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의 목적
Ⅱ. 문헌고찰
1. 노인의 욕창
2. 노인의 일상생활수행능력
Ⅲ. 연구방법
1. 연구설계
2. 연구대상
3. 연구도구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의 목적
Ⅱ. 문헌고찰
1. 노인의 욕창
2. 노인의 일상생활수행능력
Ⅲ. 연구방법
1. 연구설계
2. 연구대상
3. 연구도구
본문내용
Gupta, Murthy & Murali, 2009).
노인에게서 신체활동 및 기동성은 욕창발생 위험요인 중 주요한 요인이며(Marta et al, 2007), 노인에게 제공되는 일상생활수행의 도움이 욕창예방을 위한 간호가 될 수 있다(Liem, McColl, King & Smith, 2004).
이상의 문헌을 고찰한 결과 일상생활수행능력은 노화에 따라 저하되며 일상생활수행능력의 저하는 조인의 건강상태에 영향을 미친다. 또한 일상생활수행능력의 저하는 건강문제 중 이동성과 관련이 있는 욕창발생의 위험도를 증가시키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을 알 수있다. 따라서 노인의 욕창 간호중재 시 일상생활수행능력을 중요한 변수로 고려하여 욕창과 일상생활수행능력의 관계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Ⅲ. 연구방법
1. 연구설계
본 연구는 노인요양시설에 입소한 노인의 욕창발생, 일상생활수행능력을 조사하고, 욕창발생유무에 따른 일상생활수행능력을 비교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2. 연구대상
본 연구의 대상은 대전, 충청지역에 위치한 8개소 노인 요양시설에 입소한 의사소통이 가능하며, 연구 참여에 동의한 65세 이상의 남녀 노인 226명을 편의 표집하였다.
3. 연구도구
1) 욕창
본 연구에서는 Bergstrom 등(1992)이 Agency for Health Care Policy & Research를 통해 제공한 Prediction & prevention: Clinical practice guideline을 연구 대상자의 피부 사정을 위해 사용하였다.
본 도구는 욕창발생에 대한 피부사정도구로서 1단계에서 4단계로 분류되어 있다.
2) 일상생활수행능력
본 연구에서는 Katz, Ford, Moscokowitz, Jackson & Jaffe(1963)이 개발한 Katz\'s Index를 우리나라의 문화에 맞는 노인의 일상생활의 기능상태를 평가하고자 수정보완한 원장원(2002)의 K-ADL을 연구 대상자의 일상생활수행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하였다.
본 도구는 옷입기, 세수하기, 목욕, 식사하기, 이동, 화장실사용, 대소변 조절의 총 7문항 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1은 완전자립, 2는 부분의존, 3은 완전의존으로 총점 21점 중 최저 7점에서 최고 21점으로 점수가 높을수록 의존도가 높음을 의미한다.
도구 개발시 신뢰도는 Cronbach\'s alpha=.95이며, 본 연구에서 신뢰도는
Cronbach\'s alpha=.95이다.
노인에게서 신체활동 및 기동성은 욕창발생 위험요인 중 주요한 요인이며(Marta et al, 2007), 노인에게 제공되는 일상생활수행의 도움이 욕창예방을 위한 간호가 될 수 있다(Liem, McColl, King & Smith, 2004).
이상의 문헌을 고찰한 결과 일상생활수행능력은 노화에 따라 저하되며 일상생활수행능력의 저하는 조인의 건강상태에 영향을 미친다. 또한 일상생활수행능력의 저하는 건강문제 중 이동성과 관련이 있는 욕창발생의 위험도를 증가시키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을 알 수있다. 따라서 노인의 욕창 간호중재 시 일상생활수행능력을 중요한 변수로 고려하여 욕창과 일상생활수행능력의 관계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Ⅲ. 연구방법
1. 연구설계
본 연구는 노인요양시설에 입소한 노인의 욕창발생, 일상생활수행능력을 조사하고, 욕창발생유무에 따른 일상생활수행능력을 비교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2. 연구대상
본 연구의 대상은 대전, 충청지역에 위치한 8개소 노인 요양시설에 입소한 의사소통이 가능하며, 연구 참여에 동의한 65세 이상의 남녀 노인 226명을 편의 표집하였다.
3. 연구도구
1) 욕창
본 연구에서는 Bergstrom 등(1992)이 Agency for Health Care Policy & Research를 통해 제공한 Prediction & prevention: Clinical practice guideline을 연구 대상자의 피부 사정을 위해 사용하였다.
본 도구는 욕창발생에 대한 피부사정도구로서 1단계에서 4단계로 분류되어 있다.
2) 일상생활수행능력
본 연구에서는 Katz, Ford, Moscokowitz, Jackson & Jaffe(1963)이 개발한 Katz\'s Index를 우리나라의 문화에 맞는 노인의 일상생활의 기능상태를 평가하고자 수정보완한 원장원(2002)의 K-ADL을 연구 대상자의 일상생활수행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하였다.
본 도구는 옷입기, 세수하기, 목욕, 식사하기, 이동, 화장실사용, 대소변 조절의 총 7문항 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1은 완전자립, 2는 부분의존, 3은 완전의존으로 총점 21점 중 최저 7점에서 최고 21점으로 점수가 높을수록 의존도가 높음을 의미한다.
도구 개발시 신뢰도는 Cronbach\'s alpha=.95이며, 본 연구에서 신뢰도는
Cronbach\'s alpha=.95이다.
추천자료
- 노인장기요양보험에 대한 설명 및 나의 생각
- [노인요양보장제도][노인요양보장정책][노인복지]노인요양보장제도(노인요양보장정책)의 방향...
- (노인간호학D)노인 장기요양 보험제도의 목적, 노인 장기 요양급여의 종류, 요양보험 이용절...
- 노인장기요양법
-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노인장기요양보험의 의의 및 목적,노인장기요양보험법 실시배경,노인장...
- 요양시설사업계획서
- 장기요양기관 중 한 곳을 방문 후 기관을 분석
- 장기요양 보험 제도
- [의료사회사업론 B형] 우리나라 노인장기요양보험의 개요, 노인장기요양 인정신청, 등급판...
- 간호표준, 간호표준정의, 간호표준유형, 간호표준필요성, 간호표준을위한노력, 간호표준발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