 설명이다. 우리는 어떻게 학습자가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해 사회가 무엇인지에 대한 정의를 밑바탕으로 학습자의 인식이 어떠한 인과 기제로 바뀌고, 새로운 경험과 비교하여 과거 겪었던 일에 대한 학습이 일어나는지에 대해 지금보다 명석한 설명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4.참고문헌
박승호 (2004). 학습에 대한 인지적 구성주의와 사회적 구성주의의 이론적 검토. 사회과학논총
조한무 (2004). 사회적 구성주의 관점에서 동료평가의 이론적 탐색. 교육논총.
이완희 외1 (2016). 잠재성장모형을 활용한 사회학습이론과 일반긴장이론의 비교연구. 한국경찰학회보
조화태 외2 (2012). 인간과 교육.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두산백과
따라서 학습자와 독립된 지식의 독자적인 존재를 부정한다는 한계를 수반한다. 즉, 구성주의 이론은 지식에 관한 이론을 다루는 인식론을 실재(reality)에 관한 이론을 다루는 존재론으로 환원하는 오류를 범하고 있다(이성회, 2018). 조화태 외2 (2012). 인간과 교육.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또한 구성주의 이론은 수동적 학습, 암기 등과 같은 전통적 방식의 학습을 간과하였다는 비판을 받기도 한다. 박승호 (2004). 학습에 대한 인지적 구성주의와 사회적 구성주의의 이론적 검토. 사회과학논총
3.결론
행동주의 학습이론은 인간 행동의 원인에 관심을 두어 학습의 동기를 자극 하며, 인본주의 학습이론은 개인의 성장에 중점을 두어 자아실현을 도와준다. 또한, 사회학습이론은 인간이 조직 혹은 단체 안에서 상호 간에 학습 즉 다른 사람의 행동을 관찰한 결과로 나타난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구성주의 학습이론은 개인이 학습하면서 능동적으로 받아들이는 이론이라는 각각의 차이점을 보이고 있다.
지금까지 개발된 성인학습이론은 주로 인본주의적, 구성주의적 행동주의, 인본주의, 사회학습적 접근 방식을 취하는 특성을 보인다. 이는 ‘학습’이라는 개념 자체의 특성과 무관하지 않아 보인다. 교수자가 ‘저기 밖에 있는 지식(knowledge out there)’을 가르친다고 성인학습자가 그 지식을 다 배우는 것은 아니라는 가정하에, (성인)학습자 혹은 학습을 중심에 둔 성인학습이론은 태생적으로 지식이나 진리를 다루는 존재론보다는, 그것을 인식하는 인간 혹은 개인의 인식 과정을 논의하는 인식론에 관심을 두게 된다. Piaget의 구성주의 학습이론이 그 좋은 예이다. 게다가, 현대 교육의 구조주의와 비판이론의 영향을 받아 성인학습이론에서 구성주의적 접근 방식은 더욱 강화되는 경향을 보인다(Haggis, 2009) 박승호 (2004). 학습에 대한 인지적 구성주의와 사회적 구성주의의 이론적 검토. 사회과학논총
. 즉, 절대적 지식은 존재하지 않으며, 지식 자체가 사회적 강자에 의해 사회적으로 구성된 담론 혹은 헤게모니라는 이들의 입장은 성인학습이론에서 구성주의 접근 방식이 주류를 차지하게 하는 데 일정 부분 기여하였다. 또한, 성인학습이론에서 시하하는 바는 중심이 개별 성인학습자의 인지, 혹은 심리 내부에 초점을 둔 심리학적 접근 방식에서 그 무게추가 개별 학습자를 둘러싼 사회적 맥락 혹은 학습적 맥락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학습이 구성은 사회학적 접근 방식이 성인학습이론에 종합되어 온 과정이라는 것이다. 그러나 아쉽게도 현재의 학습이론이 강조하는 것은 학습에서의 ‘사회적 상황’이다. 게다가 여기에서 분명하게 정의 내리고 있지 않은 것은 ‘사회’가 무엇인지에 대한 부분이다. 사회는 학습적 맥락인가? 학습을 하는 기관인가? 학습 장치인가? 사람 사이의 관계 자체인가? 아니면 관계로 구성된 다른 그 무언가인가? 라는 질문에 대해서 성인학습이론은 제공해주어야 하는 것은 명백한 설명이다. 우리는 어떻게 학습자가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해 사회가 무엇인지에 대한 정의를 밑바탕으로 학습자의 인식이 어떠한 인과 기제로 바뀌고, 새로운 경험과 비교하여 과거 겪었던 일에 대한 학습이 일어나는지에 대해 지금보다 명석한 설명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4.참고문헌
박승호 (2004). 학습에 대한 인지적 구성주의와 사회적 구성주의의 이론적 검토. 사회과학논총
조한무 (2004). 사회적 구성주의 관점에서 동료평가의 이론적 탐색. 교육논총.
이완희 외1 (2016). 잠재성장모형을 활용한 사회학습이론과 일반긴장이론의 비교연구. 한국경찰학회보
조화태 외2 (2012). 인간과 교육.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두산백과
추천자료
성인학습및상담론 공통) 행동주의 학습이론, 인본주의 학습이론, 사회학습이론, 구성주의 학...
성인학습및상담론_행동주의 학습이론, 인본주의 학습이론, 사회학습이론, 구성주의 학습이론...
성인학습및상담론=> 행동주의 학습이론, 인본주의 학습이론, 사회학습이론, 구성주의 학습이...
성인학습및상담론 행동주의 학습이론, 인본주의 학습이론, 사회학습이론, 구성주의 학습이...
[성인학습 및 상담론 공통] 행동주의 학습이론, 인본주의 학습이론, 사회학습이론, 구성주의 ...
행동주의 학습이론 인본주의 학습이론 사회학습이론 구성주의 학습이론을 비교·설명하고 각 ...
[성인학습 및 상담론 공통] 행동주의 학습이론, 인본주의 학습이론, 사회학습이론, 구성주의 ...
[2021 성인학습및상담론][출처표기] 행동주의 학습이론, 인본주의 학습이론, 사회학습이론, ...
[2021 성인학습및상담론3공통][출처표기] 행동주의 학습이론, 인본주의 학습이론, 사회학습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