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일화 기록법이란?
2. 일화 기록법의 일반적인 특징
3. 일화 기록법의 장점 및 단점
4. 유의사항
5. 일화 기록법 사례
Ⅲ. 결론
Ⅳ. 참고자료 및 참고문헌
Ⅱ. 본론
1. 일화 기록법이란?
2. 일화 기록법의 일반적인 특징
3. 일화 기록법의 장점 및 단점
4. 유의사항
5. 일화 기록법 사례
Ⅲ. 결론
Ⅳ. 참고자료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간에 일어나서 떠들고 뛰어다니면 선생님이 동현이 생각하는 의자에 앉혀둘 거에요. 그리고 승현이 소세지 가져갔으니까 미안하다고 사과하고, 동현이 소세지 승현이한테 주세요”라고 얘기하니 동현이는 “네”라고 대답한 후 승현이에게 “미안해 승현아”라고 얘기한 후 소세지를 승현이에게 주고 난 다음 조용히 자리에 앉아 밥을 먹는다. 이후에는 문제되는 행동 없이 식사를 한다.
해석 및 평가
동현이는 평소 활동성이 많은 아이로 항상 에너지가 넘치는 어린이다. 이처럼 활동량이 많은 아이이기 때문에 금일 동현이의 활동량을 분출시킬 수 있는 시간이 부족하지 않았나 평가해 볼 필요가 있다. 그리고 동현이의 활동량을 충족해줄 수 있는 체육 및 놀이활동에 대한 고찰이 필요한 것으로 평가된다. 또한 다른 친구의 음식을 뺏어 먹고, 식사시간에 자리에 앉지 않고 돌아다니는 행동이 지속될 경우, 이와 같은 행동은 잘못된 행동이라는 것을 지도하고, 자신의 잘못에는 책임을 져야 하며, 이에 대해 미안하다고 사과하는 방법에 대한 방법을 반복적으로 지도할 필요가 있으며 학부모에게도 동현이의 문제행동에 대하여 설명 후 가정에서도 식사시간에는 자리에 앉아서 밥을 먹을 수 있도록 지도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평가된다.
Ⅲ. 결론
일화 기록법, 표본식 기록법, 체크리스트, 평정 척도법, 시간 표지법 등 아동의 행동을 관찰하고 분석하기 위한 다양한 기록 방법 중 일화 기록법에 대한 개념을 살핀 후 이를 직접 활용함으로써 아동의 행동을 분석해본 결과 아동의 행동을 다시 한번 되짚어 본 후, 아동이 요구하는 것과 아동에게 필요한 것이 무엇이 있는지 복기할 수 있었다. 무엇보다 아동의 행동에 대해 객관적으로 묘사하기 때문에 이를 객관적으로 평가해볼 수 있다는 것이 큰 장점으로 다가왔던 것 같다. 그러나 이와 같은 평가를 하는 과정에 있어 교사의 주관적 해석 및 추론이 들어간다면 오히려 악효과가 날 수 있다는 생각이 든다. 따라서 이와 같은 기록법을 습득하는 데 있어 정확한 방법으로 이를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본다.
Ⅳ. 참고자료 및 참고문헌
1. 아동관찰 및 행동연구 강의록
2. 인주영. (2022). 누리과정의 유아교육 학습특성 분석에 의한 유치원 공간디자인. 국내석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건축전문대학원, 서울.
3. 최욱희. (2019). 개정 누리과정에 대한 유아 교사의 인식, 어려움 및 지원요구. 국내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서울.
해석 및 평가
동현이는 평소 활동성이 많은 아이로 항상 에너지가 넘치는 어린이다. 이처럼 활동량이 많은 아이이기 때문에 금일 동현이의 활동량을 분출시킬 수 있는 시간이 부족하지 않았나 평가해 볼 필요가 있다. 그리고 동현이의 활동량을 충족해줄 수 있는 체육 및 놀이활동에 대한 고찰이 필요한 것으로 평가된다. 또한 다른 친구의 음식을 뺏어 먹고, 식사시간에 자리에 앉지 않고 돌아다니는 행동이 지속될 경우, 이와 같은 행동은 잘못된 행동이라는 것을 지도하고, 자신의 잘못에는 책임을 져야 하며, 이에 대해 미안하다고 사과하는 방법에 대한 방법을 반복적으로 지도할 필요가 있으며 학부모에게도 동현이의 문제행동에 대하여 설명 후 가정에서도 식사시간에는 자리에 앉아서 밥을 먹을 수 있도록 지도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평가된다.
Ⅲ. 결론
일화 기록법, 표본식 기록법, 체크리스트, 평정 척도법, 시간 표지법 등 아동의 행동을 관찰하고 분석하기 위한 다양한 기록 방법 중 일화 기록법에 대한 개념을 살핀 후 이를 직접 활용함으로써 아동의 행동을 분석해본 결과 아동의 행동을 다시 한번 되짚어 본 후, 아동이 요구하는 것과 아동에게 필요한 것이 무엇이 있는지 복기할 수 있었다. 무엇보다 아동의 행동에 대해 객관적으로 묘사하기 때문에 이를 객관적으로 평가해볼 수 있다는 것이 큰 장점으로 다가왔던 것 같다. 그러나 이와 같은 평가를 하는 과정에 있어 교사의 주관적 해석 및 추론이 들어간다면 오히려 악효과가 날 수 있다는 생각이 든다. 따라서 이와 같은 기록법을 습득하는 데 있어 정확한 방법으로 이를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본다.
Ⅳ. 참고자료 및 참고문헌
1. 아동관찰 및 행동연구 강의록
2. 인주영. (2022). 누리과정의 유아교육 학습특성 분석에 의한 유치원 공간디자인. 국내석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건축전문대학원, 서울.
3. 최욱희. (2019). 개정 누리과정에 대한 유아 교사의 인식, 어려움 및 지원요구. 국내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서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