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수술실 사례환자 보고서 발표
1) 환자의 간호정보
2) 진단명
3) 수술명
4) 병리학
5) 수술 체위
6) 수술 전 간호(금식확인, 피부소독 범위, 수술 승낙서 확인, 정서적 지지)
7) 수술 중 간호 (기구 및 장비, 사용된 물품, 절차 및 간호, 마취종류, 마취제, 환자 상태)
8) 수술 후 간호(specimen check, 회복실 간호)
9) 정서적 간호(수술 전, 수술 후)
2. 간암
1) 정의
2) 종류
3) 원인
4) 증상
5) 진단
6) 치료
7) 식이요법
3. 실습 후 소감
4. 수술실 자주 쓰는 용어
1) 환자의 간호정보
2) 진단명
3) 수술명
4) 병리학
5) 수술 체위
6) 수술 전 간호(금식확인, 피부소독 범위, 수술 승낙서 확인, 정서적 지지)
7) 수술 중 간호 (기구 및 장비, 사용된 물품, 절차 및 간호, 마취종류, 마취제, 환자 상태)
8) 수술 후 간호(specimen check, 회복실 간호)
9) 정서적 간호(수술 전, 수술 후)
2. 간암
1) 정의
2) 종류
3) 원인
4) 증상
5) 진단
6) 치료
7) 식이요법
3. 실습 후 소감
4. 수술실 자주 쓰는 용어
본문내용
술 후·분만 후
배뇨곤란
부작용 : 설사, 과민증, 골격근의 섬유속연축, 근연축, 무력
⑥ Fentanyl citrate 0.1mh/2ml
효과 : 마취 시, 마취 전 투약, 마취유도, 마취 유지 및 수술 직후 단기간 진통작용, 전신 또는 국소 마취시 마약성 진통보조제
부작용 : 약물의존성, 호흡억제, 아나필락시양반응, 혈얍 강하, 부정맥
⑦ ULINASTATIN 100,000IU
효과 : 급성 순환부전, 급성 췌장염, 만성 재발성 췌장염의 급성 악화기
부작용 : 쇽, 과민증, GOT,GPL의 상승, 백혈구 감소, 호산구증가, 소양감
⑧ Plasma-lyte 148 1L
효과 : 순환혈액량 및 조직간액의 감소 시 세포외액의 보급·보정
부작용 : 대량·급속 투여 시 뇌부종, 폐부종, 말초부종, 대사성 알칼리증,
주사 부위의 정맥혈전증, 정맥염, 과다 혈량
⑨ Esmeron 5ml/50mg
효과 : 일반 또는 응급 시 기관 내 삽관, 수술하는 동안 골격근 이완을 유지하기 위한 마취 보조, 중환자실에서 삽관 및 인공호흡 돕기 위해 사용
부작용 : 부정맥, 비정상적 심전도, 빈맥, 천식, 아나필락시스 반응, 딸국질
⑩ Aloxi 0.075mg/1.5ml
효과 : 중등도와 심한 구토 유발성 항암 화학요법제의 초기 및 반복적인 치료에 의해 유발되는 급성 구역 및 구토의 예방, 수술 후 24시간까지의
구역 및 구토의 예방
부작용 : 불면증, 복부통증, 피로감, 어지럼증, 설사, 변비, 서맥
⑪ Bridion 200mg/2ml
효과 : 로쿠로니움 또는 베쿠로니움에 의해 유도된 신경근 차단의 역전
부작용 : 마취 합병증(기침, 찡그림, 기도삽관 튜브 빨기 등),
과민반응(아나필락시스 쇼크, 빈맥, 저혈얍, 혀부종, 인두부종)
환자 상태
V/S stable 하며 마취에서 깨어나 의식 수준 돌아옴.
수술 후 간호
specimen check
liver 생검, lymphnode 생검, lymphnode 동결
liver(생검) - Negative, lymphnode(생검) - Negative
lymphnode 동결은 일주일 뒤에 검사 결과 나옴)
회복실 간호
12:00 Flumarin 500mg(항생제) 및 P/S 20ml를 환자와 함께 회복실로 보냄.
통증점수 4점, V/S : BP 138/84mmHg, P 77회 SpO2 100% T 36.1°
BS(Blood Sugar) : 127mg/dl checked → 5% D/W 100cc/hr IV로 유지함.
Hem aturia(혈뇨) 보여서 Observation 하기로 함. O2 5L mask로 공급.
12:15 PAR score 9점(활동 2점, 호흡 2점, 순환 2점, 의식 1점, SpO2 2점)
12:30 PAR score 10점(활동 2점, 호흡 2점, 순환 2점, 의식 2점, SpO2 2점)
12:45 A-line 지혈대 사용하여 A-line 제거함.
SpO2 : 95% on room air checked
PAR score 10점(활동 2점, 호흡 2점, 순환 2점, 의식 2점, SpO2 2점)
12:48 Hem aturia 양상 여전히 남아있음, 환자 상태 병동에 인계함.
12:50 통증점수 2점, I&O checked(200ml & 80ml)
12:58 병동에 연락하고 퇴실하여 병동으로 이동함.
정서적 간호
수술 전·후
<병동>
04.12. 조식 SD, 석식부터 W.F 지시함.
Flumarin 0.5g AST done ( R : negative )
04.13. Levin tube Insertion done
수술동의서&마취동의서&수혈동의서 확인, PCA 교육
04.14. 피부 준비(수술부위 제모 X), 의치&귀금속&속옷 제거, 피부 상태 확인, Levin tube removed
조식부터 W.F → SD 지시함.
<환자가 Room 들어오기 전>
· 환경 모드를 수술 중으로 하고 방 온도는 24℃로 맞춘다.
· 수술실을 깨끗이 청소하고 정리하고 필요한 기계 및 장비를 점검한다.
· 수술 기구와 재료를 준비한다.
· 수술실 입구에 환자가 왔다는 전화가 오면 수술실 입구에서 환자를 확인한 후 안전관리 시트에 가져온 물품과 확인한 내용을 기입하고 환자이동침대에 환자를 옮겨 따뜻한 포를 덮고 수술 모자를 씌운 후 수술실로 이동한다.
<환자가 Room에 들어온 후>
· 환자를 따뜻하게 맞이하여 인사하고 확인한 후 수술 침대로 옮기고 낙상에 주의한다.
· 환자의 불편 사항이나 궁금증, 요구사항을 알아보고 해결해 준다.
· 따뜻한 시트를 덮어 환자의 안위를 도모한다.
· 환자가 가지고 온 물품을 수술실 입구에서 기입한 안전관리시트와 수술 전 간호기록과 비교한 후 각종 동의서(수술동의서&마취동의서&PCA신청서&수혈동의서), 알부민은 마취과에 전달한다.
· 수술 환자 안내 모니터링을 하고 보호자에게 수술시작 문자전송을 한다.
· Time Out 하고 EMR 안전관리시트에 입력한다.
* 수술 후
· 환자의 소변량을 확인하고 비우도록 한다.
· ESU plate 부착부위를 확인하고 환자의 신체적 이상 유무를 확인한다.
· 체온 보호를 위해 따뜻한 시트를 덮어준다.
· 수술 환자 안내 모니터링을 하고 보호자에게 수술종료 문자전송을 한다.
· 첫 1시간 동안은 15분마다 활력징후 측정하고 그 후 1시간마다 측정한다.
· 정서적 지지해주며 낙상 예방 교육 및 감염 통제한다.
· 유치도뇨 & Barovac 관리에 대해 교육시킨다.
간암
정의
간세포가 여러 지속적인 자극에 의해 자신의 고유 기능을 상실하고 암세포로 변신하여 끊임없는 자기 증식을 이루면서 주변 또는 먼 곳으로 퍼져 나가는 특징을 갖게 되는 종양이다.
간암은 2가지의 조직학적 종류에 의해 발생하게 된다.
비섬유층판성
가장 흔하게 발견되는 간세포암의 조직학적 종류로, 주로 B형 C형 감염 및 간경변에 의해 발생하는 간세포암이 이에 해당한다. 발견될 시 수술을 통해 절제하기가 매우 힘들며, 이 종류로 인한 간세포암이 발견되면, 진단 후 생존기간이 매우 짧다고 한다.
섬유층판성
바이러스성 감염 및 간경변과 관련이 없는 간세포암의 종류로, 청소년 및
배뇨곤란
부작용 : 설사, 과민증, 골격근의 섬유속연축, 근연축, 무력
⑥ Fentanyl citrate 0.1mh/2ml
효과 : 마취 시, 마취 전 투약, 마취유도, 마취 유지 및 수술 직후 단기간 진통작용, 전신 또는 국소 마취시 마약성 진통보조제
부작용 : 약물의존성, 호흡억제, 아나필락시양반응, 혈얍 강하, 부정맥
⑦ ULINASTATIN 100,000IU
효과 : 급성 순환부전, 급성 췌장염, 만성 재발성 췌장염의 급성 악화기
부작용 : 쇽, 과민증, GOT,GPL의 상승, 백혈구 감소, 호산구증가, 소양감
⑧ Plasma-lyte 148 1L
효과 : 순환혈액량 및 조직간액의 감소 시 세포외액의 보급·보정
부작용 : 대량·급속 투여 시 뇌부종, 폐부종, 말초부종, 대사성 알칼리증,
주사 부위의 정맥혈전증, 정맥염, 과다 혈량
⑨ Esmeron 5ml/50mg
효과 : 일반 또는 응급 시 기관 내 삽관, 수술하는 동안 골격근 이완을 유지하기 위한 마취 보조, 중환자실에서 삽관 및 인공호흡 돕기 위해 사용
부작용 : 부정맥, 비정상적 심전도, 빈맥, 천식, 아나필락시스 반응, 딸국질
⑩ Aloxi 0.075mg/1.5ml
효과 : 중등도와 심한 구토 유발성 항암 화학요법제의 초기 및 반복적인 치료에 의해 유발되는 급성 구역 및 구토의 예방, 수술 후 24시간까지의
구역 및 구토의 예방
부작용 : 불면증, 복부통증, 피로감, 어지럼증, 설사, 변비, 서맥
⑪ Bridion 200mg/2ml
효과 : 로쿠로니움 또는 베쿠로니움에 의해 유도된 신경근 차단의 역전
부작용 : 마취 합병증(기침, 찡그림, 기도삽관 튜브 빨기 등),
과민반응(아나필락시스 쇼크, 빈맥, 저혈얍, 혀부종, 인두부종)
환자 상태
V/S stable 하며 마취에서 깨어나 의식 수준 돌아옴.
수술 후 간호
specimen check
liver 생검, lymphnode 생검, lymphnode 동결
liver(생검) - Negative, lymphnode(생검) - Negative
lymphnode 동결은 일주일 뒤에 검사 결과 나옴)
회복실 간호
12:00 Flumarin 500mg(항생제) 및 P/S 20ml를 환자와 함께 회복실로 보냄.
통증점수 4점, V/S : BP 138/84mmHg, P 77회 SpO2 100% T 36.1°
BS(Blood Sugar) : 127mg/dl checked → 5% D/W 100cc/hr IV로 유지함.
Hem aturia(혈뇨) 보여서 Observation 하기로 함. O2 5L mask로 공급.
12:15 PAR score 9점(활동 2점, 호흡 2점, 순환 2점, 의식 1점, SpO2 2점)
12:30 PAR score 10점(활동 2점, 호흡 2점, 순환 2점, 의식 2점, SpO2 2점)
12:45 A-line 지혈대 사용하여 A-line 제거함.
SpO2 : 95% on room air checked
PAR score 10점(활동 2점, 호흡 2점, 순환 2점, 의식 2점, SpO2 2점)
12:48 Hem aturia 양상 여전히 남아있음, 환자 상태 병동에 인계함.
12:50 통증점수 2점, I&O checked(200ml & 80ml)
12:58 병동에 연락하고 퇴실하여 병동으로 이동함.
정서적 간호
수술 전·후
<병동>
04.12. 조식 SD, 석식부터 W.F 지시함.
Flumarin 0.5g AST done ( R : negative )
04.13. Levin tube Insertion done
수술동의서&마취동의서&수혈동의서 확인, PCA 교육
04.14. 피부 준비(수술부위 제모 X), 의치&귀금속&속옷 제거, 피부 상태 확인, Levin tube removed
조식부터 W.F → SD 지시함.
<환자가 Room 들어오기 전>
· 환경 모드를 수술 중으로 하고 방 온도는 24℃로 맞춘다.
· 수술실을 깨끗이 청소하고 정리하고 필요한 기계 및 장비를 점검한다.
· 수술 기구와 재료를 준비한다.
· 수술실 입구에 환자가 왔다는 전화가 오면 수술실 입구에서 환자를 확인한 후 안전관리 시트에 가져온 물품과 확인한 내용을 기입하고 환자이동침대에 환자를 옮겨 따뜻한 포를 덮고 수술 모자를 씌운 후 수술실로 이동한다.
<환자가 Room에 들어온 후>
· 환자를 따뜻하게 맞이하여 인사하고 확인한 후 수술 침대로 옮기고 낙상에 주의한다.
· 환자의 불편 사항이나 궁금증, 요구사항을 알아보고 해결해 준다.
· 따뜻한 시트를 덮어 환자의 안위를 도모한다.
· 환자가 가지고 온 물품을 수술실 입구에서 기입한 안전관리시트와 수술 전 간호기록과 비교한 후 각종 동의서(수술동의서&마취동의서&PCA신청서&수혈동의서), 알부민은 마취과에 전달한다.
· 수술 환자 안내 모니터링을 하고 보호자에게 수술시작 문자전송을 한다.
· Time Out 하고 EMR 안전관리시트에 입력한다.
* 수술 후
· 환자의 소변량을 확인하고 비우도록 한다.
· ESU plate 부착부위를 확인하고 환자의 신체적 이상 유무를 확인한다.
· 체온 보호를 위해 따뜻한 시트를 덮어준다.
· 수술 환자 안내 모니터링을 하고 보호자에게 수술종료 문자전송을 한다.
· 첫 1시간 동안은 15분마다 활력징후 측정하고 그 후 1시간마다 측정한다.
· 정서적 지지해주며 낙상 예방 교육 및 감염 통제한다.
· 유치도뇨 & Barovac 관리에 대해 교육시킨다.
간암
정의
간세포가 여러 지속적인 자극에 의해 자신의 고유 기능을 상실하고 암세포로 변신하여 끊임없는 자기 증식을 이루면서 주변 또는 먼 곳으로 퍼져 나가는 특징을 갖게 되는 종양이다.
간암은 2가지의 조직학적 종류에 의해 발생하게 된다.
비섬유층판성
가장 흔하게 발견되는 간세포암의 조직학적 종류로, 주로 B형 C형 감염 및 간경변에 의해 발생하는 간세포암이 이에 해당한다. 발견될 시 수술을 통해 절제하기가 매우 힘들며, 이 종류로 인한 간세포암이 발견되면, 진단 후 생존기간이 매우 짧다고 한다.
섬유층판성
바이러스성 감염 및 간경변과 관련이 없는 간세포암의 종류로, 청소년 및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