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무역이론의 전개]
1. 고전적 무역이론
2. 신고전적 무역이론
3. 근대적 무역이론
4. 현대무역이론
* 참고문헌
1. 고전적 무역이론
2. 신고전적 무역이론
3. 근대적 무역이론
4. 현대무역이론
* 참고문헌
본문내용
비교우위의 기준은 기술수준이 된다는 이론이다. 즉 어떤 상품을 제조함에 있어 기술면에서 우위가 있는 나라가 열위에 있는 나라로 수출이 이루어지는 것은 양국 간 생산기술상의 격차 때문이라는 것이다.
국가 간 생산기술상의 격차란 반드시 국가 전체의 평균적인 기술수준상의 격차로서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소멸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무역은 당초 기술격차로 이루어지다가 그 후에는 기술격차 이외의 다른 요인, 예컨대 임금격차로 이루어질 수 있다고 한다.
포스너는 선진국 간에 행해지는 공산품의 무역은 생산기술혁신으로 인하여 생산기술격차가 각종 산업에 불규칙적으로 비교생산비의 차이를 낳게 하고, 다른 나라가 이러한 기술을 모방할 때까지 수출을 계속시킬 수 있다고 하였다. 또 후프바우어도 양국의 현격한 제품의 차별화나 신제품의 출현이 비교우위의 패턴을 낳게 하며, 다른 나라가 이를 모방할 때까지 그 위치를 지킨다고 하였다.
따라서 이 이론은 기술격차를 통해 비교우위의 패턴을 도출할 수 있음을 전개한 이론이다. 특히 저임금국가가 모방에 의해 무역패턴이 역전되는 동태적 이론으로 취급하였다는 점에서 무역이론에 크게 기여하였다.
4) 제품주기론
제품주기론(Product life cycle theory)이란 제품이 R&D에 의해서 신제품으로 개발되어 시장에 등장한 후 성장기를 거쳐 마지막에는 사양화되는 과정을 시간적 경과와 판매량을 관련시켜 나타낸 무역이론이다.
이 이론은 1966년에 버논(R.Vemon)과 1968년 웰스(L. T. Wells)가 제시한 것으로 내용상으로 볼 때 기술갭이론을 보다 일반화시키고 확장시키는 것으로 볼 수 있으며, 제품 수명주기이론이라고도 한다.
이 모델에서는 새로운 제품이 R&D에 의해서 소개되고 쇠퇴되어 가는 과정을 도입기(introduction stage), 성장기(growth stage), 성숙기(maturity stage), 쇠퇴기(decline stage) 등 4단계로 나누거나, 혹은 신제품단계(new product stage), 성숙제품단계(maturing product
stage), 표준화제품단계(standardized stage)의 3단계로 나누어 각 단계에 있어서 어떤 유형의 나&M서 생산되어 수출되는가를 설명하고 있다.
이 모델에 의하면 신제품을 도입하여 생산하는 데에는 고도로 숙련된 노동이 필요하지만, 이 신제품이 성숙되어 가고 대중화되어 감에 따라 점차 표준화되고 대량생산기슬과 미숙련노동에 의해서 생산이 가능해지게 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제품의 비교우위는 새로운 기술이 최초로 개발된 선진국으로부터 노동이 비교적 저렴하고, 보다 덜 발전된 국가로 이전한다는 것이며, 이것은 해외직접투자형태를 취하기도 한다는 것이다.
5) 환경격차설
환경격차설(environment gap theory)은 맘그렌(H. B. Malmgren)과 월터(I. Walter)에 의해서 제기된 무역발생원인과 무역패턴에 관한 가설이다. 환경격차설이란 산업공해방지를 위하여 투입되는 환경관리비용이 각국 간 비교우위구조를 변동시키고 무역패턴을 결정한다는 가설이다.
이 가설이 대두된 것은 최근 환경파괴방지를 위하여 투입되는 환경관리비용이 제품의 생산비를 상승시켜 수출상품의 국제경쟁력을 변동시킬 뿐만 아니라 무역패턴을 변동시키기 때문이다.
지금까지의 무역이론들은 한결같이 최근 가장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는 공해규제실시에 따른 추가적인 비용부담에 의한 비교우위의 변동요소를 전혀 고려하지 않았다. 이에 착안하여 맘그렌은 공해를 엄격히 규제하고 있는 나라와 그렇지 못한 나라 사이에는 상품의 비교우위가 결정될 가능성이 존재하며, 상품의 비교우위에 의하여 각 국가에서 특화가 이루어지면 종래의 각국 무역패턴은 다소 변동될 것이라고 하여 소위 환경격차설이라는 새로운 무역패턴결정에 관한 가설을 주장하고 있다.
환경격차설의 내용을 보면, 환경보호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나라에서는 산업공해를 규제하는 데 비하여 다른 나라에서는 이를 규제하지 않는다거나 혹은 허술하게 규제하기 때문에 전자에서 생산되는 상품의 코스트는 상승되지만 후자에서 생산되는 상품의 코스트는 상승되지 않기 때문에 양자 간 비교생산비차가 발생되어 무역패턴이 변동된다는 것이다.
이 가설은 그 후 월터에 의해서도 제기된바 있는데, 그는 환경의 퇴화를 방지하고 이를 복원하기 위해 어느 나라에서 공해규제가 실시되면 공해방지시설에 대한 자본비용 이외에도 경상의 R&D비용, 감가상각비, 경상의 제비용 등이 추가적으로 지불되지 않으면 안 되는데, 이러한 제비용은 당해 산업의 생산비를 반드시 상승시키게 한다는 것이다.
한편 자본 및 기술부족, 환경오염에 대한 무관심, 우수한 환경자정능력으로 인하여 다른 나라에서는 공해규제를 실시하지 않거나 또는 이를 허술하게 실시한다면 공해방지비용을 거의 부담하지 않기 때문에 생산비는 그다지 상승되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환경오염문제로 말미암아 양국 간 생산비상에 차이가 발생하지 않을 수 없는 것이다. 또한 공해규제정책의 목표와 그 수단의 상이 등으로 인하여 생산비상의 차이가 생길 수도 있는 것이다.
이것은 곧 공해규제에 의한 비교생산비차의 발생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공해규제에 의하여 비교생산비가 결정되고 무역패턴이 결정될 가능성이 충분히 존재한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공해규제가 무역패턴결정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이 곧 환경격차설이다.
* 참고문헌
경영학 - 최수형/추교완 외 1명 저, 피앤씨미디어, 2013
2018 재미있는 경영학 워크북 - 최중락 저, 상경사, 2018
조직문화가 전략을 살린다 : 안근용, 조원규 외 1명 저 / 플랜비디자인 / 2019
경영학의 이해 - 이규현 저, 학현사, 2018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사례중심의 경영학원론 - 김명호 저, 두남, 2018
내일을 비추는 경영학 - 시어도어 레빗 저/정준희 역, 스마트비즈니스, 2011
경영학의 진리체계 - 윤석철 저, 경문사, 2012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국제경영학 - 김신 저, 박영사, 2012
경영학원론 - Gulati Mayo 외 1명 저, 카오스북, 2016
국가 간 생산기술상의 격차란 반드시 국가 전체의 평균적인 기술수준상의 격차로서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소멸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무역은 당초 기술격차로 이루어지다가 그 후에는 기술격차 이외의 다른 요인, 예컨대 임금격차로 이루어질 수 있다고 한다.
포스너는 선진국 간에 행해지는 공산품의 무역은 생산기술혁신으로 인하여 생산기술격차가 각종 산업에 불규칙적으로 비교생산비의 차이를 낳게 하고, 다른 나라가 이러한 기술을 모방할 때까지 수출을 계속시킬 수 있다고 하였다. 또 후프바우어도 양국의 현격한 제품의 차별화나 신제품의 출현이 비교우위의 패턴을 낳게 하며, 다른 나라가 이를 모방할 때까지 그 위치를 지킨다고 하였다.
따라서 이 이론은 기술격차를 통해 비교우위의 패턴을 도출할 수 있음을 전개한 이론이다. 특히 저임금국가가 모방에 의해 무역패턴이 역전되는 동태적 이론으로 취급하였다는 점에서 무역이론에 크게 기여하였다.
4) 제품주기론
제품주기론(Product life cycle theory)이란 제품이 R&D에 의해서 신제품으로 개발되어 시장에 등장한 후 성장기를 거쳐 마지막에는 사양화되는 과정을 시간적 경과와 판매량을 관련시켜 나타낸 무역이론이다.
이 이론은 1966년에 버논(R.Vemon)과 1968년 웰스(L. T. Wells)가 제시한 것으로 내용상으로 볼 때 기술갭이론을 보다 일반화시키고 확장시키는 것으로 볼 수 있으며, 제품 수명주기이론이라고도 한다.
이 모델에서는 새로운 제품이 R&D에 의해서 소개되고 쇠퇴되어 가는 과정을 도입기(introduction stage), 성장기(growth stage), 성숙기(maturity stage), 쇠퇴기(decline stage) 등 4단계로 나누거나, 혹은 신제품단계(new product stage), 성숙제품단계(maturing product
stage), 표준화제품단계(standardized stage)의 3단계로 나누어 각 단계에 있어서 어떤 유형의 나&M서 생산되어 수출되는가를 설명하고 있다.
이 모델에 의하면 신제품을 도입하여 생산하는 데에는 고도로 숙련된 노동이 필요하지만, 이 신제품이 성숙되어 가고 대중화되어 감에 따라 점차 표준화되고 대량생산기슬과 미숙련노동에 의해서 생산이 가능해지게 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제품의 비교우위는 새로운 기술이 최초로 개발된 선진국으로부터 노동이 비교적 저렴하고, 보다 덜 발전된 국가로 이전한다는 것이며, 이것은 해외직접투자형태를 취하기도 한다는 것이다.
5) 환경격차설
환경격차설(environment gap theory)은 맘그렌(H. B. Malmgren)과 월터(I. Walter)에 의해서 제기된 무역발생원인과 무역패턴에 관한 가설이다. 환경격차설이란 산업공해방지를 위하여 투입되는 환경관리비용이 각국 간 비교우위구조를 변동시키고 무역패턴을 결정한다는 가설이다.
이 가설이 대두된 것은 최근 환경파괴방지를 위하여 투입되는 환경관리비용이 제품의 생산비를 상승시켜 수출상품의 국제경쟁력을 변동시킬 뿐만 아니라 무역패턴을 변동시키기 때문이다.
지금까지의 무역이론들은 한결같이 최근 가장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는 공해규제실시에 따른 추가적인 비용부담에 의한 비교우위의 변동요소를 전혀 고려하지 않았다. 이에 착안하여 맘그렌은 공해를 엄격히 규제하고 있는 나라와 그렇지 못한 나라 사이에는 상품의 비교우위가 결정될 가능성이 존재하며, 상품의 비교우위에 의하여 각 국가에서 특화가 이루어지면 종래의 각국 무역패턴은 다소 변동될 것이라고 하여 소위 환경격차설이라는 새로운 무역패턴결정에 관한 가설을 주장하고 있다.
환경격차설의 내용을 보면, 환경보호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나라에서는 산업공해를 규제하는 데 비하여 다른 나라에서는 이를 규제하지 않는다거나 혹은 허술하게 규제하기 때문에 전자에서 생산되는 상품의 코스트는 상승되지만 후자에서 생산되는 상품의 코스트는 상승되지 않기 때문에 양자 간 비교생산비차가 발생되어 무역패턴이 변동된다는 것이다.
이 가설은 그 후 월터에 의해서도 제기된바 있는데, 그는 환경의 퇴화를 방지하고 이를 복원하기 위해 어느 나라에서 공해규제가 실시되면 공해방지시설에 대한 자본비용 이외에도 경상의 R&D비용, 감가상각비, 경상의 제비용 등이 추가적으로 지불되지 않으면 안 되는데, 이러한 제비용은 당해 산업의 생산비를 반드시 상승시키게 한다는 것이다.
한편 자본 및 기술부족, 환경오염에 대한 무관심, 우수한 환경자정능력으로 인하여 다른 나라에서는 공해규제를 실시하지 않거나 또는 이를 허술하게 실시한다면 공해방지비용을 거의 부담하지 않기 때문에 생산비는 그다지 상승되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환경오염문제로 말미암아 양국 간 생산비상에 차이가 발생하지 않을 수 없는 것이다. 또한 공해규제정책의 목표와 그 수단의 상이 등으로 인하여 생산비상의 차이가 생길 수도 있는 것이다.
이것은 곧 공해규제에 의한 비교생산비차의 발생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공해규제에 의하여 비교생산비가 결정되고 무역패턴이 결정될 가능성이 충분히 존재한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공해규제가 무역패턴결정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이 곧 환경격차설이다.
* 참고문헌
경영학 - 최수형/추교완 외 1명 저, 피앤씨미디어, 2013
2018 재미있는 경영학 워크북 - 최중락 저, 상경사, 2018
조직문화가 전략을 살린다 : 안근용, 조원규 외 1명 저 / 플랜비디자인 / 2019
경영학의 이해 - 이규현 저, 학현사, 2018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사례중심의 경영학원론 - 김명호 저, 두남, 2018
내일을 비추는 경영학 - 시어도어 레빗 저/정준희 역, 스마트비즈니스, 2011
경영학의 진리체계 - 윤석철 저, 경문사, 2012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국제경영학 - 김신 저, 박영사, 2012
경영학원론 - Gulati Mayo 외 1명 저, 카오스북, 2016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