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드뷔시의 피아노 포핸즈 작은모음곡 연주회
1) 작곡가와 곡명
2) 연주곡
3) 작곡년도
4) 연주자
5) 감상평
2. 차이코프스키의 호두까기 인형 모음곡 연주회
1) 작곡가와 곡명
2) 연주곡
3) 작곡년도
4) 연주자
5) 감상평
3. 뿔랑의 포핸즈 소나타
1) 작곡가와 곡명
2) 연주곡
3) 작곡년도
4) 연주자
5) 감상평
4. 피아졸라의 2대의 피아노 연주 ‘망각’
1) 작곡가와 곡명
2) 연주곡
3) 작곡년도
4) 연주자
5) 감상평
1) 작곡가와 곡명
2) 연주곡
3) 작곡년도
4) 연주자
5) 감상평
2. 차이코프스키의 호두까기 인형 모음곡 연주회
1) 작곡가와 곡명
2) 연주곡
3) 작곡년도
4) 연주자
5) 감상평
3. 뿔랑의 포핸즈 소나타
1) 작곡가와 곡명
2) 연주곡
3) 작곡년도
4) 연주자
5) 감상평
4. 피아졸라의 2대의 피아노 연주 ‘망각’
1) 작곡가와 곡명
2) 연주곡
3) 작곡년도
4) 연주자
5) 감상평
본문내용
뛰어오르는 느낌을 받았다. 어린시절 읽었던 미운오리 새끼의 동화의 모습이 연상되며, 작게 통통 거리며 물위를 떠돌던 오리가 어느새 크게 자라 아름다운 백조가 되어 크게 뛰어 오르는 모습이 상상이 되었다.
모든 연주가 완료 된 후, 나도 모르게 박수가 터져나왔고 관객들의 환호도 매우 커다래, 나와 같은 감동을 같이 느낀 것 같아 너무 좋았다. 다만 뒷좌석의 연인들이 자꾸 감상을 속으로 하는 것이 아닌, 대화를 하듯 하고 있어 자꾸 신경이 쓰였던 점이 좀 아쉬웠다. 다른 사람들과의 연주를 보면서 배려하는 문화에티켓이 필요한 것 같다.
2. 차이코프스키의 호두까기 인형 모음곡 연주회
1) 작곡가와 곡명
P.I. Tchaikovsky(1840~1893)
The Nutcracker Suite, Op.71a for Piano 4 Hands ‘호두까기 인형 모음곡’
2) 연주곡
I. Miniature Overture
II. Danses Caracteristiques
a) March b) Dance of the Sugar-Plum Fairy c) Russian Dance
d) Arabian Dance e) Chinese Dance f) Dance of Reed-Pipes
III. Waltz of the Flowers
3) 작곡년도 : 1892년
4) 연주자 : 1st. 한지현 2nd. 최인영
5) 감상평
해마다 연말때마다 가장 많이 보던 발레 중의 하나가 호두까기 인형이 아니었나 싶다. 물론 가장 많이 공연되었던 것은 백조의 호수이고 말이다. 호두까기 인형을 처음 접했을 때가 EBS방송에서 였다. 예쁜 옷을 입고 우아한 발레리나가 나는 듯이 뛰는 모습이 참 인상깊었던 기억이 있다. 그리고 인형이라는 소재에서 더욱 어린 나의 마음을 끌었던 것 같다. 그래서 이 작품에 더욱 큰 관심이 갔다. 차이코프스키는 듣기에 부담이 없으면서도 아름다운 음악을 작곡한 인물로, 피아노 협주곡1번이나 바이올린 협주곡, 교향곡 6번과 같이 한국인들이 선호하는 클래식 음악들을 많은 것을 보면, 어쩌면 한국인들과 정서가 서로 맞아서가 아닐까 한다.
호두까지 인형의 대략적인 줄거리는 클라라라는 소녀를 비롯한 아이들이 할아버지에게서 크리스마스 선물을 받고 기뻐한 뒤 잠들었을 때, 생쥐 왕이 부하들을 이끌고 습격해온다. 호두까기 인형이 병사 인형들을 지휘해 맞서지만 전황은 불리하기만 하는데, 이때 클라라 슬리퍼를 전져 생쥐왕을 쓰러트리고 남은 생쥐들을
모든 연주가 완료 된 후, 나도 모르게 박수가 터져나왔고 관객들의 환호도 매우 커다래, 나와 같은 감동을 같이 느낀 것 같아 너무 좋았다. 다만 뒷좌석의 연인들이 자꾸 감상을 속으로 하는 것이 아닌, 대화를 하듯 하고 있어 자꾸 신경이 쓰였던 점이 좀 아쉬웠다. 다른 사람들과의 연주를 보면서 배려하는 문화에티켓이 필요한 것 같다.
2. 차이코프스키의 호두까기 인형 모음곡 연주회
1) 작곡가와 곡명
P.I. Tchaikovsky(1840~1893)
The Nutcracker Suite, Op.71a for Piano 4 Hands ‘호두까기 인형 모음곡’
2) 연주곡
I. Miniature Overture
II. Danses Caracteristiques
a) March b) Dance of the Sugar-Plum Fairy c) Russian Dance
d) Arabian Dance e) Chinese Dance f) Dance of Reed-Pipes
III. Waltz of the Flowers
3) 작곡년도 : 1892년
4) 연주자 : 1st. 한지현 2nd. 최인영
5) 감상평
해마다 연말때마다 가장 많이 보던 발레 중의 하나가 호두까기 인형이 아니었나 싶다. 물론 가장 많이 공연되었던 것은 백조의 호수이고 말이다. 호두까기 인형을 처음 접했을 때가 EBS방송에서 였다. 예쁜 옷을 입고 우아한 발레리나가 나는 듯이 뛰는 모습이 참 인상깊었던 기억이 있다. 그리고 인형이라는 소재에서 더욱 어린 나의 마음을 끌었던 것 같다. 그래서 이 작품에 더욱 큰 관심이 갔다. 차이코프스키는 듣기에 부담이 없으면서도 아름다운 음악을 작곡한 인물로, 피아노 협주곡1번이나 바이올린 협주곡, 교향곡 6번과 같이 한국인들이 선호하는 클래식 음악들을 많은 것을 보면, 어쩌면 한국인들과 정서가 서로 맞아서가 아닐까 한다.
호두까지 인형의 대략적인 줄거리는 클라라라는 소녀를 비롯한 아이들이 할아버지에게서 크리스마스 선물을 받고 기뻐한 뒤 잠들었을 때, 생쥐 왕이 부하들을 이끌고 습격해온다. 호두까기 인형이 병사 인형들을 지휘해 맞서지만 전황은 불리하기만 하는데, 이때 클라라 슬리퍼를 전져 생쥐왕을 쓰러트리고 남은 생쥐들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