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맥박 산소포화도 측정
2. 비강캐뉼라를 이용한 산소요법
3. 산소마스크를 이용한 산소요법
4. 경구투약
5. 비경구투여 주사약 준비하기
6. 비위관 삽입
7. 비위관 제거
8. 간헐적 위관영양
9. 지속적 위관영양
10. 경피적 위루관 영양
11. 섭취량과 배설량 측정
12. 상처 간호(드레싱 적용)
13. 기관절개관 관리
14. 피내주사
15. 배출관장
16. 피하주사
17. 근육주사
18. Z-경로주사
19. 단순도뇨
20. 유치도뇨관 삽입하기
21. 유치도뇨관 제거하기
22. 정맥주사
2. 비강캐뉼라를 이용한 산소요법
3. 산소마스크를 이용한 산소요법
4. 경구투약
5. 비경구투여 주사약 준비하기
6. 비위관 삽입
7. 비위관 제거
8. 간헐적 위관영양
9. 지속적 위관영양
10. 경피적 위루관 영양
11. 섭취량과 배설량 측정
12. 상처 간호(드레싱 적용)
13. 기관절개관 관리
14. 피내주사
15. 배출관장
16. 피하주사
17. 근육주사
18. Z-경로주사
19. 단순도뇨
20. 유치도뇨관 삽입하기
21. 유치도뇨관 제거하기
22. 정맥주사
본문내용
, 팽창하여 비위관을 막는 경우가 있어 물과 섞은 후 빨리 투여한다.
→ 위 잔류량이 많은 경우 영양공급 계속할 필요 있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의사에게 보고한다.
- 경피적 위루관 영양
1. 손을 씻고 대상자의 이름과 입원 팔찌를 대조하여 대상자를 확인한다.
2. 반좌위를 취하도록 돕고 위루관 옆에 수건을 댄 뒤 주사기로 위 내용물을 흡인하여 잔류량을 확인하고 다시 넣는다.
3. 위루관에 주사기를 연결하여 물 20~30ml 주입하고 급식백에 영양액을 부어 위루관과 연결하고 서서히 주입되도록 조절한다.
4. 영양액 공급이 끝난 후 30~60ml 물을 주입하고 주사기나 급식백 제거한 뒤 뚜껑을 닫는다
5. 30분정도 반좌위를 유지시킨다.
→ 위루관 크기는 12~14Fr이며 1회 주입 양은 250~400ml 정도로 4~6시간 간격으로 주입하여 투여하기 전과 후에 30ml 정도의 물을 주입한다.
→ 위루관의 교환 시기는 보통 12~18개월이다.
→ 대상자가 24시간 동안 최대 주입속도에 도달하고 유지할 때까지 시간마다 혈당 수준을 모니터하고 대상자의 체중을 매일 측정하고 이후는 주당 세 번 측정한다.
- 섭취량과 배설량 측정
1. 손을 씻고 대상자의 이름과 입원 팔찌를 대조하여 대상자를 확인한다.
2. 침상에 눈금이 있는 컵을 놓고 섭취하기 전에 모든 액체를 컵으로 측정하게 한다.
3. 반고형 음식 섭취량은 퍼센트나 양의 비율로 기록하고 구강으로 섭취되는 것을 측정 한다.
- 물 : 약과 함께 마신 물도 포함한다.
- 얼음조각 : 섭취량에서 0.5 곱한다.
- 모든 액체(우유, 주스, 음료수, 국물)는 눈금이 있는 용기를 사용한다.
- 스프 : 종류를 명시하고 용량을 측정하나 급식 관리팀으로부터 표준 용량 측정표를 얻는다.
- 젤리, 아이스크림 등은 기관의 표준 용량이나 용기에 있는 용량을 사용한다.
4. 위관 영양 주입량을 측정하고 모든 정맥 내 용액을 섭취량으로 측정한다.
5. 매 근무시간이 끝나기 전에 8시간마다 섭취량 총량을 계산하여 기록지에 기록하고 밤번 간호사가 전체를 합하여 24시간의 섭취량과 배설량을 기록한다.
2. 배액량에 따라 눈금 있는 용기를 1개 이상 병실에 둔다. 적은 양의 배액일 때는 정확히 눈금표시가 된 컵을 놓아둔다.
3. 소변기에 소변량을 측정하거나 소변을 눈금 있는 용기에 부어 축정한다.
4. 유치도뇨를 한 대상자는 각 근무시간 끝에 소변주머니를 비워서 소변의 양을 기록한다.
5. 아래의 배설량을 측정한다.(상처배액, 흉관배액, 구토, 설사, 혈액이나 장배액)
6. 실금의 경우 그 횟수를 기록하고 발한이 심하면 환의와 홑이불의 교환 횟수를 기록한다.
7. 매 근무시간이 끝나기 전에 8시간마다 배설량을 계산하여 기록지에 기록하고 밤번 간호사가 전체를 합하여 24시간의 섭취량과 배설량을 기록한다.
8. 총 배설량을 섭취량과 비교하고 전날의 양과도 비교한 뒤 기록지에 기록한다.
→ 대상자에게 투여된 수액의 주입량을 대상자의 섭취와 배설 기록지에 기록한다.
(비경구 용액, 혈액종류, IV 수액, 위장관 튜브를 통한 영양 주입).
→ 근무 교대 시 보관용기에 있는 배액량을 측정하고 색깔과 특징 등을 확인한다.
→ 모든 종류의 배액에 대한 양, 색깔, 특징을 대상자의 섭취와 배설 기록지에 기록한다.
- 상처간호 (드레싱 적용)
1. 손을 씻고 대상자의 이름과 입원 팔찌를 대조하여 대상자를 확인한다.
2. 진통제 투여 30분 후 드레싱 교환을 하도록 하고 드레싱 처치를 받아야 하는 부위가 노출되도록 체위를 변경한다.
3. 손이 닿는 곳에 봉지를 비치하고 일회용 장갑을 착용한다.
4. 반창고는 드레싱을 향하여 평행으로 당겨서 제거하고 털이 많은 부위에서는 털이 자란 방향으로 제거한다.
5. 섭자를 이용하여 드레싱을 제거하고
- 상처의 색, 부종, 배농, 삼출액, 통합성 등 사정한다.
- 드레싱의 배액의 외양과 냄새를 사정한다.
- 상처의 크기(길이, 넓이, 깊이)를 측정한다.
6. 장갑을 벗어 손을 씻고 멸균된 드레싱 세트를 풀어 멸균 장갑을 끼고 섭자를 잡는다.
7. 소독솜이나 거즈로 상처부위를 오염이 가장 적은 곳부터 심한 부위로 한 번씩 닦아낸다.
1) 거즈는 상처에 너무 팽팽하게 잡아당기지 말고 느슨하게 직접 접촉되도록 적용한다.
2) 배액관이 있는 경우 4×4 거즈를 배액관에 맞게 잘라 사용한다.
3) 장갑을 벗어 버리고 드레싱이 상처를 덮고 위치가 변하지 않도록 반창고로 고정한다.
4) 반창고는 피부에 5~8cm씩 닿게 한 다음에 양 끝을 0.5~1cm씩 접어둔다.
5) 손을 씻고 사용한 물품을 정리한다.
1) 멸균 용액의 용기에 거즈를 담그고 꺼내 짜낸 다음 섭자로 잡아 상처 표면 위에 놓는다.
2) 상처가 깊은 경우나 터널 등의 사강부분은 거즈를 느슨하게 채워 넣는다.
3) 젖은 거즈 위에 건조된 멸균거즈를 얹고 2차 드레싱으로 상처를 덮는다.
1) 붙이는 동안 필름을 잡아 당겨 늘어지게 하거나 주름이 잡히지 않게 한다.
8. 드레싱을 거즈붕대, 반창고, 끈, 바인더 등으로 고정한다.
9. 사용한 물품을 버리고 손을 씻은 후 기록지에 기록한다.
→ 건식 드레싱이 상처에 붙어있는 경우 식염수를 적셔 떼어낸다.
→ 습건식 드레싱이 상처에 붙어있는 경우 부드럽게 드레싱을 떼어내며 대상자에게 불편감이 있을 것에 대한 주의를 준다.
→ 오래된 드레싱을 제거하되 위 방향보다는 평행방향으로 천천히 당기면서 제거한다.
→ 생리식염수나 처방된 용액을 4 X 4 inch 멸균거즈패드에 붓는다.
→ 마른 4 X 4 inch 멸균거즈패드로 상처주변의 피부를 두드려서 건조시킨다.
- 기관절개관 관리
1. 손을 씻고 필요한 물품을 준비한 뒤 대상자의 이름과 입원 팔찌를 대조하여 확인한다.
2. 반좌위를 해주고 대상자 가슴위에 방수포를 깐다.
3. 드레싱세트를 무균적으로 열고 멸균장갑을 낀다.
4. 기관내 흡인을 실시하고 한 손으로 외관을 잡고 다른 손으로 잠금장치를 열어 내관을 조심스럽게
→ 위 잔류량이 많은 경우 영양공급 계속할 필요 있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의사에게 보고한다.
- 경피적 위루관 영양
1. 손을 씻고 대상자의 이름과 입원 팔찌를 대조하여 대상자를 확인한다.
2. 반좌위를 취하도록 돕고 위루관 옆에 수건을 댄 뒤 주사기로 위 내용물을 흡인하여 잔류량을 확인하고 다시 넣는다.
3. 위루관에 주사기를 연결하여 물 20~30ml 주입하고 급식백에 영양액을 부어 위루관과 연결하고 서서히 주입되도록 조절한다.
4. 영양액 공급이 끝난 후 30~60ml 물을 주입하고 주사기나 급식백 제거한 뒤 뚜껑을 닫는다
5. 30분정도 반좌위를 유지시킨다.
→ 위루관 크기는 12~14Fr이며 1회 주입 양은 250~400ml 정도로 4~6시간 간격으로 주입하여 투여하기 전과 후에 30ml 정도의 물을 주입한다.
→ 위루관의 교환 시기는 보통 12~18개월이다.
→ 대상자가 24시간 동안 최대 주입속도에 도달하고 유지할 때까지 시간마다 혈당 수준을 모니터하고 대상자의 체중을 매일 측정하고 이후는 주당 세 번 측정한다.
- 섭취량과 배설량 측정
1. 손을 씻고 대상자의 이름과 입원 팔찌를 대조하여 대상자를 확인한다.
2. 침상에 눈금이 있는 컵을 놓고 섭취하기 전에 모든 액체를 컵으로 측정하게 한다.
3. 반고형 음식 섭취량은 퍼센트나 양의 비율로 기록하고 구강으로 섭취되는 것을 측정 한다.
- 물 : 약과 함께 마신 물도 포함한다.
- 얼음조각 : 섭취량에서 0.5 곱한다.
- 모든 액체(우유, 주스, 음료수, 국물)는 눈금이 있는 용기를 사용한다.
- 스프 : 종류를 명시하고 용량을 측정하나 급식 관리팀으로부터 표준 용량 측정표를 얻는다.
- 젤리, 아이스크림 등은 기관의 표준 용량이나 용기에 있는 용량을 사용한다.
4. 위관 영양 주입량을 측정하고 모든 정맥 내 용액을 섭취량으로 측정한다.
5. 매 근무시간이 끝나기 전에 8시간마다 섭취량 총량을 계산하여 기록지에 기록하고 밤번 간호사가 전체를 합하여 24시간의 섭취량과 배설량을 기록한다.
2. 배액량에 따라 눈금 있는 용기를 1개 이상 병실에 둔다. 적은 양의 배액일 때는 정확히 눈금표시가 된 컵을 놓아둔다.
3. 소변기에 소변량을 측정하거나 소변을 눈금 있는 용기에 부어 축정한다.
4. 유치도뇨를 한 대상자는 각 근무시간 끝에 소변주머니를 비워서 소변의 양을 기록한다.
5. 아래의 배설량을 측정한다.(상처배액, 흉관배액, 구토, 설사, 혈액이나 장배액)
6. 실금의 경우 그 횟수를 기록하고 발한이 심하면 환의와 홑이불의 교환 횟수를 기록한다.
7. 매 근무시간이 끝나기 전에 8시간마다 배설량을 계산하여 기록지에 기록하고 밤번 간호사가 전체를 합하여 24시간의 섭취량과 배설량을 기록한다.
8. 총 배설량을 섭취량과 비교하고 전날의 양과도 비교한 뒤 기록지에 기록한다.
→ 대상자에게 투여된 수액의 주입량을 대상자의 섭취와 배설 기록지에 기록한다.
(비경구 용액, 혈액종류, IV 수액, 위장관 튜브를 통한 영양 주입).
→ 근무 교대 시 보관용기에 있는 배액량을 측정하고 색깔과 특징 등을 확인한다.
→ 모든 종류의 배액에 대한 양, 색깔, 특징을 대상자의 섭취와 배설 기록지에 기록한다.
- 상처간호 (드레싱 적용)
1. 손을 씻고 대상자의 이름과 입원 팔찌를 대조하여 대상자를 확인한다.
2. 진통제 투여 30분 후 드레싱 교환을 하도록 하고 드레싱 처치를 받아야 하는 부위가 노출되도록 체위를 변경한다.
3. 손이 닿는 곳에 봉지를 비치하고 일회용 장갑을 착용한다.
4. 반창고는 드레싱을 향하여 평행으로 당겨서 제거하고 털이 많은 부위에서는 털이 자란 방향으로 제거한다.
5. 섭자를 이용하여 드레싱을 제거하고
- 상처의 색, 부종, 배농, 삼출액, 통합성 등 사정한다.
- 드레싱의 배액의 외양과 냄새를 사정한다.
- 상처의 크기(길이, 넓이, 깊이)를 측정한다.
6. 장갑을 벗어 손을 씻고 멸균된 드레싱 세트를 풀어 멸균 장갑을 끼고 섭자를 잡는다.
7. 소독솜이나 거즈로 상처부위를 오염이 가장 적은 곳부터 심한 부위로 한 번씩 닦아낸다.
1) 거즈는 상처에 너무 팽팽하게 잡아당기지 말고 느슨하게 직접 접촉되도록 적용한다.
2) 배액관이 있는 경우 4×4 거즈를 배액관에 맞게 잘라 사용한다.
3) 장갑을 벗어 버리고 드레싱이 상처를 덮고 위치가 변하지 않도록 반창고로 고정한다.
4) 반창고는 피부에 5~8cm씩 닿게 한 다음에 양 끝을 0.5~1cm씩 접어둔다.
5) 손을 씻고 사용한 물품을 정리한다.
1) 멸균 용액의 용기에 거즈를 담그고 꺼내 짜낸 다음 섭자로 잡아 상처 표면 위에 놓는다.
2) 상처가 깊은 경우나 터널 등의 사강부분은 거즈를 느슨하게 채워 넣는다.
3) 젖은 거즈 위에 건조된 멸균거즈를 얹고 2차 드레싱으로 상처를 덮는다.
1) 붙이는 동안 필름을 잡아 당겨 늘어지게 하거나 주름이 잡히지 않게 한다.
8. 드레싱을 거즈붕대, 반창고, 끈, 바인더 등으로 고정한다.
9. 사용한 물품을 버리고 손을 씻은 후 기록지에 기록한다.
→ 건식 드레싱이 상처에 붙어있는 경우 식염수를 적셔 떼어낸다.
→ 습건식 드레싱이 상처에 붙어있는 경우 부드럽게 드레싱을 떼어내며 대상자에게 불편감이 있을 것에 대한 주의를 준다.
→ 오래된 드레싱을 제거하되 위 방향보다는 평행방향으로 천천히 당기면서 제거한다.
→ 생리식염수나 처방된 용액을 4 X 4 inch 멸균거즈패드에 붓는다.
→ 마른 4 X 4 inch 멸균거즈패드로 상처주변의 피부를 두드려서 건조시킨다.
- 기관절개관 관리
1. 손을 씻고 필요한 물품을 준비한 뒤 대상자의 이름과 입원 팔찌를 대조하여 확인한다.
2. 반좌위를 해주고 대상자 가슴위에 방수포를 깐다.
3. 드레싱세트를 무균적으로 열고 멸균장갑을 낀다.
4. 기관내 흡인을 실시하고 한 손으로 외관을 잡고 다른 손으로 잠금장치를 열어 내관을 조심스럽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