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과언어 ) 1 교재 1장(멀티미디어 강의 1강)을 참고하여 인간 언어의 특징을 교재에 없는 예와 함께 기술하시오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인간과언어 ) 1 교재 1장(멀티미디어 강의 1강)을 참고하여 인간 언어의 특징을 교재에 없는 예와 함께 기술하시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교재 1장(멀티미디어 강의 1강)을 참고하여 인간 언어의 특징을 교재에 없는 예와 함께 기술하시오. (5점)
2. 교재 3장(멀티미디어 강의 3강)을 참고하여 음소와 이음의 차이를 교재의 예와 함께 기술하시오. (5점)
3. 교재 3장(멀티미디어 강의 3강)을 참고하여 영어와 한국어의 음소 체계의 차이 때문에 한국인들이 겪을 수 있는 어려움을 교재에 없는 예와 함께 기술하시오. (10점)
4. 교재 4장(멀티미디어 강의 4강)을 참고하여 영어와 한국어의 음절 구조의 차이 때문에 한국인들이 겪을 수 있는 어려움을 교재에 없는 예와 함께 기술하시오. (10점)

본문내용

는 자음과 필수적 요소에 해당하는 모음이 모여 만들어진 발화 단위를 뜻한다. 음절은 초성과 각운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운은 중성과 종성으로 구분된다. 초성은 생략 가능한 것으로 모음 앞에 오는 자음을 말한다. 중성은 음절 형성에 있어 필요한 것으로 음절 가운데에 위치하는 모음이다. 종성은 모음 뒤에 있는 자음에 해당하는 것으로 종성은 생략될 수 있다.
한국어와 영어의 음절 구조 차이를 살펴보면 한국어의 경우 초성은 자음, 중성은 모음, 종성은 자음에 해당하지만, 영어의 경우 성절자음으로서 자음이 대신 모음의 역할을 하는 경우가 있다. 한국어는 자음과 모음이 음절을 구성하고 이것이 하나의 글자가 되므로 음절의 경계를 쉽게 파악할 수 있지만, 영어는 가로로 알파벳이 나열되므로 그 경계를 파악하기 어려울 때가 많다. 또한, 영어는 한국어와 비교했을 때 복잡한 음절 구조로 되어 있으며 같은 위치에 여러 자음을 허락한다. 반면 한국어는 초성과 종성에 하나의 자음만을 허락한다. 이처럼 언어에 따라서 허용되는 음절의 구조에 차이가 있으므로 모국어에서 허용하지 않는 음절 구조들은 모국어서 허락되는 구조로 변환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러한 음절 구조의 차이로 인해 한국인들이 겪는 어려움의 사례는 영어 단어의 초성에 세 개의 자음이 오는 경우가 있다. spring, spew, splits, splice 등의 영어 단어는 모두 초성에 세 개의 자음이 온다. 한국어의 음절 구조는 총성에 최대 한 가지의 자음군을 허용하기 때문에 이를 발음할 때 모음을 영어 단어의 어두 자음군 사이에 넣어서 발음하게 된다. 이처럼 모음을 삽입해서 발음하는 현상은 film이나 bus처럼 자음이 종성에 위치하는 단어를 발음할 때도 발생한다.
한국인은 CV, VC, CVC의 음절 구조를 갖고 있으므로 CCVCC, CVCCC, CCCVC, CCVCCC에 해당하는 영어 자음군을 발음할 때 어려움을 겪는다. 즉, CCVCC, CVCCC, CCCVC, CCVCCC의 영어 자음군을 발음할 때 발음을 생략하거나 // 등의 모음을 자음 사이에 넣어서 발음하게 된다. ‘drink’와 \'milk\'의 경우 한국어의 외래어 표기 방식으로 ‘드링크’, ‘밀크’로 표기되는데, 이 역시 한국인이 겪는 어려움을 나타내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참고문헌
강의록 자료
이정희(2002), 한국인 학습자의 영어 발음 오류 가능성과 이에 따른 지도 방안, 동신대학교 교육대학원.

키워드

  • 가격3,7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22.09.13
  • 저작시기2022.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8394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