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로저스의 인본주의이론이 발생한 배경
2. 로저스의 인본주의이론의 개념
1) 자아실현 가능성
2) 성장의 과정에 있는 인간
3) 성격이론
4) 자아개념(self-concept)
5) 완전 기능인(fully-functioning person)
3. 로저스의 이론이 사회복지실천에 미친 영향
1) 경험
2) 상담
3) 관계형성 (Active Contact)
4) 자아 실현화
4. 나의 의견
Ⅲ. 결론
Ⅳ. 참고문헌
Ⅱ. 본론
1. 로저스의 인본주의이론이 발생한 배경
2. 로저스의 인본주의이론의 개념
1) 자아실현 가능성
2) 성장의 과정에 있는 인간
3) 성격이론
4) 자아개념(self-concept)
5) 완전 기능인(fully-functioning person)
3. 로저스의 이론이 사회복지실천에 미친 영향
1) 경험
2) 상담
3) 관계형성 (Active Contact)
4) 자아 실현화
4. 나의 의견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러므로 인간은 하나의 통합되고 통전적으로 통일된 개인으로서 전체적인 방식으로 움직일 때 가장 이상적이라고 주장한다. 또한 인간은 유기체 전체의 감지 능력을 모두 동원하여 외적인 자극과 내적 필요의 요구를 파악하고, 그것들 사이의 상대적인 비중과 중요도를 적절하게 평가하고 조절할 수 있다고 생각하므로 유기체전체의 경험들을 충분하게 활용할 줄 아는 사람을 이상적인 인간이라 한다. 그러므로 로저스는 기본적으로 인간을 신뢰하며 인간의 내면에는 적극적인 선이 있다고 본다. 따라서 인간은 자신이 추구하는 이상적 자기의 실현을 위해 노력할 때 성장 가능성이 있으며, 현실적이고, 긍정적이며, 수용적으로 본다. 즉 기본적으로 자기 조절적이고 사회적이며 진보적이고 합리적이며 실제적이라는 것이다. 따라서 인간에게는 ”무조건적인 긍정적 배려와 관심“이 주어져야만 하고 인간의 고결성과 가치와 중요성이 철저하게 존중되어야만 한다는 것이 로저스의 신념이다. 그에게 있어서 인간은 인간의 생물학적 유기체의 잠재능력과 실현된 능력과 지혜에 대하여 거의 절대적으로 신임한다. 그러므로 인간에게는 사실상 자기구원 혹은 자기조력(self-help)의 능력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본론에서는 로저스의 인본주의이론이 발생한 배경과 개념에 관하여 설명하시고, 로저스의 이론이 사회복지실천에 미친 영향에 관하여 서술해 보겠다.
Ⅱ. 본론
1. 로저스의 인본주의이론이 발생한 배경
칼 로저스는 1902년 1월 8일 일리노이(Illinois) 주 오크파크(Oak Park)에서 극히 보수적인 정통과 기독교 집안에서 태어났다. 위스콘신(Wisconsin) 대학시절 기독교 학생운동에 깊이 관여하면서 목사가 되기로 결심하고 신학교에 발을 내딛었다. 1922년 세계기독교 학생연합회의에 참석키 위해 중국에 다녀온 적이 있었다. 1924년 위스콘신(Wisconsin) 대학교를 졸업한 후 유니온 신학교(Union Theoiogical Seminary)에서 종교에 관한 진보적이고 철학적인 견해에 접하면서 심리학과 정신의학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콜롬비아(Columbia)대학교 사범대학으로 옮긴 후 그는 죤 듀이(John Dewy) 철학의 영향으로 변화를 했다. 그리고 레타 홀링워즈(Leta Hollingworth)의 도움으로 임상심리학에 발을 딛게 되었다. 그는 1922년에 석사학위를, 1931년에 박사학위를 받았다. 임상심리학에 있어서의 그의 실제적인 첫 경험은 아동지도협의회(Institute for Child Guidance)에 인턴으로 있으면서 얻었던 것이다. 그는 “그 연구소의 고도로 사색적인 프로이드(Freud)적인 사고와 사범대학의 고도로 과학적이며 객관적인 견해는 양립할 수 없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다. 심리학으로 학위를 받은 후 로체스터 지도센터(Rocheste Guidance Center)의 소장으로 있은 후에 정신분석학자인 오토랭크(Otto Ranke)의 영향을 받았는데 이때에 그는 정통적인 프로이드의 가르침에서 벗어났던 것이다. 로저스의 이론은 프로이드(Freud), 융(Jung), 아들러(Adler), 설리반(Sullivan), 호니(Horney) 등의 이론과 마찬가지로 그가 개인들을 치료할 때 얻은 경험에서 싹튼 것이다. 그는 이러한 사람들과의 관계성으로부터 치료의 의미, 대인 관계성의 역동, 성격의 구조와 기능에 대해 그가 가지고 있는 어떤 통찰력이든지 거의 대부분을 끌어냈던 것이다. 서기 1939년 문제 아동의 임상적 처리 라는 최초의 저서를 내었다. 서기 1942년에 그는 두 번째 저서인 상담과 심리치유 를 발간하면서 비지시적 상담이라는 새로운 방법을 만들었다. 이 방법은 지시적 방법에 정면으로 부
Ⅱ. 본론
1. 로저스의 인본주의이론이 발생한 배경
칼 로저스는 1902년 1월 8일 일리노이(Illinois) 주 오크파크(Oak Park)에서 극히 보수적인 정통과 기독교 집안에서 태어났다. 위스콘신(Wisconsin) 대학시절 기독교 학생운동에 깊이 관여하면서 목사가 되기로 결심하고 신학교에 발을 내딛었다. 1922년 세계기독교 학생연합회의에 참석키 위해 중국에 다녀온 적이 있었다. 1924년 위스콘신(Wisconsin) 대학교를 졸업한 후 유니온 신학교(Union Theoiogical Seminary)에서 종교에 관한 진보적이고 철학적인 견해에 접하면서 심리학과 정신의학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콜롬비아(Columbia)대학교 사범대학으로 옮긴 후 그는 죤 듀이(John Dewy) 철학의 영향으로 변화를 했다. 그리고 레타 홀링워즈(Leta Hollingworth)의 도움으로 임상심리학에 발을 딛게 되었다. 그는 1922년에 석사학위를, 1931년에 박사학위를 받았다. 임상심리학에 있어서의 그의 실제적인 첫 경험은 아동지도협의회(Institute for Child Guidance)에 인턴으로 있으면서 얻었던 것이다. 그는 “그 연구소의 고도로 사색적인 프로이드(Freud)적인 사고와 사범대학의 고도로 과학적이며 객관적인 견해는 양립할 수 없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다. 심리학으로 학위를 받은 후 로체스터 지도센터(Rocheste Guidance Center)의 소장으로 있은 후에 정신분석학자인 오토랭크(Otto Ranke)의 영향을 받았는데 이때에 그는 정통적인 프로이드의 가르침에서 벗어났던 것이다. 로저스의 이론은 프로이드(Freud), 융(Jung), 아들러(Adler), 설리반(Sullivan), 호니(Horney) 등의 이론과 마찬가지로 그가 개인들을 치료할 때 얻은 경험에서 싹튼 것이다. 그는 이러한 사람들과의 관계성으로부터 치료의 의미, 대인 관계성의 역동, 성격의 구조와 기능에 대해 그가 가지고 있는 어떤 통찰력이든지 거의 대부분을 끌어냈던 것이다. 서기 1939년 문제 아동의 임상적 처리 라는 최초의 저서를 내었다. 서기 1942년에 그는 두 번째 저서인 상담과 심리치유 를 발간하면서 비지시적 상담이라는 새로운 방법을 만들었다. 이 방법은 지시적 방법에 정면으로 부
추천자료
클라이언트중심모델 이론의 사회복지실천에의 적용 연구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정신역동이론 행동주의이론 인본주의이론
인본주의 이론과 이 이론이 사회복지실천에 미친 영향에 대하여 논리적으로 서술
[교육학과]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E형] 행동발달에 대한 로저스(C. Rogers)이론의 특징과 의...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E형] 행동발달에 대한 로저스(C. Rogers)이론의 특징과 의의를 설명.
매슬로우의 욕구위계이론과 로저스의 인간중심치료 이론을 설명하고 인본주의 이론과 사회복...
매슬로우의 욕구위계이론과 로저스의 인간중심치료이론을 설명하고 인본주의 이론과 사회복지...
로저스의 인본주의이론이 발생한 배경과 개념에 관하여 설명하시고, 로저스의 이론이 사회복...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