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급간호학 ) 기본소생술(BLS)의 과정을 기술하고, COVID-19 감염 또는 의심 환자 시 추가되는 내용도 기술하시오 심실세동과 무수축 각각을 설명하고, 치료과정의 차이점을 기술하시오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응급간호학 ) 기본소생술(BLS)의 과정을 기술하고, COVID-19 감염 또는 의심 환자 시 추가되는 내용도 기술하시오 심실세동과 무수축 각각을 설명하고, 치료과정의 차이점을 기술하시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기본소생술(BLS)의 과정을 기술하고, COVID-19 감염 또는 의심 환자 시 추가되는 내용도 기술하시오(10점).
2. 심실세동과 무수축 각각을 설명하고, 치료과정의 차이점을 기술하시오(10점).
3. 제세동(Defibrillation)과 심율동전환(cardioversion) 치료과정의 차이점을 기술하시오(10점).

본문내용

맥으로 부른다. 이를 치료하기 위해서는 약물치료를 통해 심실의 반응인 맥박수를 감소시켜야 하는데, 칼슘통로차단제인 딜티아젬을 우선 투여하고 베라파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베타차단제인 에스몰롤, 아테놀롤, 메토프롤롤, 그리고 프로프파놀롤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불규칙적인 좁은 QRS 빈맥을 가지고 있는 경우에는 디곡신, 아미오다론 등을 사용하거나 전극도자 절제술을 사용할 수 있는데, 이를 통해 가슴의 두근거림이나 피로, 그리고 운동저하 등을 없앨 수 있다.
규칙적인 넓은 QRS 빈맥은 혈역할적으로 안정적인 심실성 빈맥을 뜻하는데, 이 빈맥의 증상에는 심근경색증, 심근증 등이 있다. 유발인자로는 심근허혈, 조기박동, 심박수의 변화, 그리고 스트레스나 흥분상태 등이 나타날 수 있으며, 항부정맥제를 투여하여 치료할 수 있다. 그 중에는 아데노신과 프로케이나마드, 혹은 아미오다론 등이 해당한다. 필요한 경우에는 심율동 전환을 시행하기도 한다.
즉 심정지가 나타나는 경우 제세동을 통해 심장에 전류를 흘려보내 심장의 반응을 이끌어내는 반면, 심박동수가 분당 100회를 넘는 빈맥이 일어나는 경우에는 심율동전환을 시행할 수 있다. 빈맥은 주로 혈압의 저하나 의식 저하를 초래하기 때문에, 빈맥이 이 증상을 초래한 것인지 해당 증상으로 인해 빈맥이 발생하는 것인지를 판단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심장의 변화는 급격하게 일어나며, 신속한 의료처치를 하지 않는 경우 돌이킬 수 없는 결과를 이끌어낼 수 있기 때문에 올바른 판단을 바탕으로 치료방법을 택해야 한다.
출처 및 참고문헌
응급간호학, 방송대 멀티미디어 강의안
  • 가격3,7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22.08.23
  • 저작시기2021.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8078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