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원예작물학1
(1) 본인의 부엌이나 냉장고에 있는 채소 2개를 선택하여 각 채소의 원산지를 쓰고 생태적, 원예적, 식물학적으로 분류하라.
(2) 각 채소의 생리·생태적 특징과 재배법을 소개하라.
(3) 통계청의 국가통계포털에 접속(https://kosis.kr/index/index.do)하여 해당 채소의 최근 몇 년간 생산 실적과 면적 변화를 조사하라.
(4) 앞으로 채소원예 산업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본인의 논점을 가지고 주도적으로 생각하여 작성하라.
- 목 차 -
Ⅰ 서론
Ⅱ 본론
1. 양파의 원산지 생태적, 원예적, 식물학적 분류
2. 고구마의 원산지 생태적 원예적 식물학적 분류
3. 양파의 생리·생태적 특징과 재배법
4. 고구마의 생리·생태적 특징과 재배법
5. 통계청의 국가통계포털에 접속(https://kosis.kr/index/index.do)하여 해당 채소의 최근 몇 년간 생산 실적과 면적 변화를 조사하라.
6. 채소원예 산업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본인의 논점을 가지고 주도적으로 생각하여 작성
Ⅲ 결론
Ⅳ 참고문헌
(1) 본인의 부엌이나 냉장고에 있는 채소 2개를 선택하여 각 채소의 원산지를 쓰고 생태적, 원예적, 식물학적으로 분류하라.
(2) 각 채소의 생리·생태적 특징과 재배법을 소개하라.
(3) 통계청의 국가통계포털에 접속(https://kosis.kr/index/index.do)하여 해당 채소의 최근 몇 년간 생산 실적과 면적 변화를 조사하라.
(4) 앞으로 채소원예 산업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본인의 논점을 가지고 주도적으로 생각하여 작성하라.
- 목 차 -
Ⅰ 서론
Ⅱ 본론
1. 양파의 원산지 생태적, 원예적, 식물학적 분류
2. 고구마의 원산지 생태적 원예적 식물학적 분류
3. 양파의 생리·생태적 특징과 재배법
4. 고구마의 생리·생태적 특징과 재배법
5. 통계청의 국가통계포털에 접속(https://kosis.kr/index/index.do)하여 해당 채소의 최근 몇 년간 생산 실적과 면적 변화를 조사하라.
6. 채소원예 산업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본인의 논점을 가지고 주도적으로 생각하여 작성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이 있지만 본인이 선택한 채소는 양파와 고구마이다. 양파는 원기회복, 성인병 예방에 최고의 채소이다. 세계에서 토마토 다음으로 재배하는 면적이 넓고 생산량 또한 세계 3대 채소에 속할만큼 많다. 양파이야기, 농업정보신문, 2017.08.07
우리나라 음식에도 기본적으로 양파를 사용하는 음식이 많다. 양파는 그만큼 거의 모든 나라에서 재배되고 있고 우리나라에는 1960년대 이후에 본격적으로 재배되기 시작하였다. 미국을 거쳐 일본과 우리나라로 온 것이 우리나라에서 재배되고 있는 흰색양파(옐로 댄버스)종이다.
고구마의 원산지는 중앙아메리카로 알려져 있는데 더 자세하게는 멕시코의 유카탄반도 지역, 남미 베네수엘라에 위치한 오리노코 강 하구지역 사이이다. 이후 아시아 각국으로 퍼져나갔는데 우리나라에는 조선시대 후기에 들어와 부산 영도에서 처음으로 재배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더 자세하게는 1600년대 조선통신사를 통해 고구마가 있다는 것이 알려졌고 1763년 동래부사로 재직한 충남 당진의 강필리가 통신사에게 고구마를 받고 1766년 고구마의 재배와 이용에 관해 저술한 감저보를 지어 널리 알리게 되었다. 고구마-농업기술길잡이, 농촌진흥청장 김경규, 농촌진흥처, 2018
본론에서는 양파와 고구마를 생태적, 원예적, 식물학적으로 분류하고 재배법과 생태적 특징을 설명한 후 채소원예 산업의 향후 과제에 대해 본인의 논점을 서술해 보도록 하겠다.
Ⅱ 본론
1. 양파의 원산지 생태적, 원예적, 식물학적 분류
1) 양파 원산지
양파의 원산지는 아직 원형종이 어떤 것인지 정확치 않아 여러 가지 설이 있지만 중앙아시아, 근동, 지중해 연안 등 어느 한 지역이 아니라 넓은 지역이라고 알려져 있다. 양파재배법, 조성국, 양파역사(경화회지)p16~32, 1969
기원전 6세기의 인도의학서에는 야파가 이뇨제, 소화촉진, 심장 등에 좋은 약재로 표시되어 있다. 오랜 옛날 유럽 지방으로 간 양파는 스페인이나 이태리 등에서 번식하여 조생종 품종군을 생성했다. 유럽에 와서는 독일, 프랑스, 오스트리아 등 넓은 지역에서 새 품종을 형성하였다. 중, 동부 유럽에서는 매운 양파로 분화되고 우리나라에는 조선 말기에 미국과 일본으로부터 도입되었다.
2) 양파의 생태적, 원예적, 식물학적 분류
① 양파의 생태적 분류
· 원산지에 따른 분류: 양파는 원산지에 따라 서양에서 들어왔기에 서양채소로 분류된다.
· 온도 적응성에 따른 분류: 채소는 생장에 알맞은 온도(생육 적온)에 따라 25℃ 정도의 높은 온도에서 생육상태가 좋은 호온성 채소와 20℃ 정도의 서늘한 온도에서 생육상태가 좋은 호냉성 채소로 구분한다. 양파는 서늘한 온도에서 잘 생육되므로 호냉성 채소에 속한다.
· 햇빛 적응성에 따른 분류: 자라서 길러질 때 필요한 햇빛의 양에 따른 분류로, 양파는 하루의 일조시간이 일정시간을 넘지 않으면 꽃눈을 형성하지 않는 장일성식물이다. 즉, 낮의 길이가 길 때 꽃이 피는 식물로 온도의 영향을 받기 쉬운 식물이다.
② 양파의 원예적 분류
· 이용 부위에 따른 분류: 이용 부위는 어린 줄기와 잎을 식용으로 이용하는 잎줄기 채소, 뿌리뿐 아니라 아래에서 양분을 포함하고 있는 땅속줄기까지 식용하는 뿌리채소, 열매를 이용하는 열매채소로 나뉜다. 양파는 줄기와 잎을 이용하는 잎줄기채소 중 잎이 변태된 비늘잎 또는 비늘줄기를 이용하는 비늘줄기(인경)채소에 해당된다.
· 행정편의 따른 분류: 조미채류는 주로 김치의 양념 재료를 말한다. 양파도 이에 속한다.
③ 양파의 식물학적 분류
식물학적 분류는 과학적인 분류방법으로 과, 종, 변종으로 분류된다. 양파는 떡잎이 한 장 나는 속씨 식물인 단자엽식물 중에서 백합과에 속한다.
2. 고구마의 원산지 생태적 원예적 식물학적 분류
1) 고구마의 원산지
고구마는 중앙아메리카와 남미 베네주엘라가 원산지이다. 주로 아메리카에서 재배되어 오다가 아프리카, 동남아시아, 중국을 거쳐 일본을 통해 우리나라에 들어왔다. 조선 영조 39년때 조선통신사로 일본에 갔던 조엄 선생이 고구마 종자를 들여왔다.
2) 고구마의 생태적, 원예적, 식물학적 분류
① 고구마의 생태적 분류
· 원산지에 따른 분류: 고구마의 원산지는 중앙 아메리카이기 때문에 서양채소에 속한다.
· 온도 적응성에 따른 분류: 고구마는 온도반응에 따른 분류에 호온성채소에 속한다. 호온성 채소는 25℃ 이상의 다소 높은 온도에서 잘 자란다.
· 햇빛 적응성에 따른 분류: 광환경 적응성에 따라 양성채소와 음성채소로 나뉘는데 고구마는 햇
우리나라 음식에도 기본적으로 양파를 사용하는 음식이 많다. 양파는 그만큼 거의 모든 나라에서 재배되고 있고 우리나라에는 1960년대 이후에 본격적으로 재배되기 시작하였다. 미국을 거쳐 일본과 우리나라로 온 것이 우리나라에서 재배되고 있는 흰색양파(옐로 댄버스)종이다.
고구마의 원산지는 중앙아메리카로 알려져 있는데 더 자세하게는 멕시코의 유카탄반도 지역, 남미 베네수엘라에 위치한 오리노코 강 하구지역 사이이다. 이후 아시아 각국으로 퍼져나갔는데 우리나라에는 조선시대 후기에 들어와 부산 영도에서 처음으로 재배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더 자세하게는 1600년대 조선통신사를 통해 고구마가 있다는 것이 알려졌고 1763년 동래부사로 재직한 충남 당진의 강필리가 통신사에게 고구마를 받고 1766년 고구마의 재배와 이용에 관해 저술한 감저보를 지어 널리 알리게 되었다. 고구마-농업기술길잡이, 농촌진흥청장 김경규, 농촌진흥처, 2018
본론에서는 양파와 고구마를 생태적, 원예적, 식물학적으로 분류하고 재배법과 생태적 특징을 설명한 후 채소원예 산업의 향후 과제에 대해 본인의 논점을 서술해 보도록 하겠다.
Ⅱ 본론
1. 양파의 원산지 생태적, 원예적, 식물학적 분류
1) 양파 원산지
양파의 원산지는 아직 원형종이 어떤 것인지 정확치 않아 여러 가지 설이 있지만 중앙아시아, 근동, 지중해 연안 등 어느 한 지역이 아니라 넓은 지역이라고 알려져 있다. 양파재배법, 조성국, 양파역사(경화회지)p16~32, 1969
기원전 6세기의 인도의학서에는 야파가 이뇨제, 소화촉진, 심장 등에 좋은 약재로 표시되어 있다. 오랜 옛날 유럽 지방으로 간 양파는 스페인이나 이태리 등에서 번식하여 조생종 품종군을 생성했다. 유럽에 와서는 독일, 프랑스, 오스트리아 등 넓은 지역에서 새 품종을 형성하였다. 중, 동부 유럽에서는 매운 양파로 분화되고 우리나라에는 조선 말기에 미국과 일본으로부터 도입되었다.
2) 양파의 생태적, 원예적, 식물학적 분류
① 양파의 생태적 분류
· 원산지에 따른 분류: 양파는 원산지에 따라 서양에서 들어왔기에 서양채소로 분류된다.
· 온도 적응성에 따른 분류: 채소는 생장에 알맞은 온도(생육 적온)에 따라 25℃ 정도의 높은 온도에서 생육상태가 좋은 호온성 채소와 20℃ 정도의 서늘한 온도에서 생육상태가 좋은 호냉성 채소로 구분한다. 양파는 서늘한 온도에서 잘 생육되므로 호냉성 채소에 속한다.
· 햇빛 적응성에 따른 분류: 자라서 길러질 때 필요한 햇빛의 양에 따른 분류로, 양파는 하루의 일조시간이 일정시간을 넘지 않으면 꽃눈을 형성하지 않는 장일성식물이다. 즉, 낮의 길이가 길 때 꽃이 피는 식물로 온도의 영향을 받기 쉬운 식물이다.
② 양파의 원예적 분류
· 이용 부위에 따른 분류: 이용 부위는 어린 줄기와 잎을 식용으로 이용하는 잎줄기 채소, 뿌리뿐 아니라 아래에서 양분을 포함하고 있는 땅속줄기까지 식용하는 뿌리채소, 열매를 이용하는 열매채소로 나뉜다. 양파는 줄기와 잎을 이용하는 잎줄기채소 중 잎이 변태된 비늘잎 또는 비늘줄기를 이용하는 비늘줄기(인경)채소에 해당된다.
· 행정편의 따른 분류: 조미채류는 주로 김치의 양념 재료를 말한다. 양파도 이에 속한다.
③ 양파의 식물학적 분류
식물학적 분류는 과학적인 분류방법으로 과, 종, 변종으로 분류된다. 양파는 떡잎이 한 장 나는 속씨 식물인 단자엽식물 중에서 백합과에 속한다.
2. 고구마의 원산지 생태적 원예적 식물학적 분류
1) 고구마의 원산지
고구마는 중앙아메리카와 남미 베네주엘라가 원산지이다. 주로 아메리카에서 재배되어 오다가 아프리카, 동남아시아, 중국을 거쳐 일본을 통해 우리나라에 들어왔다. 조선 영조 39년때 조선통신사로 일본에 갔던 조엄 선생이 고구마 종자를 들여왔다.
2) 고구마의 생태적, 원예적, 식물학적 분류
① 고구마의 생태적 분류
· 원산지에 따른 분류: 고구마의 원산지는 중앙 아메리카이기 때문에 서양채소에 속한다.
· 온도 적응성에 따른 분류: 고구마는 온도반응에 따른 분류에 호온성채소에 속한다. 호온성 채소는 25℃ 이상의 다소 높은 온도에서 잘 자란다.
· 햇빛 적응성에 따른 분류: 광환경 적응성에 따라 양성채소와 음성채소로 나뉘는데 고구마는 햇
추천자료
[채소][야채][배추][양배추][시금치][고추][부추][쑥][딸기]채소(야채) 배추, 채소(야채) 양...
원예작물학2, 근처 화원에서 거래되는 화훼의 종류를 조사하고 체계적으로 분류함 (30점).
2022년 2학기 원예작물학1 중간시험과제물 공통(채소의 생리·생태적 특징과 재배법)
본인의 부엌이나 냉장고에 있는 채소 2개를 선택하여 각 채소의 원산지를 쓰고 생태적, 원예...
원예작물 본인 부엌 냉장고에 있는 채소 2개를 선택하여 각 채소의 원산지를 쓰고 생태적, ...
원예작물학 ) (1) 본인의 부엌이나 냉장고에 있는 채소 2개를 선택하여 각 채소의 원산지를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