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교육의 개념적 기초
2. 교육의 어원
3. 교육의 비유
4. 교육의 대표적 정의
5. 교육의 목적
6. 우리나라 교육의 목적
7. 교육학의 학문적 성격
8. 교육적 기본 이념 (사회발전과 혁신 기능에 대해)
2. 교육의 어원
3. 교육의 비유
4. 교육의 대표적 정의
5. 교육의 목적
6. 우리나라 교육의 목적
7. 교육학의 학문적 성격
8. 교육적 기본 이념 (사회발전과 혁신 기능에 대해)
본문내용
.
7. 교육학의 학문적 성격
‘교육학’아리는 학문은 헤르바르트(Johann F. Herbart)가 “일반교육학”(1806)을 출판함으로서 시작되었다고 볼 수 있다. 그는 교육학은 윤리학과 심리학이라는 두 가지 기초 학문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교육 목적론은 윤리학에서 교육방법론은 교육심리학에서 도출된다고 보았다.
8. 교육적 기본 이념 (사회발전과 혁신 기능에 대해)
존 듀이(John Dewey)는 “나의 교육학 신조(My Pedagogic Creed)에서 다섯 가지 교육적 기본 이념을 제시한다. 교육의 사회혁신적 기능을 고려한 이론이다.
1) 교육이란 무엇인가? 그것은 사회의식을 갖게 하는 일이다.
2) 학교란 무엇인가? 개인을 사회화 하는 기관이다. 따라서 학교는 축소된 사회의 성격을 띠 어야한다.
3) 교육내용은 무엇이 되어야하는가? 학생의 교육배경은 사회이다. 교과서의 내용만 가르치지 말고 사회적 생활문제를 풀 수 있는 태도와 능력을 키워주어야한다.
4) 교육방법은 어떠해야할 것인가? 학생은 원래 활동적이다. 따라서 활동하면서 배우도록 해 야한다.
5) 교육과 사회진보는 어떤 관련을 갖는가? 교육은 사회진보를 위한 가장 근본적인 수단이다.
7. 교육학의 학문적 성격
‘교육학’아리는 학문은 헤르바르트(Johann F. Herbart)가 “일반교육학”(1806)을 출판함으로서 시작되었다고 볼 수 있다. 그는 교육학은 윤리학과 심리학이라는 두 가지 기초 학문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교육 목적론은 윤리학에서 교육방법론은 교육심리학에서 도출된다고 보았다.
8. 교육적 기본 이념 (사회발전과 혁신 기능에 대해)
존 듀이(John Dewey)는 “나의 교육학 신조(My Pedagogic Creed)에서 다섯 가지 교육적 기본 이념을 제시한다. 교육의 사회혁신적 기능을 고려한 이론이다.
1) 교육이란 무엇인가? 그것은 사회의식을 갖게 하는 일이다.
2) 학교란 무엇인가? 개인을 사회화 하는 기관이다. 따라서 학교는 축소된 사회의 성격을 띠 어야한다.
3) 교육내용은 무엇이 되어야하는가? 학생의 교육배경은 사회이다. 교과서의 내용만 가르치지 말고 사회적 생활문제를 풀 수 있는 태도와 능력을 키워주어야한다.
4) 교육방법은 어떠해야할 것인가? 학생은 원래 활동적이다. 따라서 활동하면서 배우도록 해 야한다.
5) 교육과 사회진보는 어떤 관련을 갖는가? 교육은 사회진보를 위한 가장 근본적인 수단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