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개정 누리과정 적용에 따른 교육계획안 작성 시 강조되고 있는 고려점을 논리적으로 서술하시오.
1) 누리과정의 개요
2) 교육계획안 작성의 원리와 필요성
3) 개정 누리과정 적용에 따른 교육계획안 작성 시 강조해야 할 점
2. 동작, 언어, 미술, 음악, 수학, 과학, 사회 교육 중 본인이 가장 자신이 없는 것 1개를 선택하시오. 선택한 교과와 관련된 개정 누리과정 영역 목표, 내용 범주 및 내용, 놀이 사례, (제시한 놀이 사례 관련) 놀이중심 활동계획안을 작성하시오.
3. 이야기 나누기, 새 노래, 게임의 활동 유형별 수업 방법의 순서(총 3개 활동)에 대해 방송대 교과교육론 교재를 참고하여 기술하시오.
1) 이야기 나누기
2) 새 노래
3) 게임
*참고문헌
1) 누리과정의 개요
2) 교육계획안 작성의 원리와 필요성
3) 개정 누리과정 적용에 따른 교육계획안 작성 시 강조해야 할 점
2. 동작, 언어, 미술, 음악, 수학, 과학, 사회 교육 중 본인이 가장 자신이 없는 것 1개를 선택하시오. 선택한 교과와 관련된 개정 누리과정 영역 목표, 내용 범주 및 내용, 놀이 사례, (제시한 놀이 사례 관련) 놀이중심 활동계획안을 작성하시오.
3. 이야기 나누기, 새 노래, 게임의 활동 유형별 수업 방법의 순서(총 3개 활동)에 대해 방송대 교과교육론 교재를 참고하여 기술하시오.
1) 이야기 나누기
2) 새 노래
3) 게임
*참고문헌
본문내용
있도록 개방적인 질문을 해야 한다. 실물자료를 활용하거나 상황극이나 노래, 신체 표현 등의 다양한 영역을 통합할 수 있다. 한편, 이야기 나누기에서는 직접 나서서 말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다른 사람의 말을 듣는 경청의 태도를 길러주는 것도 필요하다.
2) 새 노래
새 노래는 노래 부르기를 통해 음악을 즐기게 하여 일상에서 음악을 통한 만족감을 느끼고 즐거움을 찾을 수 있도록 하는데 목표를 둔다. 노래를 선택할 때는 유아의 감정이라든지 친구, 가족과 관련한 것처럼 생활 주제를 잘 표현한 곡을 선택하면 좋다. 노래의 음역이 넓거나 복잡한 노래보다는 단순하고 밝은 분위기의 노래가 좋다.
노래 지도 순서는 다음과 같이 진행한다. ‘사전준비-도입-노랫말 익히기-교사의 선창-한 가지 소리로 음 익히기-노랫말 넣어 부르기-반복해서 부르기-평가하기’이다. 사전 준비 단계에서 교사는 주제에 맞는 다양한 장르의 곡을 미리 준비하고 음과 리듬, 반주 연습과 가사를 미리 숙지하여야 한다. 준비가 끝나면 유아들을 집중이 잘 되는 대형으로 앉히고 도입 자료를 제시하여 관심을 환기한다. 노래 가사를 쉽게 익히게 하기 위해 음 길이에 따라 읽어주거나 가사에 대한 느낌을 이야기하는 시간을 가질 수 있다. 다음 교사의 육성으로 노래 전체를 불러주어 노래 전체의 분위기를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다. 유아들이 직접 노래를 부를 수 있도록 아, 오 등 한 가지 소리로 음을 익히도록 한 후, 가사를 결합하여 노래를 부를 수 있도록 지도하고 익숙해지도록 반복하여 지도한다. 노래를 반복해서 불러본 후에는 노래를 부른 느낌과 다음 활동에 대해 서로 이야기하도록 한다.
새 노래 활동 시, 음원보다는 교사가 직접 반주하고 노래하는 것으로 들려주는 것이 좋다. 노래의 특성에 맞는 다양한 자료와 교수법을 계획하여야 하며, 정확하게 노래를 부르는 것보다는 일상생활에서 즐겁게 부를 수 있게 하여주는 것이 좋다.
3) 게임
게임 활동은 규칙을 준수하고 사회 협응 능력을 키울 수 있다는 점에서 교육적 효과를 가진다. 또한, 게임을 통해 인지적 전략과 문제해결력을 키울 수 있으며, 자기감정에 대한 통찰력을 가질 수 있다. 게임은 목표지향적이며 인지적 조절이 필요하고, 게임의 규칙 등 많은 제약에 따라야 한다는 점에서 놀이와는 차이를 가진다.
게임 활동에는 원 게임, 자유 대형 게임, 편 게임이 있다. 이 중에서 편 게임은 특히 지시사항과 규칙이 많은 게임으로 가장 구조화되어있다. 편에 대한 의식과 목표 달성을 위한 협력을 통해 성취감을 느낄 수 있는 활동이다.
편 게임의 진행 순서는 다음과 같다. ‘사전 준비-양 팀으로 나누어 앉기-각 팀의 인원수가 같은지 확인하기-팀 이름 정하기-응원하기-게임도구를 보고 게임 방법을 정하기-게임을 할 때 지켜야 할 규칙 정하기-게임 시작하기-승부 확인하기-게임이 종료되면 평가하기’의 순서이다. 편 게임을 하기 전에는 유아의 발달 수준과 주제에 맞는 활동인지 계획을 하고 그에 맞는 교재와 게임 도구를 준비해야 한다. 그리고 각 팀이 앉는 자리를 표시하여 유아의 나이와 성별, 몸집 등을 고려하여 양 팀으로 나누어 앉힌다. 각 팀이 정해지면 마주 보고 있는 유아끼리 악수를 하거나 팀 인원을 세어볼 수 있다. 그리고 팀의 이름과 응원 구호를 정한다. 다음으로 교사가 준비한 게임 자료를 탐색하여 방법을 직접 제안하도록 하거나 다수결을 통해 결정하고 시범을 보이게 한다. 게임을 할 때 지켜야 할 규칙은 유아들이 제시하고 직접 지킬 수 있도록 한다. 정해진 방법과 규칙을 바탕으로 각 팀에서 한 명씩 나와서 게임을 하고, 다른 유아들은 응원하며 차례를 기다리도록 한다. 교사는 유아들이 게임의 승패에 대해 서로 싸우지 않고 응원하며 격려하는 분위기가 조성되도록 지원하여야 한다. 승부가 끝나면 게임에 대해 아쉬웠던 점과 반성할 점을 서로 평가하며 이야기하고 게임을 하고 난 자리를 다 함께 정리하고 다음 활동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한다.
게임 활동을 할 때 교사는 유아의 발달과 개인 차이를 고려하여 계획하여야 하며, 적절한 도구를 사용하여 게임에 재미있게 참여할 수 있도록 지원하여야 한다. 게임 방법을 정할 때는 교사의 일방적인 제안보다는 유아와 함께 소통하며 게임 방법을 정해보는 것도 좋다.
* 참고문헌
교과교육론 강의교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누리과정 개정의 배경과 개정 내용. 김은영. 육아정책연구소. 2019/12/31 http://repo.kicce.re.kr/handle/2019.oak/4164
2) 새 노래
새 노래는 노래 부르기를 통해 음악을 즐기게 하여 일상에서 음악을 통한 만족감을 느끼고 즐거움을 찾을 수 있도록 하는데 목표를 둔다. 노래를 선택할 때는 유아의 감정이라든지 친구, 가족과 관련한 것처럼 생활 주제를 잘 표현한 곡을 선택하면 좋다. 노래의 음역이 넓거나 복잡한 노래보다는 단순하고 밝은 분위기의 노래가 좋다.
노래 지도 순서는 다음과 같이 진행한다. ‘사전준비-도입-노랫말 익히기-교사의 선창-한 가지 소리로 음 익히기-노랫말 넣어 부르기-반복해서 부르기-평가하기’이다. 사전 준비 단계에서 교사는 주제에 맞는 다양한 장르의 곡을 미리 준비하고 음과 리듬, 반주 연습과 가사를 미리 숙지하여야 한다. 준비가 끝나면 유아들을 집중이 잘 되는 대형으로 앉히고 도입 자료를 제시하여 관심을 환기한다. 노래 가사를 쉽게 익히게 하기 위해 음 길이에 따라 읽어주거나 가사에 대한 느낌을 이야기하는 시간을 가질 수 있다. 다음 교사의 육성으로 노래 전체를 불러주어 노래 전체의 분위기를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다. 유아들이 직접 노래를 부를 수 있도록 아, 오 등 한 가지 소리로 음을 익히도록 한 후, 가사를 결합하여 노래를 부를 수 있도록 지도하고 익숙해지도록 반복하여 지도한다. 노래를 반복해서 불러본 후에는 노래를 부른 느낌과 다음 활동에 대해 서로 이야기하도록 한다.
새 노래 활동 시, 음원보다는 교사가 직접 반주하고 노래하는 것으로 들려주는 것이 좋다. 노래의 특성에 맞는 다양한 자료와 교수법을 계획하여야 하며, 정확하게 노래를 부르는 것보다는 일상생활에서 즐겁게 부를 수 있게 하여주는 것이 좋다.
3) 게임
게임 활동은 규칙을 준수하고 사회 협응 능력을 키울 수 있다는 점에서 교육적 효과를 가진다. 또한, 게임을 통해 인지적 전략과 문제해결력을 키울 수 있으며, 자기감정에 대한 통찰력을 가질 수 있다. 게임은 목표지향적이며 인지적 조절이 필요하고, 게임의 규칙 등 많은 제약에 따라야 한다는 점에서 놀이와는 차이를 가진다.
게임 활동에는 원 게임, 자유 대형 게임, 편 게임이 있다. 이 중에서 편 게임은 특히 지시사항과 규칙이 많은 게임으로 가장 구조화되어있다. 편에 대한 의식과 목표 달성을 위한 협력을 통해 성취감을 느낄 수 있는 활동이다.
편 게임의 진행 순서는 다음과 같다. ‘사전 준비-양 팀으로 나누어 앉기-각 팀의 인원수가 같은지 확인하기-팀 이름 정하기-응원하기-게임도구를 보고 게임 방법을 정하기-게임을 할 때 지켜야 할 규칙 정하기-게임 시작하기-승부 확인하기-게임이 종료되면 평가하기’의 순서이다. 편 게임을 하기 전에는 유아의 발달 수준과 주제에 맞는 활동인지 계획을 하고 그에 맞는 교재와 게임 도구를 준비해야 한다. 그리고 각 팀이 앉는 자리를 표시하여 유아의 나이와 성별, 몸집 등을 고려하여 양 팀으로 나누어 앉힌다. 각 팀이 정해지면 마주 보고 있는 유아끼리 악수를 하거나 팀 인원을 세어볼 수 있다. 그리고 팀의 이름과 응원 구호를 정한다. 다음으로 교사가 준비한 게임 자료를 탐색하여 방법을 직접 제안하도록 하거나 다수결을 통해 결정하고 시범을 보이게 한다. 게임을 할 때 지켜야 할 규칙은 유아들이 제시하고 직접 지킬 수 있도록 한다. 정해진 방법과 규칙을 바탕으로 각 팀에서 한 명씩 나와서 게임을 하고, 다른 유아들은 응원하며 차례를 기다리도록 한다. 교사는 유아들이 게임의 승패에 대해 서로 싸우지 않고 응원하며 격려하는 분위기가 조성되도록 지원하여야 한다. 승부가 끝나면 게임에 대해 아쉬웠던 점과 반성할 점을 서로 평가하며 이야기하고 게임을 하고 난 자리를 다 함께 정리하고 다음 활동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한다.
게임 활동을 할 때 교사는 유아의 발달과 개인 차이를 고려하여 계획하여야 하며, 적절한 도구를 사용하여 게임에 재미있게 참여할 수 있도록 지원하여야 한다. 게임 방법을 정할 때는 교사의 일방적인 제안보다는 유아와 함께 소통하며 게임 방법을 정해보는 것도 좋다.
* 참고문헌
교과교육론 강의교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누리과정 개정의 배경과 개정 내용. 김은영. 육아정책연구소. 2019/12/31 http://repo.kicce.re.kr/handle/2019.oak/4164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