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갑상선 해부생리
1)육안해부
2)현미해부
2.뇌의 기능 및 해부생리
1)뇌의 기능
2)뇌의 구조(대뇌,간뇌,뇌간,소뇌)
3.척수의 기능 및 해부생리
1)척수의 기능
2)척수의 구조
4.신경계 해부
1)중추신경계
2)말초신경계
3)자율신경계
5.갑상선기능저하증
1)정의
2)원인
3)증상
4)진단
5)검사
6)치료
7)경과/합병증
8)식이요법
6.갑상선기능항진증
1)정의
2)원인
3)증상
4)진단
5)검사
6)치료
7)경과/합병증
8)생활가이드
7.신경계 질환
1)CVA(Cerebrovascular Accident) 뇌졸중
2)cerebral aneurysm(뇌동맥류)
3)brain abscess(뇌농양)
4)brain tumor(뇌종양)
5)meningitis(뇌막염)
6)spinal cord injury(척수손상)
7)spinal cord tumor(척수종양)
8)H.N.P(Herniation of Nucieus Pulposus) 추간판 탈출증
9)facial paralysis(안면마비)
10)multiple sclerosis(다발성 경화증)
8.신경계 검사
1)ECT
2)CT
3)MRI
4)ABD, ABD ultrasonography
9. 외과에서 필요한 간호
1)수술 전 후 관리
2)상처간호
3)정맥수액주입
4)PCA 간호
5)Hemovac관리
6)비경구적영양(TPN)
7)장루간호
1)육안해부
2)현미해부
2.뇌의 기능 및 해부생리
1)뇌의 기능
2)뇌의 구조(대뇌,간뇌,뇌간,소뇌)
3.척수의 기능 및 해부생리
1)척수의 기능
2)척수의 구조
4.신경계 해부
1)중추신경계
2)말초신경계
3)자율신경계
5.갑상선기능저하증
1)정의
2)원인
3)증상
4)진단
5)검사
6)치료
7)경과/합병증
8)식이요법
6.갑상선기능항진증
1)정의
2)원인
3)증상
4)진단
5)검사
6)치료
7)경과/합병증
8)생활가이드
7.신경계 질환
1)CVA(Cerebrovascular Accident) 뇌졸중
2)cerebral aneurysm(뇌동맥류)
3)brain abscess(뇌농양)
4)brain tumor(뇌종양)
5)meningitis(뇌막염)
6)spinal cord injury(척수손상)
7)spinal cord tumor(척수종양)
8)H.N.P(Herniation of Nucieus Pulposus) 추간판 탈출증
9)facial paralysis(안면마비)
10)multiple sclerosis(다발성 경화증)
8.신경계 검사
1)ECT
2)CT
3)MRI
4)ABD, ABD ultrasonography
9. 외과에서 필요한 간호
1)수술 전 후 관리
2)상처간호
3)정맥수액주입
4)PCA 간호
5)Hemovac관리
6)비경구적영양(TPN)
7)장루간호
본문내용
되어 있고 안에는 갑상선 호르몬의 저장 형태인 교질 colloid로 채워져 있다.
* 뇌의 기능 및 해부생리
기능
1. 운동 기능대뇌는 의식적이고 자발적인 운동을 일으킨다. 대뇌의 운동피질(motor cortex)에서 자발적 운동에 대한 계획이 수립되면 이 신호는 긴밀하게 연결된 신경세포들을 통해 뇌줄기, 척수를 지나 각각의 근육으로 전달된다. 운동피질에서 근육으로 이르는 신호전달경로에 문제가 생기면 운동기능이 마비되기도 한다. 이 과정에서 소뇌는 대뇌의 기능으로 이루어지는 자발적인 근육운동을 보다 세밀하게 만들고, 여러 근육을 동시에 움직일 때 조화롭게 이루어지도록 돕는다.2. 감각정보 처리 기능대뇌피질의 감각영역에서 촉각, 통각 등의 체성감각과 시각, 청각, 미각, 후각 등 각각의 감각기관에서 들어온 신호들을 접수하고 처리하여, 인식하고 지각할 수 있도록 한다.3. 언어 기능주로 대뇌피질(cerebral cortex)의 언어영역에서 수행하는 기능으로 언어영역은 주로 발성 등 운동기능을 수행하는 전두엽(frantal lobe)의 브로카 영역(Broca’s area)과 이해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측두엽(temporal lobe)의 베르니케 영역(Wernicke’s area)으로 구성된다. 이 두 영역은 궁상얼기(arcuate fasciculus)라는 백질(white matter)조직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다.4. 학습과 기억 기능주로 대뇌의 해마가 관여한다.5. 항상성의 유지자율신경계 및 호르몬 분비를 통한 대사 조절, 체온과 일주리듬(circadian rhythm)의 유지, 갈증, 굶주림, 피로의 조절 등 기초적인 신체 대사를 유지한다. 이러한 기능은 주로 시상하부에서 이루어진다.6. 호르몬의 분비주로 뇌하수체에서 일어나는 기능으로 신체 대사 및 생식과 관련된 여러 호르몬을 분비한다.
해부생리
(1) 뇌의 구조
① 뇌는 대뇌, 간뇌, 중뇌, 뇌간, 소뇌로 구성
② 견고한 두개골 안에 3개의 뇌막에 의해 둘러싸여 보호받고 있음
경막
(dura mater)
가장 바깥층에 위치한 단단한 섬유층: 동맥기 있음
지주막
(arachnoid)
경막 아래에 위치하는 막: 정맥이 있음(거미줄과 같이 생긴 막), 지주막하에 CSF가 흐름
연막
(pia mater)
뇌 및 척수와 가장 인접한 막
(2) 대뇌(Cerebrum)
- 구조
뇌 전체 무게의 80%를 차지
좌우 2개의 반구로 이루어져 있음
회백질과 백질로 구분
① 회백질: 뇌의 외층인 피질을 형성하고 시상핵, 시상하부, 그리고 기저신경절을 이룸
② 백질: 뇌의 내층인 수질부분으로 신경흥분을 전달하는 통로가 됨
전두엽
(frontal
lobe)
위치
두개골 전면 부위
기능
인격, 고위인지기능(학습, 문제해결 능력, 판단 등)
전운동 영역(복잡하고 학습된 무의식적 긴장이나 운동을 조절하고 통합)
전두엽의 뒤쪽 끝부분은 운동 행위 시작을 명령함→ 언어표현 할 수 있게 함(Broca\'s area= 운동성 언어영역(potor speech area) 따라서 이 곳 손상 시, 운동성 실어증(motor aphasia): 단어의 뜻은 아는데 말을 할 수 없게 됨)
최근 감각 자료 평가 및 판단, 과정 정보나 경험 판단
두정엽
(parietal area)
위치
두개골의 천정부위
기능
받아들인 감각(통각, 온각, 촉각 등)의 해석에 관여함
노래, 악기, 언어, 비언어적 시각 경험 과정에 중요
측두엽
(temporal area)
위치
두개골 양측부위
기능
청각, 미각, 후각의 중추→ 말하고 듣기 영역(Wernicke\'s area=언어 이해영역(sensory speech area) 따라서 이 곳 손상시, 감각성실어증(receptive aphasia): 언어의 뜻을 이해할 수 없게 됨
후두엽
(occipital area)
위치
두개골 뒷부분
기능
시각 중추: 본 것을 인지, 해석
장애시 실인증(agnosia): 보고 듣거나 만져서 익숙한 사물을 인지하는 능력 부전
변연계
(limbic system)
위치
측두엽 안에 깊숙이 있음
기능
생존과 관련된 정서와 본능적인 충동(배고픔, 공격성, 성적 흥분 등): 감정적인 면을 유발
학습과 기억
(3) 간뇌(Diencephalon)
① 위치: 두 대뇌 반구가 합쳐지는 중간에 위치, 대뇌 피질 아래
② 기능
- 시상(thalamus)
후각을 제외한 말초에서 오는 모든 감각자극을 대뇌피질까지 올려 보내 전달하는 교 차로의 역할(→감각신경섬유의 연결부위)
감각신경에서 오는 충격을 받아들이고 전달하는 중추
동통, 온도변화 인지, 집중력 및 망상활성계 및 변연계에 관여, 분노, 공포, 사랑, 미 움과 같은 원초적인 정서 반응을 조절
- 시상하부(hypothalamus)
시상하부 신경핵에서 뇌하수체에 신경섬유를 보내고 있음→ 체온조절, 수분균형, 내분 비 조절 기능 담당
자율신경 최고 중추(체온 1℃ 상승 시 신진대사량 13% 증가함)
맥박, 혈압을 조절하고 수면-각성(sleep-wakefulness)의 일부를 조절
(4) 뇌간(Brain stem)
① 위치: 간뇌와 척수 사이에 있으며 인식과 각성을 조절하는 망상활성계가 넓게 분포
② 특징: 10개의 뇌신경핵이 포함되어 있고 대뇌와 척수를 연결하는 긴 상하행의 신경 로를 갖고 있음
- 중뇌(Midbrain)
몸의 평형 유지, 안구운동, 동공반사(3번 뇌신경) 중추→ 동안신경(제3뇌신경), 활차신경(제4뇌신경)
- 교(Pons)
심장 가속 기능과 혈관 수축 중추
기능: 호흡조정계-호흡수를 조절함(→ 심한 뇌부종으로 인해 뇌교 하부까지 압박 시 무호흡을 보임)
5(삼차신경), 6(외전신경), 7(안면신경), 8(청신경)번 뇌신경의 시작 부위
- 연수(Medulla)
신경 교차 지점
심장, 호흡 및 혈관운동의 중추(기본적 신체기능 조절) 및 반사 중추
연하 및 구토 중추
9(설인신경), 10(미주신경), 11(부신경), 12(설하신경)번 뇌신경의 시작 부위
(5) 소뇌(Cerebellum)
① 위치: 대뇌의 후두엽 아래에 위치, 뇌교 후방에 위치
② 기능
골격근의 활동을 조절, 자세, 근육의 평형과 긴장 유지
무의식적 운동과 대뇌피질이 실해
* 뇌의 기능 및 해부생리
기능
1. 운동 기능대뇌는 의식적이고 자발적인 운동을 일으킨다. 대뇌의 운동피질(motor cortex)에서 자발적 운동에 대한 계획이 수립되면 이 신호는 긴밀하게 연결된 신경세포들을 통해 뇌줄기, 척수를 지나 각각의 근육으로 전달된다. 운동피질에서 근육으로 이르는 신호전달경로에 문제가 생기면 운동기능이 마비되기도 한다. 이 과정에서 소뇌는 대뇌의 기능으로 이루어지는 자발적인 근육운동을 보다 세밀하게 만들고, 여러 근육을 동시에 움직일 때 조화롭게 이루어지도록 돕는다.2. 감각정보 처리 기능대뇌피질의 감각영역에서 촉각, 통각 등의 체성감각과 시각, 청각, 미각, 후각 등 각각의 감각기관에서 들어온 신호들을 접수하고 처리하여, 인식하고 지각할 수 있도록 한다.3. 언어 기능주로 대뇌피질(cerebral cortex)의 언어영역에서 수행하는 기능으로 언어영역은 주로 발성 등 운동기능을 수행하는 전두엽(frantal lobe)의 브로카 영역(Broca’s area)과 이해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측두엽(temporal lobe)의 베르니케 영역(Wernicke’s area)으로 구성된다. 이 두 영역은 궁상얼기(arcuate fasciculus)라는 백질(white matter)조직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다.4. 학습과 기억 기능주로 대뇌의 해마가 관여한다.5. 항상성의 유지자율신경계 및 호르몬 분비를 통한 대사 조절, 체온과 일주리듬(circadian rhythm)의 유지, 갈증, 굶주림, 피로의 조절 등 기초적인 신체 대사를 유지한다. 이러한 기능은 주로 시상하부에서 이루어진다.6. 호르몬의 분비주로 뇌하수체에서 일어나는 기능으로 신체 대사 및 생식과 관련된 여러 호르몬을 분비한다.
해부생리
(1) 뇌의 구조
① 뇌는 대뇌, 간뇌, 중뇌, 뇌간, 소뇌로 구성
② 견고한 두개골 안에 3개의 뇌막에 의해 둘러싸여 보호받고 있음
경막
(dura mater)
가장 바깥층에 위치한 단단한 섬유층: 동맥기 있음
지주막
(arachnoid)
경막 아래에 위치하는 막: 정맥이 있음(거미줄과 같이 생긴 막), 지주막하에 CSF가 흐름
연막
(pia mater)
뇌 및 척수와 가장 인접한 막
(2) 대뇌(Cerebrum)
- 구조
뇌 전체 무게의 80%를 차지
좌우 2개의 반구로 이루어져 있음
회백질과 백질로 구분
① 회백질: 뇌의 외층인 피질을 형성하고 시상핵, 시상하부, 그리고 기저신경절을 이룸
② 백질: 뇌의 내층인 수질부분으로 신경흥분을 전달하는 통로가 됨
전두엽
(frontal
lobe)
위치
두개골 전면 부위
기능
인격, 고위인지기능(학습, 문제해결 능력, 판단 등)
전운동 영역(복잡하고 학습된 무의식적 긴장이나 운동을 조절하고 통합)
전두엽의 뒤쪽 끝부분은 운동 행위 시작을 명령함→ 언어표현 할 수 있게 함(Broca\'s area= 운동성 언어영역(potor speech area) 따라서 이 곳 손상 시, 운동성 실어증(motor aphasia): 단어의 뜻은 아는데 말을 할 수 없게 됨)
최근 감각 자료 평가 및 판단, 과정 정보나 경험 판단
두정엽
(parietal area)
위치
두개골의 천정부위
기능
받아들인 감각(통각, 온각, 촉각 등)의 해석에 관여함
노래, 악기, 언어, 비언어적 시각 경험 과정에 중요
측두엽
(temporal area)
위치
두개골 양측부위
기능
청각, 미각, 후각의 중추→ 말하고 듣기 영역(Wernicke\'s area=언어 이해영역(sensory speech area) 따라서 이 곳 손상시, 감각성실어증(receptive aphasia): 언어의 뜻을 이해할 수 없게 됨
후두엽
(occipital area)
위치
두개골 뒷부분
기능
시각 중추: 본 것을 인지, 해석
장애시 실인증(agnosia): 보고 듣거나 만져서 익숙한 사물을 인지하는 능력 부전
변연계
(limbic system)
위치
측두엽 안에 깊숙이 있음
기능
생존과 관련된 정서와 본능적인 충동(배고픔, 공격성, 성적 흥분 등): 감정적인 면을 유발
학습과 기억
(3) 간뇌(Diencephalon)
① 위치: 두 대뇌 반구가 합쳐지는 중간에 위치, 대뇌 피질 아래
② 기능
- 시상(thalamus)
후각을 제외한 말초에서 오는 모든 감각자극을 대뇌피질까지 올려 보내 전달하는 교 차로의 역할(→감각신경섬유의 연결부위)
감각신경에서 오는 충격을 받아들이고 전달하는 중추
동통, 온도변화 인지, 집중력 및 망상활성계 및 변연계에 관여, 분노, 공포, 사랑, 미 움과 같은 원초적인 정서 반응을 조절
- 시상하부(hypothalamus)
시상하부 신경핵에서 뇌하수체에 신경섬유를 보내고 있음→ 체온조절, 수분균형, 내분 비 조절 기능 담당
자율신경 최고 중추(체온 1℃ 상승 시 신진대사량 13% 증가함)
맥박, 혈압을 조절하고 수면-각성(sleep-wakefulness)의 일부를 조절
(4) 뇌간(Brain stem)
① 위치: 간뇌와 척수 사이에 있으며 인식과 각성을 조절하는 망상활성계가 넓게 분포
② 특징: 10개의 뇌신경핵이 포함되어 있고 대뇌와 척수를 연결하는 긴 상하행의 신경 로를 갖고 있음
- 중뇌(Midbrain)
몸의 평형 유지, 안구운동, 동공반사(3번 뇌신경) 중추→ 동안신경(제3뇌신경), 활차신경(제4뇌신경)
- 교(Pons)
심장 가속 기능과 혈관 수축 중추
기능: 호흡조정계-호흡수를 조절함(→ 심한 뇌부종으로 인해 뇌교 하부까지 압박 시 무호흡을 보임)
5(삼차신경), 6(외전신경), 7(안면신경), 8(청신경)번 뇌신경의 시작 부위
- 연수(Medulla)
신경 교차 지점
심장, 호흡 및 혈관운동의 중추(기본적 신체기능 조절) 및 반사 중추
연하 및 구토 중추
9(설인신경), 10(미주신경), 11(부신경), 12(설하신경)번 뇌신경의 시작 부위
(5) 소뇌(Cerebellum)
① 위치: 대뇌의 후두엽 아래에 위치, 뇌교 후방에 위치
② 기능
골격근의 활동을 조절, 자세, 근육의 평형과 긴장 유지
무의식적 운동과 대뇌피질이 실해
추천자료
성인간호학case-척수손상
갑상선암(Thyroid cancer) 케이스 스터디
Case 1. 최종 - Cerebral Infaction
성인간호학, NICU CASE STUDY 경막하출혈
신경외과 중환자실 NICU CAST STUDY 지주막하출혈
Cholecystectomy (담낭절제술 케이스 스터디, 담낭절제술 CASE STUDY, 담낭절제술 간호과정, ...
(A+받음) 성인간호학실습 척추협착증 case study
수술실 성인간호 간호과정 A+(복강경 로봇 위주 수술 필참)
병동 사전학습A++자료입니다)성인간호학 실습, 신경계 사전학습, 신경계병동 사전학습, 신경...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