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책 소개
2. 저자 소개
3. 내용 정리
4. 필사
5. 느낀 점
2. 저자 소개
3. 내용 정리
4. 필사
5. 느낀 점
본문내용
전을 받아들이기로 절실하게 결심했는지를 시험하기 위해 전력으로 흥기하는 것처럼 보인다.-91pg.
관문 수호자를 처리하는 가장 효율적임 방법은 몰래 뒤쫓는 동물의 마음을 읽는 사냥꾼처럼 적대자의 \'머리 속으로 들어가는 것\'이다.-91pg.
관문 수호자는 물리쳐야 할 대상이 아니고 결속해야 할, 한 몸이 되어야 할 대상이다. 영웅은 수호자의 술수를 배워 자기 것으로 만드는 등 여러 가지를 습득한다. 궁극적으로 영웅으로 완전히 발현된 자는 적에 대해 연민을 느끼고, 그 적을 파멸시키기보다는 초월한다.-93pg.
전령관 원형은 스토리의 어느 지점에서든 나타나 제 역할을 할 수 있으나, 대부분 1막에 출현해 영웅을 모험으로 이끄는 데 도움을 준다. 그것이 내부에서의 부름이든 외부적인 변화의 소산이든 변화의 소식을 전달해주는 캐릭터이든, 전령관의 에너지는 거의 모든 스토리에 필요하다.-97pg.
변신자재자는 마음과 겉모습을 바꿈으로써 주인공 영웅과 관객이 한 명의 동일한 인물로 이해하는 데 어려움을 겪게 한다. 변신자재자는 영웅이 긴가민가 하고 헷갈리게 해 잘못된 곳으로 끌고 가면서, 자신의 진심과 충실함을 의문스러워지도록 한다. 영웅의 동성 친구나 협력자 역시 단짝이 주인공인 코미디나 어드벤처에서 변신자재자 역할을 한다. 페어리 테일의 세계에서 마법사, 마녀, 사람을 잡아 먹는 괴물은 전형적인 변신 자재자들이다.-98pg.
그림자는 억눌린 감정의 힘을 표현한다. 깊은 외상이나 죄의식은 무의식의 음습한 영지로 추방되었을 때 곪아버릴 정도로 썩어 문드러질 수 있고, 꽁꽁 감춰지거나 거부당한 감정은 가공할 만한 것으로 전화되어 우리를 파멸시키려 든다.
관문 수호자가 신경증을 대변한다면, 그림자 원형은 단지 우리를 방해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파멸에 이르게 할 정도로 위협적인 정싱질환이다. 그림자는 그저 우리가 나쁜 습관과 고질적인 두려움을 극복하려고 늘 뒤엉켜 싸우는 우리 자신의 그늘진 부분일 수 있다. 그림자 에너지는 자체의 생명력을 가지고서 자신의 이익에 부합하는 것을 위해 움직이는 강력한 내적 힘을 갖고 있다. 그것은 파괴적인 힘일 수 있다. 특히 그것이 용인되지 못하고, 도전받지 못하고, 주목받지 못할 때 그렇다.-106pg.
5. 느낀 점
시나리오를 쓰고 싶어서 그것과 관련된 책들을 읽어보기로 했다. 이 책은 오랫동안 집에 한 구석에 있었지만 이제서야 꺼내어 그 빛을 볼 수 있게 되었다.
영웅의 여행이라는 구조를 보고 안심이 되었다. 이것을 골격삼아 이것저것 살을 붙이거나 응용해보면 어떤 스토리든 만들 수 있을 것 같다.
이야기 속에서 주인공이 주변인물들에게서 배운다는 점도 재밌었지만 특히나 흥미로웠던 부분은 주인공의 결점 설정에 대한 부분이다. 거기에 따라 그가 가야 할 방향이 정해지고 작품의 주제와도 연결된다는 것이다. 역시 결점이 있어야 매력적인 캐릭터가 탄생하는 것 같다.
동시에 보는 사람이 공감할 수 있는 캐릭터를 만들어내야 할 것이다.
이 책을 읽고 알게 된 것을 기반으로 재미있는 소설이나 시나리오를 쓸 수 있었으면 좋겠다.
관문 수호자를 처리하는 가장 효율적임 방법은 몰래 뒤쫓는 동물의 마음을 읽는 사냥꾼처럼 적대자의 \'머리 속으로 들어가는 것\'이다.-91pg.
관문 수호자는 물리쳐야 할 대상이 아니고 결속해야 할, 한 몸이 되어야 할 대상이다. 영웅은 수호자의 술수를 배워 자기 것으로 만드는 등 여러 가지를 습득한다. 궁극적으로 영웅으로 완전히 발현된 자는 적에 대해 연민을 느끼고, 그 적을 파멸시키기보다는 초월한다.-93pg.
전령관 원형은 스토리의 어느 지점에서든 나타나 제 역할을 할 수 있으나, 대부분 1막에 출현해 영웅을 모험으로 이끄는 데 도움을 준다. 그것이 내부에서의 부름이든 외부적인 변화의 소산이든 변화의 소식을 전달해주는 캐릭터이든, 전령관의 에너지는 거의 모든 스토리에 필요하다.-97pg.
변신자재자는 마음과 겉모습을 바꿈으로써 주인공 영웅과 관객이 한 명의 동일한 인물로 이해하는 데 어려움을 겪게 한다. 변신자재자는 영웅이 긴가민가 하고 헷갈리게 해 잘못된 곳으로 끌고 가면서, 자신의 진심과 충실함을 의문스러워지도록 한다. 영웅의 동성 친구나 협력자 역시 단짝이 주인공인 코미디나 어드벤처에서 변신자재자 역할을 한다. 페어리 테일의 세계에서 마법사, 마녀, 사람을 잡아 먹는 괴물은 전형적인 변신 자재자들이다.-98pg.
그림자는 억눌린 감정의 힘을 표현한다. 깊은 외상이나 죄의식은 무의식의 음습한 영지로 추방되었을 때 곪아버릴 정도로 썩어 문드러질 수 있고, 꽁꽁 감춰지거나 거부당한 감정은 가공할 만한 것으로 전화되어 우리를 파멸시키려 든다.
관문 수호자가 신경증을 대변한다면, 그림자 원형은 단지 우리를 방해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파멸에 이르게 할 정도로 위협적인 정싱질환이다. 그림자는 그저 우리가 나쁜 습관과 고질적인 두려움을 극복하려고 늘 뒤엉켜 싸우는 우리 자신의 그늘진 부분일 수 있다. 그림자 에너지는 자체의 생명력을 가지고서 자신의 이익에 부합하는 것을 위해 움직이는 강력한 내적 힘을 갖고 있다. 그것은 파괴적인 힘일 수 있다. 특히 그것이 용인되지 못하고, 도전받지 못하고, 주목받지 못할 때 그렇다.-106pg.
5. 느낀 점
시나리오를 쓰고 싶어서 그것과 관련된 책들을 읽어보기로 했다. 이 책은 오랫동안 집에 한 구석에 있었지만 이제서야 꺼내어 그 빛을 볼 수 있게 되었다.
영웅의 여행이라는 구조를 보고 안심이 되었다. 이것을 골격삼아 이것저것 살을 붙이거나 응용해보면 어떤 스토리든 만들 수 있을 것 같다.
이야기 속에서 주인공이 주변인물들에게서 배운다는 점도 재밌었지만 특히나 흥미로웠던 부분은 주인공의 결점 설정에 대한 부분이다. 거기에 따라 그가 가야 할 방향이 정해지고 작품의 주제와도 연결된다는 것이다. 역시 결점이 있어야 매력적인 캐릭터가 탄생하는 것 같다.
동시에 보는 사람이 공감할 수 있는 캐릭터를 만들어내야 할 것이다.
이 책을 읽고 알게 된 것을 기반으로 재미있는 소설이나 시나리오를 쓸 수 있었으면 좋겠다.
추천자료
그리스 신화에 나타나는 비극& 비극의 현대적 재해석
<문화콘텐츠기획의 이론과 실제>기획서 마케팅전략
[독후감]서평:이우혁의 ‘치우천왕기’ 를 읽고
소설가 “김진명”에 대하여
[작품과 작품간의 세계관 공유현상] 무협, 판타지 소설의 세계관 형성 및 공유현상에 대한 고찰
[최신A+우수자료][실행이답이다서평][실행이답이다독후감][실행이답이다줄거리요약+감상평][...
[신화의세계C]아폴로니오스의 아르고호 이야기 - 해설 요약, 독후감
[신화의세계D] 베르길리우스의 아이네이스 - 해설 요약, 독후감
대중문화와 영웅신화 : 문화를 만들어가는 사람들 [서평, 독후감] _ 김종회 지음
영화속 영웅 비교 - 「반지의 제왕 ((The Lord Of The Rings)」과 「다크나이트 (The Dark Kn...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