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리학 최종 정리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생리학 최종 정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효소들의 활동에 반응하는 다양한 형태에 따라 6가지 효소로 분류한다.
9. 효소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 요인은 온도와 pH이며, 각각의 효소들은 활동에 필요한 최적의 온도와 pH수준이 있다.
10. 포도당은 동물의 세포에 다당류인 당원 형태로 저장되어 있다.
11. 지방산은 지방의 주요 형태로 세포의 에너지원으로 사용되며 근육와 지방세포에 중성지방 형태로 저장되어 있다.
12. 가장 빠른 근수축 에너지는 고에저니 인산은 ATP로서 ATPase 효소에 의한 분해과정을 거친다.
13. 산호업서이 ATP를 생성하는 과정을 무산소성 대사작용이라 하며 반대로 산소를 마지막 전자수용체로 사용하여 ATP를 생성하는 과정을 유산소성 대사작용이라 한다.
14. 운동 시 사용되는 골격근은 젖산을 생성하지만 신체 내에서 젖산은 복합염기인 젖산염으로 빠르게 전환된다.
15. 근육세포는 다음과 같이 1개 또는 3개의 대사작용을 이용하여 ATP를 생산할 수 있다. 1) ATP-PC체계, 2)해당작용 , 3)산화적 인산화
16. 무산소성 대사작용에는 ATP-PC 체계와 해당작용이 있으며 산소없이 ATP를 생산할 수 있다.
17. 산화적 인산화 또는 유산소성 ATP 생산은 크렙스 회로와 전자전달체계 사이의 복합적인 상호작용으로 미토콘드리아에서 만들어진다. 크렙스 회로의 주요 역할은 기질의 완전한 산화작용과 NADH와 FADH를 형성하여 전자전달체계로 들어가게 하고, 전자전달체계는 ATP와 물을 생산하며 물은 전자를 수용하는 산소에 의해 형성된다. 그러므로 인간이 호흡하는 산소는 유산소성 대사작용에서 마지막 단계의 전자들을 수용하는 역할을 한다.
18. 포도당 1몰의 유산소성 대사작용은 32ATP를 생산하며 당원은 33ATP를 생산한다.
19. 유산소성 호흡의 효율성은 대략적으로 34% 정도이며 나머니 66% 는 열로 발산되는 에너지이다.
20. 대사작용은 효소활동에 의해 조절된다. 대사과정을 조절하는 효소를 속도조절 효소라 말한다.
21. 해당작용의 속도조절 효소는 인산과당 분해효소PFK 이며 크렙스회로와 전자전달계의 속도조절 효소는 이소구연산 탈수소효소와 시토크롬 산화효소이다.
22. 운동을 수행하기 위한 에너지는 무산소성 및 유산소성 체계의 상호작용에 의해서 생산된다.
23. 일반적으로 고강도의 짧은 운동은 무산소성 에너지가 크게 기여한다. 이와는 반대로 저강도와 중강도의 장시간 운동은 유산소성 체계에서 생산한 ATP를 많이 사용한다.
1. 안정 시에서 저강도 및 중강도 운동을 시작하면 산소섭취가 급격하게 증가하여 일반적으로 1~4분 사이에 항정상태에 도달한다.
2. 산소결핍이란 운동 초기에 산소섭취 지연에 따른 현상을 말한다.
3. 운동 초기에 순간적으로 산소섭취량이 증가하지 못하는 것은 무산소성 에너지가 ATP 생산에 기여하고 있음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항정상태에 도달하면 신체에서 요구하는 ATP는 유산소성 대사작용에 의하여 충족될 수 있다.
4. 산소부채는 운동 후 초과산소섭취량 (EPOC) 라고도 하며 운동 후 산소 섭취량이 안정 시보다 높은 것을 일컫는다.
5. 운동후 초과산소섭취량에 기여하는 요소로, 회복기 초기에 사용하는 산소는 근육 내의 PC를 재합성하는데 사용되며 근육과 혈액의 산소를 재보충한다. 그 밖에 운동 후 초과산소소비량의 느린 부분에 기여하는 요인은 상승된 체온, 젖산을 혈당으로 전환하는데 필요한 산소 그리고 혈중 에피네프린과 노르에피네프린의 상승 때문이다.
6. 2~2-초 사이의 고강도 운동 시 근육의 ATP 생산은 ATP-PC 체계에 의해 공급된다.
7. 20초 이상 지속하는 고강도 운동은 무산소성 해당작용으로 필요한 ATP를 생산한다.
8. 45초이상 지속하는 고강도 운동은 근수축에 필요한 ATP 생산을 위하여 ATP-PC체계, 해당작용 그리고 유산소성 체계를 사용한다.
9. 10분 이상의 장시간 운동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에너지는 주로 유산소성 대사과정에 의해 생산된다.
10. 저강도로 장시간 운동을 할 때에는 일반적으로 산소섭취량의 항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나 고온다습한 환경에서 운동을 하거나 높은 강도로 운동을 실시하면 시간이 지날수록 더 많은 산소를 소비함으로 항정상태를 유지할 수 없게 된다.
11. 점증부하 운동검사 시 산소섭취는 최대산소섭취량에 도달할 때까지 직선적 형태를 나타낸다.
12. 점진부하 운동검사 시 혈중 젖산 농도가 비직선적으로 증가하는 지점을 젖산역치 또는 무산소성 역치라 한다.
13. 점진적 운동 중 혈중 젖산 농도가 갑자기 증가하는 기전에 대해서는 논란의 여지가 있으나 젖산역치는 1) 근육의 낮은 산소량 2) 해당작용의 활성화 3)속근섬유 사용 4) 젖산 제거비율의 감소와 같은 요인에 의해서 단독으로 또는 종합하여 설명할 수 있다.
14. 젖산역치는 운동수행을 예측하거나 훈련강도를 평가하는 데 사용한다.
15. 호흡교환율 R은 이산화탄소 생산량을 산소소비량으로 나눈 비율이다.
16. 운동 시 사용되는 연료를 평가하는 척도는 호흡교환율은 피험자가 항정상태에 도달할 때 알 수 있다. 왜냐하면 오직 항정 상태의 운동에서만 조직에서 이산화탄소와 산소의 대사적 가스 교환을 반영하기 때문이다.
17. 운동 시 사용되는 에너지원 조절은 다양한 조절작용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이는 운동시간, 강도 및 음식과 같은 여러 가지 요소에 의해 결정된다.
18. 일반적으로 탄수화물은 고강도 운동의 주요 원료로 사용된다.
19. 장시간 운동을 하면 탄수화물 대사과정에서 지방 대사과정으로 연료사용이 점진적으로 전환된다.
20. 단백질은 1시간 이내의 운동 시 2% 미만의 에너지를 공급하며 3~5시간 동안의 운동에서는 후반기 몇 분 동안 전체 에너지의 5~10%를 공급한다.
1. 내분비선은 호르몬을 집접 혈액으로 분비하여 이 호르몬과 결합하는 수용기를 가진 세초의 활성도를 조절한다.
2. 혈장 유리 호르몬 농도는 세포 수준에서의 효과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다.
3. 유리 호르몬 농도는 혈장량, 수송 단백질의 양, 그리고 호르몬의 분비율이나 비활성에 따라 변한다.
4. 호르몬, 수용기의 상호작용은 세포에서 일어나는 일들의 시작점이며 호르몬 농도의 변화, 세포
  • 가격9,000
  • 페이지수23페이지
  • 등록일2022.12.05
  • 저작시기2022.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9078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