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마케팅 조사의 절차를 단계별로 분류하여 구분하고, 단계별 주요내용을 보충설명하시오(2p)
2. 외생변수의 통제방법을 분류하여 정리하고, 각 실제적인 사례를 틀어서 보충설명하시오(2p)
3. 참고문헌
2. 외생변수의 통제방법을 분류하여 정리하고, 각 실제적인 사례를 틀어서 보충설명하시오(2p)
3. 참고문헌
본문내용
단계이다. 드러난 증상(점유율 하락, 매출액 감소, 유통의 문제 등)에 대해 증상의 원인인 문제(고객감소, 비용 과다 지출, 판촉 활동 미비 등)를 밝혀내어, 의사결정 문제와 마케팅 조사문제를 정의하는 단계이다. 의사결정 문제는 증상에 따른 문제를 가지고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지 의사결정 방법을 찾는 문제이며, 시장 환경의 변화와 기업 내의 문제와 전략을 찾고 이를 통해 마케팅 조사문제를 도출하게 된다. 이처럼 마케팅 조사에서는 증상에 대해 문제를 정립하는 것에서부터 조사가 시작된다고 볼 수 있다. 다음은 조사설계 단계에서는 1단계에서 정의된 문제와 관련하여, 수립된 가설을 검증할 수 있는 전체적인 조사 계획을 설계하는 과정이다, 조사의 종류에는 가설을 설정하는 예비조사 단계와 가설을 검증하는 확정적 조사 단계로 구분할 수 있는데, 예비조사는 주로 가설을 설정하기 위해 문헌 조사나 경험 조사, 사례조사와 같은 탐색 조사가 실시된다. 확인적 조사에서는 설정된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기술조사나 인과 조사로 수집하는데 기술조사에는 횡단 조사, 종단조사가 있으며 인과조사에는 실험조사나 유사실험조사가 있다. 크게 탐색 조사와 확인적 조사의 차이는 탐색 조사에서는 가설을 설정하기 위해 실시되어, 필요한 정보를 개략적으로 정의하고 정성적 자료가 특징이다. 표본은 보다 소규모이며 비대표적인 특성이 있다. 조사 과정은 유연하고 비구조적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것이 특징이며, 탐색적 조사를 통해 후속 인과조사나 종결 조사로 이어지기 때문에 결과 또한 잠정적으로 나오게 된다. 확인적 조사에서는 검증하기 위해 분명하게 정의하여야 하므로, 자료도 계량적이며 필요한 정보를 정확하고 구조적으로 수집하여야 한다. 구체적인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실시되어, 표본도 대규모로 대표적인 특성을 보이게 된다. 결정적인 결과를 통해 의사결정의 자료로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 이처럼 2단계에서는 가설의 유형에 따라 해당하는 조사를 선택하고 조사의 전체적인 과정을 설계하는 단계이다. 다음은 자료수집방법의 결정 단계이다. 문제 해결을 위해 자료를 수집하는 방법을 결정하는 단계로 1차 자료와 2차 자료로 구분한다. 1차 자료는 조사자가 직접 수집한 자료로, 조사자가 직접 개입되기 때문에 자료의 적합도가 높다. 2차 자료는 이미 존재하는 자료구조로,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마케팅 조사에서는 2차 자료를 먼저 수집하여 분석한 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1자 자료를 수집하게 된다. 1차 자료는 관찰법, 서베이법, 실험법 등으로 수집할 수 있는데 관찰법은 행동 또는 상황 등을 직접 관찰하여 자료를 수집하는 방법으로, 조사 모집단을 가지고 상황을 직접 관찰하여야 하기에 많은 시간이 투입된다. 서베이법은 설문지를 통해 정보를 수집하는 방법으로 인터넷이나 편지, 전화, 1:1 면접법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수집할 수 있다. 실험법은 변수를 설정하고 인과관계를 조사하는 방법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눠 두 집단 간을 비교 측정하는 방법이다. 다음은 표적집단면접법(FGI)은 사회자의 진행 아래에 특정 주제를 가지고 여러명의 참가자들이 한자리에 모여서 토론을 진행하고, 이를 토대로 자료를 수집하는 방법이다. 자료수집방법을 결정하게 되면, 자료를 수집하기 위한 표본을 설계하는 단계로 넘어가게 된다. 표본을 통해 전체를 유추하기 때문에 표본을 모집하는 것도 중요한 과정이다. 표본설계 중 조사대상 전체를 조사하는 전수조사와 조사 대상자 중 일부만을 조사하는 표본조사로 구분하게 되는데 전수조사인 경우 한정된 자원과 시간 안에서 실시하는데 한계가 있으므로, 대부분 표본조사를 실시하게 된다. 표본을 추출하기 위해 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