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는 타국으로 이주를 한 후, 해당 국가의 국적을 획득하고, 국내로 돌아올 수 있는 상황이 되었음에도 해당 국가에서 지속적으로 거주하여 혈통을 이어나가게 되었는데 이 경우에는 디아스포라라고 말할 수 있다. 또, 군대 등의 문제로 인해 이민을 간 후 외국 국적을 획득한 사람들, 그리고 이 생활을 이어가는 사람들은 디아스포라라고 정의해야 한다고 생각된다. 그들은 결국 한국계 외국인이 되었다고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다만, 현재 일부 이민자들의 경우 직장을 위해 한국과 외국을 넘나들면서 살아가고 있는데 이는 단순히 ‘외국인 거주자’라고 정의해야 할 것이라고 생각된다.
한국 디아스포라는 한국의 혈통을 가지고 있으나 외국의 국적을 얻어 혈통을 이어가는 사람이라고 볼 수 있고, 현재 우리나라는 앞서 언급하였듯이 군대, 교육 등의 이유로 디아스포라를 경험하는 사람들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은 결국 과거 조선족과 동일하게 사회 경제적인 이유라고 생각하며, 현재는 큰 규모를 이루지 않고 살아가고 있을지라도 그들이 혈통을 이어나가 해당 국가에서 살아가게 될 경우 미래의 그들 무리는 조선족과 같이 새로운 형태의 민족을 형성하게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참고
(1) 중앙일보, 2020.08.11. [단독] 한국 떠나는 국민, 11년 만에 최대
https://www.chosun.com/site/data/html_dir/2020/08/11/2020081100153.html
(2) 한인포스트, 2020.01.02. 2019년 재외동포 750만 시대…꾸준히 증가추세
https://haninpost.com/archives/28173
한국 디아스포라는 한국의 혈통을 가지고 있으나 외국의 국적을 얻어 혈통을 이어가는 사람이라고 볼 수 있고, 현재 우리나라는 앞서 언급하였듯이 군대, 교육 등의 이유로 디아스포라를 경험하는 사람들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은 결국 과거 조선족과 동일하게 사회 경제적인 이유라고 생각하며, 현재는 큰 규모를 이루지 않고 살아가고 있을지라도 그들이 혈통을 이어나가 해당 국가에서 살아가게 될 경우 미래의 그들 무리는 조선족과 같이 새로운 형태의 민족을 형성하게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참고
(1) 중앙일보, 2020.08.11. [단독] 한국 떠나는 국민, 11년 만에 최대
https://www.chosun.com/site/data/html_dir/2020/08/11/2020081100153.html
(2) 한인포스트, 2020.01.02. 2019년 재외동포 750만 시대…꾸준히 증가추세
https://haninpost.com/archives/28173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