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장애의 개념
2. 장애의 범주
3. 장애에 대한 이론적 접근
Ⅲ. 결론
Ⅳ. 참고문헌
Ⅱ. 본론
1. 장애의 개념
2. 장애의 범주
3. 장애에 대한 이론적 접근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생활과 경제활동 수행능력이 하락 또는 결여 된 상태로서 정신적·신체적 손상의 결과만이 아닌 그 상태에 대한 개인적 적응 결과를 말한다.
③사회적 분리란 손상과 능력장애로 인해서 일상생활, 사회생활을 하는데 제한을 받거나 지장초래를 하는 상태로서 장애인과 그 주변 환경과의 관계에서 발생하는 문제이다.
2) 우리나라의 장애개념
장애인복지법(1981)에서의 장애개념을 살펴보면 1981년 제정되어 1989년 및 1999년 전문을 개정하여 장애범주를 확대하고 장애개념을 재개념화하였다. 개정된 장애인복지법 제2조에서는 장애인의 정의를 “장애인은 신체적·정신적 결함으로 인해 장기간에 걸쳐 일상생활 또는 사회생활에 상당한 제약을 받는 자”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준에 해당하는 자로 규정하였다. 장애인복지법 시행령 제2조에서는 장애인의 기준을 정하고 있는데, 신체장애를 지체장애, 뇌병변장애, 시각장애, 청각장애, 언어장애, 신장장애, 심장장애, 호흡기장애, 간질환장애, 안면장애, 장루장애, 간질장애 등으로 규정하고 있으며 정신장애는 지적장애, 정신장애, 자폐성장애를 규정하고, 장애등급을 6등급으로 규정하였다.
2. 장애의 범주
우리나라 장애인복지법에 의한 장애범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세 분류
확대 예상 장애범주
신체적 기능장애
외부 신체 기능장애
지체장애
관절장애, 절단장애, 지체기능장애, 변형 등의 장애
뇌병변장애
중추 신경의 손상으로 인한 복합적인 장애
시각장애
시력장애, 시야결손장애
청각장애
청력장애, 평형기능장애
언어장애
언어장애, 음성장애, 구어장애
안면장애
안면부의 추상, 함몰, 비후 등 변형으로 인한 장애
내부기관의 장애
신장장애
투석치료 중이거나 신장을 이식 받은 경우
소화기장애, 비뇨기 장애, 만성통증,
기타 암
심장장애
일상생활이 현저히 제한되는 심장기능 이상
간 장애
일상생활이 현저히 제한되는 만성 .중증의 간 기능 이상
호흡기장애
일상생활이 현저히 제한되는 만성 .중증의 호흡기기능 이상
장루,요루장애
일상생활이 현저히 제한되는 장루 ,요루
간질장애
일상생활이 현저히 제한되는 만성 중증의 간질
정신적 장애
지적 장애
지능지수가 70 이하인 경우
정신장애
정신분열병, 분열형 정동장애, 양극성 정동장애, 반복성 우울장애
만성알코올,약물중독,기질성뇌증후군,치매
자폐성장애
소아자폐 등 자폐성 장애
기타 정신자폐성장애
3. 장애에 대한 이론적 접근
1) 이분법 분류
구분
개별적 모
③사회적 분리란 손상과 능력장애로 인해서 일상생활, 사회생활을 하는데 제한을 받거나 지장초래를 하는 상태로서 장애인과 그 주변 환경과의 관계에서 발생하는 문제이다.
2) 우리나라의 장애개념
장애인복지법(1981)에서의 장애개념을 살펴보면 1981년 제정되어 1989년 및 1999년 전문을 개정하여 장애범주를 확대하고 장애개념을 재개념화하였다. 개정된 장애인복지법 제2조에서는 장애인의 정의를 “장애인은 신체적·정신적 결함으로 인해 장기간에 걸쳐 일상생활 또는 사회생활에 상당한 제약을 받는 자”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준에 해당하는 자로 규정하였다. 장애인복지법 시행령 제2조에서는 장애인의 기준을 정하고 있는데, 신체장애를 지체장애, 뇌병변장애, 시각장애, 청각장애, 언어장애, 신장장애, 심장장애, 호흡기장애, 간질환장애, 안면장애, 장루장애, 간질장애 등으로 규정하고 있으며 정신장애는 지적장애, 정신장애, 자폐성장애를 규정하고, 장애등급을 6등급으로 규정하였다.
2. 장애의 범주
우리나라 장애인복지법에 의한 장애범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세 분류
확대 예상 장애범주
신체적 기능장애
외부 신체 기능장애
지체장애
관절장애, 절단장애, 지체기능장애, 변형 등의 장애
뇌병변장애
중추 신경의 손상으로 인한 복합적인 장애
시각장애
시력장애, 시야결손장애
청각장애
청력장애, 평형기능장애
언어장애
언어장애, 음성장애, 구어장애
안면장애
안면부의 추상, 함몰, 비후 등 변형으로 인한 장애
내부기관의 장애
신장장애
투석치료 중이거나 신장을 이식 받은 경우
소화기장애, 비뇨기 장애, 만성통증,
기타 암
심장장애
일상생활이 현저히 제한되는 심장기능 이상
간 장애
일상생활이 현저히 제한되는 만성 .중증의 간 기능 이상
호흡기장애
일상생활이 현저히 제한되는 만성 .중증의 호흡기기능 이상
장루,요루장애
일상생활이 현저히 제한되는 장루 ,요루
간질장애
일상생활이 현저히 제한되는 만성 중증의 간질
정신적 장애
지적 장애
지능지수가 70 이하인 경우
정신장애
정신분열병, 분열형 정동장애, 양극성 정동장애, 반복성 우울장애
만성알코올,약물중독,기질성뇌증후군,치매
자폐성장애
소아자폐 등 자폐성 장애
기타 정신자폐성장애
3. 장애에 대한 이론적 접근
1) 이분법 분류
구분
개별적 모
추천자료
유아특수 교육의 교육과정 개발 및 적용
가족복지정책의 현황과 문제점 및 해결방안
가족복지정책에 대하여
교육과정이론
주 5일 근무제 도입에 따른 관광정책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가족복지론] 우리나라 청소년복지정책의 향후 방향 (청소년복지의 필요성,특징,개념, 선진외...
[특수아교육 A형] 특수아에 대한 법적, 학문적 정의를 제시하고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장애아 ...
[특수아교육4A]정신지체(지적장애),학습장애,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DHD),정서 및 행동장...
[아동생활지도] 2021년 기말결시자 1. 추가과제물, 아동생활지도의 이론적 기초 중 행동주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