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일반적 정보
2.병력
3.병태생리
4.신체검진
5.임상검사
6.약물
7.간호과정
2.병력
3.병태생리
4.신체검진
5.임상검사
6.약물
7.간호과정
본문내용
및 산염기 평형의 조절 평가
증가 :급,만성 신부전, Addison병
감소 :구토, 설사, 알칼리증, Cushing증후군
Cl
98-107
109
104
101
104
92
104
전해질 불균형 여부 판정 및 산염기 평형상태의 평가 시 이용할 수 있다.
증가: 탈수, 설사, 세뇨관성 산증, 만성신장염
감소: 구토, 급성신부전, 이뇨제복용
BUN
6-20
8.1
9.8
14.9
11.8
11.8
7.1
신장의 사구체여과율에 의한 신장기능 검사
증가 :신기능장애, 신부전, 탈수증, 요로폐쇄
감소 :간부전, 임신, 저단백식
Creatinine
0.5-0.9
0.64
0.50
0.45
0.50
0.51
0.49
신장기능 지표검사
증가 :사구체신염, 신부전, 요독증, 울혈성 심부전, 말단비대증
감소 :중증 근이영양증
eGFR
102
110.85
114.76
110.851
111.563
111.59
GFR(사구체여과율): 사구체여과율의 감소는 신장 내 사구체의 기능 저하로, 신장 기능이 감소했음을 의미합니다.
Total CO2
22-29
19.9
20.5
19.1
23.1
22.2
23.8
호흡성 및 대사성인자와 관련된 산-염기평형 이상의 진단과 치료에 이용된다. serum 내 CO2 증가는 호흡성acidosis 를 의미하며 serum 내 CO2 감소는 호흡성 alkalosis 를 의미한다.
Albumin
3.1-5.2
3.6
3.8
3.4
3.5
3.3
3.2
알부민 농도는 간이 손상을 받을 경우, 신증후군을 유발하는 신장질환을 가질 경우, 영양실조 상태인 경우, 염증이 있거나 쇼크 상태에 빠진 경우에 감소합니다. 알부민 농도는 탈수 상태일 때 증가합니다.
AST
0-40
31
28
21
28
27
30
간이나 근육에 손상이 생겼을 때 간이나 근육에서 혈액으로 AST가 방출되며, 방출에 의해 증가된 AST 농도는 간손상을 발견하는데 유용한 검사가 됩니다.
ALT
0-40
28
25
18
26
24
28
ALT는 대부분 간과 신장의 세포에서 발견되는 효소이며 심장과 근육에서 소량이 발견됩니다. 건강한 사람에서는 혈중 ALT 수치는 낮지만 간이 손상을 받으면 대개 황달 같은 간 손상의 명확한 증상이 나타나기 전에 ALT가 혈류로 방출됩니다.
Blood gas study
PH
7.35-7.45
7.321
7.407
-
-
-
-
신체의 수소이온농도지수를 나타냅니다.
PCO2
32-45
42.0
34.8
-
-
-
-
혈액 중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의미합니다.
PO2
75-100
103.6
185.9
-
-
-
-
혈액 중 산소의 농도를 의미합니다.
HCO3
-
21,2
21.4
-
-
-
-
혈액 중 가장 대표적인 중탄산염 완충계를 표시하는 지표로 28mmHg 이상인 경우 대사성 알칼리증, 22mmHg 이하인 경우 대사성 산증을 의미합니다.
O2 saturaion
-
96.7%
98.8%
-
-
-
혈색소 중 산소가 포화된 혈색소의 수치를 나타냅니다.
5) 임상검사
검사항목
검사일
검사부위
목적
적응증
결과
평가
Brain
angio CT
12/29
Brain
뇌의 혈관 상태를 확인
두 개내 동맥류, 동정맥 기형, 뇌혈관의 폐쇄성 질환 등에 사용.
An approximately 1.2cm sized aneurysm at right IC-PCOM.
4.6 sized fusiform dilatation, right V4 VA
aneurysm
MRI
12/30
Brain
두개내 비정상적인 상태를 확인.
다발성 경화증같은 신경수초의 손상으로 인한 신경전달 문제나 뇌경색 등을 확인 가능.
No remarkable finding
following op
No
remarka
ble
finding
7) 약물
약물명
투여용량
의사처방
투여시작 및 종료일
투여목적
가능한 부작용
투여효과
케프라 액
150ml
5ml씩
bid
12/29~
간질로 인한 발작을 치료
어지러움, 우울삼, 자살충동등
처음 간질로 진단된 2차성 전신발작을 동반하거나 동반하지 않는 부분발작의 치료
스토가 정
10mg
10mg
bid
12/29~
위산분비억제제
속쓰림, 알레르기 반응, 황변, 인후통 등
위궤양, 십이지장궤양, 급성 위염 및 만성위염의 위점막병변의 개선
씬지로이드 정 0.05mg
0.05mg
qd
12/29~
갑상선 호르몬제로 갑상선 기능저하증 등의 치료에 사용됩니다.
혈당수치의 변화, 알레르기 반응, 가슴통증, 신경과민, 근뵨통 등
갑상선기능저하증, 점액부종, 크레틴병의 개선
보령바이오 아스트릭스 캡슐
100mg
100mg
qd
12/29~
혈액응고방지
알레르기 반응, 비정상적인 출혈, 두통, 복통 등
혈전 생성억제
보령 뮤코미스트 액 800mg/4ml
800mg
qid
12/29~
가래의 배츌을 도움
-
객담배출곤란의 개선
아트로벤트 흡입액 유디비
500mcg/2ml
500mcg
qid
12/29~
천식발작 예방
구강건조증, 비충혈, 혈관부종 등
기도폐쇄 장애에 의한 호흡곤란 등 여러 증상 완화
크레스토
정 20mg
20mg
qd
12/29~
혈중 콜레스트롤과 중성지방의 수치를 감소시켜 심질환을 예방.
근육병증, 횡문근 융해 증상 등
심혈관 질환 위험성 감소
모티리톤
정
30mg
tid
12/29~
기능성 소화불량증에 사용
알레르기 반응
기능성 소화불량증 개선
케이콘틴
서방정
600mg
tid
12/29~
칼륨 보급제
설사, 복부팽만등
전신발작 및 부분발작의 치료
마이폴
캡슐
10mg
tid
12/29~
염증에 의한 경증 및 중등도의 통증을 완화.
졸음이나 현기증 유발, 변비, 과다한 수면, 호흡억제 등
염증에 의한 경증 및 중등도의 통증 완화
레코미드
정
100mg
tid
12/29~
항궤양용제
백혈구 감소, 혈소판 감소, 간기능 증애, 황달 등
위점막병변 개선
듀로제식
디트랜스
패취
12mcg/h
-
qd
12/29~
장시간 지속되는 통증을 완화하는 붙이는 마약성 진통제.
어지러움 등
장시간 지속적인 마약성 진통제의 투여를 필요로 하는 만성 통증의 완화
①경구/외용
②주사
약물명
투여용량
의사처방
투여시작 및 종료일
투여목적
가능한 부작용
투여효과
삼진
니모다핀
주 10mg
10mg
qd
12/29~
뇌
증가 :급,만성 신부전, Addison병
감소 :구토, 설사, 알칼리증, Cushing증후군
Cl
98-107
109
104
101
104
92
104
전해질 불균형 여부 판정 및 산염기 평형상태의 평가 시 이용할 수 있다.
증가: 탈수, 설사, 세뇨관성 산증, 만성신장염
감소: 구토, 급성신부전, 이뇨제복용
BUN
6-20
8.1
9.8
14.9
11.8
11.8
7.1
신장의 사구체여과율에 의한 신장기능 검사
증가 :신기능장애, 신부전, 탈수증, 요로폐쇄
감소 :간부전, 임신, 저단백식
Creatinine
0.5-0.9
0.64
0.50
0.45
0.50
0.51
0.49
신장기능 지표검사
증가 :사구체신염, 신부전, 요독증, 울혈성 심부전, 말단비대증
감소 :중증 근이영양증
eGFR
102
110.85
114.76
110.851
111.563
111.59
GFR(사구체여과율): 사구체여과율의 감소는 신장 내 사구체의 기능 저하로, 신장 기능이 감소했음을 의미합니다.
Total CO2
22-29
19.9
20.5
19.1
23.1
22.2
23.8
호흡성 및 대사성인자와 관련된 산-염기평형 이상의 진단과 치료에 이용된다. serum 내 CO2 증가는 호흡성acidosis 를 의미하며 serum 내 CO2 감소는 호흡성 alkalosis 를 의미한다.
Albumin
3.1-5.2
3.6
3.8
3.4
3.5
3.3
3.2
알부민 농도는 간이 손상을 받을 경우, 신증후군을 유발하는 신장질환을 가질 경우, 영양실조 상태인 경우, 염증이 있거나 쇼크 상태에 빠진 경우에 감소합니다. 알부민 농도는 탈수 상태일 때 증가합니다.
AST
0-40
31
28
21
28
27
30
간이나 근육에 손상이 생겼을 때 간이나 근육에서 혈액으로 AST가 방출되며, 방출에 의해 증가된 AST 농도는 간손상을 발견하는데 유용한 검사가 됩니다.
ALT
0-40
28
25
18
26
24
28
ALT는 대부분 간과 신장의 세포에서 발견되는 효소이며 심장과 근육에서 소량이 발견됩니다. 건강한 사람에서는 혈중 ALT 수치는 낮지만 간이 손상을 받으면 대개 황달 같은 간 손상의 명확한 증상이 나타나기 전에 ALT가 혈류로 방출됩니다.
Blood gas study
PH
7.35-7.45
7.321
7.407
-
-
-
-
신체의 수소이온농도지수를 나타냅니다.
PCO2
32-45
42.0
34.8
-
-
-
-
혈액 중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의미합니다.
PO2
75-100
103.6
185.9
-
-
-
-
혈액 중 산소의 농도를 의미합니다.
HCO3
-
21,2
21.4
-
-
-
-
혈액 중 가장 대표적인 중탄산염 완충계를 표시하는 지표로 28mmHg 이상인 경우 대사성 알칼리증, 22mmHg 이하인 경우 대사성 산증을 의미합니다.
O2 saturaion
-
96.7%
98.8%
-
-
-
혈색소 중 산소가 포화된 혈색소의 수치를 나타냅니다.
5) 임상검사
검사항목
검사일
검사부위
목적
적응증
결과
평가
Brain
angio CT
12/29
Brain
뇌의 혈관 상태를 확인
두 개내 동맥류, 동정맥 기형, 뇌혈관의 폐쇄성 질환 등에 사용.
An approximately 1.2cm sized aneurysm at right IC-PCOM.
4.6 sized fusiform dilatation, right V4 VA
aneurysm
MRI
12/30
Brain
두개내 비정상적인 상태를 확인.
다발성 경화증같은 신경수초의 손상으로 인한 신경전달 문제나 뇌경색 등을 확인 가능.
No remarkable finding
following op
No
remarka
ble
finding
7) 약물
약물명
투여용량
의사처방
투여시작 및 종료일
투여목적
가능한 부작용
투여효과
케프라 액
150ml
5ml씩
bid
12/29~
간질로 인한 발작을 치료
어지러움, 우울삼, 자살충동등
처음 간질로 진단된 2차성 전신발작을 동반하거나 동반하지 않는 부분발작의 치료
스토가 정
10mg
10mg
bid
12/29~
위산분비억제제
속쓰림, 알레르기 반응, 황변, 인후통 등
위궤양, 십이지장궤양, 급성 위염 및 만성위염의 위점막병변의 개선
씬지로이드 정 0.05mg
0.05mg
qd
12/29~
갑상선 호르몬제로 갑상선 기능저하증 등의 치료에 사용됩니다.
혈당수치의 변화, 알레르기 반응, 가슴통증, 신경과민, 근뵨통 등
갑상선기능저하증, 점액부종, 크레틴병의 개선
보령바이오 아스트릭스 캡슐
100mg
100mg
qd
12/29~
혈액응고방지
알레르기 반응, 비정상적인 출혈, 두통, 복통 등
혈전 생성억제
보령 뮤코미스트 액 800mg/4ml
800mg
qid
12/29~
가래의 배츌을 도움
-
객담배출곤란의 개선
아트로벤트 흡입액 유디비
500mcg/2ml
500mcg
qid
12/29~
천식발작 예방
구강건조증, 비충혈, 혈관부종 등
기도폐쇄 장애에 의한 호흡곤란 등 여러 증상 완화
크레스토
정 20mg
20mg
qd
12/29~
혈중 콜레스트롤과 중성지방의 수치를 감소시켜 심질환을 예방.
근육병증, 횡문근 융해 증상 등
심혈관 질환 위험성 감소
모티리톤
정
30mg
tid
12/29~
기능성 소화불량증에 사용
알레르기 반응
기능성 소화불량증 개선
케이콘틴
서방정
600mg
tid
12/29~
칼륨 보급제
설사, 복부팽만등
전신발작 및 부분발작의 치료
마이폴
캡슐
10mg
tid
12/29~
염증에 의한 경증 및 중등도의 통증을 완화.
졸음이나 현기증 유발, 변비, 과다한 수면, 호흡억제 등
염증에 의한 경증 및 중등도의 통증 완화
레코미드
정
100mg
tid
12/29~
항궤양용제
백혈구 감소, 혈소판 감소, 간기능 증애, 황달 등
위점막병변 개선
듀로제식
디트랜스
패취
12mcg/h
-
qd
12/29~
장시간 지속되는 통증을 완화하는 붙이는 마약성 진통제.
어지러움 등
장시간 지속적인 마약성 진통제의 투여를 필요로 하는 만성 통증의 완화
①경구/외용
②주사
약물명
투여용량
의사처방
투여시작 및 종료일
투여목적
가능한 부작용
투여효과
삼진
니모다핀
주 10mg
10mg
qd
12/29~
뇌
추천자료
뇌졸중의 정의, 종류, 위험인자와 뇌졸중의 증상, 진단 및 뇌졸중의 예방 그리고 뇌졸중의 치...
심근경색(MI) [논문]
<수술실케이스> T&A (tonsillesctomy with adenoidectomy)
subarachnoid haemorrhage (SAH) 지주막하출혈
CASE STUDY(뇌내출혈)
[성인간호학실습] subdural Hemorrhage SDH 경막하 출혈 Case study 케이스 스터디
성인간호 ICU case study- SAH(A+ 칭찬받은자료)
지주막하출혈 레포트
신규간호사도 이해할 수 있게 만든 뇌동맥류 자료(시술 및 이미지)
지주막하출혈 case - 지주막하출혈 간호 케이스 연구 및 지주막하출혈 증상과 병태생리 합병...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