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의음식·음식의세계 3학년) 1. 교재 1장을 참고하여, 음식의 대표적 기능 3가지의 개념 정의를 각각 서술하고, 3가지 기능별로 실제로 일상에서 어떻게 수행하고 있는지 자신의 경험 사례를 들어 구체적으로 설명하시오.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세계의음식·음식의세계 3학년) 1. 교재 1장을 참고하여, 음식의 대표적 기능 3가지의 개념 정의를 각각 서술하고, 3가지 기능별로 실제로 일상에서 어떻게 수행하고 있는지 자신의 경험 사례를 들어 구체적으로 설명하시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교재 1장을 참고하여, 음식의 대표적 기능 3가지(생태적 기능, 사회적 기능, 심리적 기능)의 개념 정의를 각각 서술하고, 3가지 기능별로 실제로 일상에서 어떻게 수행하고 있는지 자신의 경험 사례를 들어 구체적으로 설명하시오. 예를 들면 생태적 기능은 어떤 의미인지 개념적 정의를 찾아 이론적으로 서술하고 난 후, 자신의 일상에서 음식의 생태적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어떻게 생활했는지 경험 사례를 소개하고 앞으로 어떻게 개선할 것인지 등을 설명한다. 이렇게 생태적 기능, 사회적 기능, 심리적 기능 3가지 모두 작성한다. (배점 15점)
1) 음식의 대표적 기능의 개념 정의
(1) 생태적 기능
(2) 사회적 기능
(3) 심리적 기능
2) 3가지 기능별로 실제로 일상에서 어떻게 수행하고 있는지 자신의 경험 사례를 들어 구체적으로 설명
(1) 생태적 기능 – 음식물처리
(2) 사회적 기능 – 혼례와 증여음식
(3) 심리적 기능 – 폭식

2. 교재 2장을 참고하여, 우리나라의 특별한 음식문화 중 ‘통과의례’와 관련된 내용(예: 백일, 돌, 혼례, 제사 등) 중에서 1가지를 선택하고, 어떤 내용인지 개념 정의를 서술하고 자신의 배경(고향 혹은 집안 풍습)을 중심으로 해당 ‘통과의례’의 특이한 문화적 내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시오. 예를 들면, 제사를 선택했다면 제사의 통과의례적 개념을 정의하여 서술하고, 자신의 고향이나 집안에서 제사를 지낼 때 어떤 풍습이나 준칙이 있는지 상세하게 설명한다. (배점 15점)
1) 전통혼례 음식의 개념 정의
2) 혼례 증여음식의 통과의례적 의미
3) 자신의 배경(고향 혹은 집안 풍습)을 중심으로 해당 ‘통과의례’의 특이한 문화적 내용
(1) 이양떡
(2) 이양떡의 통과의례적 개념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을 시월 그믐께 사주단자가 오고 뒤이어 사위인 장득이가 떡 한 고리짝 짊어지고 왔다.…(중략)…이금이는 입을 다물었고 그날 이순이의 면약식은 무사히 끝났다.”<권정생, 한티재 하늘 , 지식산업사, 1998, 91-92쪽 참고>
이 인용문은 소설 주인공의 혼례에서 이양떡을 보내는 대목이다. 소설에서 이양떡은 사주단자가 온 이후 사위가 될 장득이가 신부집에 가져오는 것으로, 이를 받음으로써 약혼이 이루어졌음을 말하고 있다. 이를 통해 이양떡이란 명칭은 묵계 1리뿐 아니라 안동 지역에 보편적으로 쓰였던 것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이양떡을 받는 것이 약혼을 하는 것과 같은 의미임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혼주를 초대해 대접하는 것보다 신랑 쪽에서 이양떡을 마련하여 신부집으로 보내는 것이 물질적으로 혼인을 약속하는 보편적 형태였던 것이다.
제보자들은 이양떡을 보내는 주체는 신랑 측이지만 그것을 받는 신부집에서는 ‘딸을 시집보내고 거저먹는 떡’으로 여겼기 때문에 ‘색시 공(空)떡’이라고 부르기도 했다. 신부집에서는 혼례 이후 딸을 시댁으로 보내기 때문에 그에 대한 대가로 답례 없이 음식을 한 번 얻어먹는 것으로 생각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신부집에서 공떡이라고 표현하는 것은 신부와 음식을 교환한다는 생각에서 비롯된 것은 아니며, 약혼 의례에서 신랑집에서 음식을 보냈을 때 답례를 하지 않아도 된다고 여겨서이다. 이양떡은 명칭에서도 알 수 있듯이 떡이 주가 되는데, 인절미나 절편이 기본적으로 쓰였다. 떡은 의례음식에서 빠지지 않는 것으로 여러 음식 중에서도 중요하게 여겨지며 많은 의미를 내포하고 있는데, 특히 혼례 때 쓰이는 것은 기복의 주술적인 면을 갖고 있다. 이런 의례적 의미뿐만 아니라 쌀이 귀하던 시절 떡은 많은 양의 쌀을 재료로 하므로 귀한 음식으로 인식되었다. 그러므로 떡은 혼례 관계에서 상대방에게 예의를 표시하는 음식 중 기본이라 할수 있다.
<옛날에 뭐 먹을 게 있었나. 주장(주로) 떡이지. 떡도 귀했어. [떡의 종류는요?]뭐 찰떡이지. 본바탕은 찰떡이고. 콩고물 묻혀가지고 이렇게 하면 그것도 손이 많이 가.
찰떡이 기본이랬어. 형편이 어려우니까 뭐 여러 가지 해내나. 그냥 찰떡 한 가지 하면 돼. 찰떡이나 절편. 그리고 술은 한 병씩 가지고 간다. 그거면 됐지. 그리고 잘 해가는 이는 한정 없어. 소고기도 끊어 가고, 명태도 사보내고.> ) 남계댁(여, 1942년생, 국만 거주)의 제보(2015년 04월 13일, 마을회관 앞).
인절미나 절편 이외에도 거피팥고물을 묻힌 시루떡, 백설기, 반달떡 등을 이양떡으로 마련하는 경우도 있었다. 떡과 함께 마련하는 것이 술인데, 술은 집에서 직접 빚어서 맑은 윗물만 떠서 담은 청주나 시장에서 구입 가능한 정종을 주로 썼다. 떡과 술은 양가 간에 음식을 주고받을 때 기본적으로 쓰이는 것이었다. 술은 손님 접대나 의례에 필수적으로 등장하는 음식으로 혼례에도대부분의 절차에서 쓰였다. 특히 술은 음양의 어느 쪽에도 속하지 않으며, 음양이 조화로운 음식이라는 의미를 가진다. 그래서 음양이 조화를 이루는 혼례에서 술은 반드시 필요한 음식으로 여겨졌고, 사돈집에 술을 보냄으로써 서로의 조화, 화합을 기원하였다. 또한 술은 의례에서 신(神)과 인간을 가깝게 하는 매개로 쓰이지만, 일상에서는 상대를 대접하기 위해 술을 보내거나 함께 술을 마시면서 서로에 대한 경계를 허물고 소통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떡과 술 이외에도 형편이 좋은 집에서는 소고기, 명태를 보내기도 하였다.
Ⅲ. 결론
지금까지 본론에서는 음식의 대표적 기능 3가지, 자신의 배경을 중심으로 해당 ‘통과의례’의 특이한 문화적 내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해 보았다. 향토음식은 그 지방에서 생산되는 농산물, 임산물, 해산물 등을 식재료로 사용하고 조리는 고례부터 내려온 방법을 사용하고 역사성이 있어서 현대에서도 사람들이 찾는 음식으로 그 지역사람들의 문화적 행사와 개인의 통과의례에 사용하던 음식을 말한다. 또한, 향토음식은 어려서 할머니나 어머니가 만들어 주신 정성이 들어간 서정성이 포함된 고향음식으로 전통음식 보다 협의의 개념을 가지고 있는 음식이다. 향토음식은 지역마다 특산물을 가지고 고례부터 전승되고 계승되어 온 조리비법을 이용하여 이루어진 음식을 일컫기도 하고, 그 지역의 문화적 행사에 영향을 받아 발달한 음식이라고 할 수 있다. 우리나라는 산맥이 동·서와 남·북을 가로막고 삼면이 바다며 사계절이 뚜렷한 계절을 가지고 있어서 지역적 특산물이 다양하여 그 지역사람들이 지역 특산물을 옛날부터 내려오는 조리법으로 조리한음식을 향토음식이라고 말하기도 한다. 따라서 향토음식의 속성은 다른 지역에서 재배될 수 없고 생산되기 어려운 향토음식만의 공간성을 지니고 그 지역에서만 이어져 내려오는 비법으로 조리되어 다른 지역에서는 맛볼 수 없는 향토음식만의 고유성을 지니고, 그 지역사람들이 고례부터 이어져 온 세시풍속이나 의례절차에 사용되어 오던 음식으로 의례 성이 있다. 이러한 향토성과 서정성을 갖는 향토음식을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혼인잔치 음식에 전통·향토음식을 사용하여 농가 발전을 향상하고, 혼인잔치 음식에 의미를 두어 올바른 혼례문화로 발전시킬 수 있다.
참고문헌
김철원, 세계의음식음식의세계(2023).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문화원.
김덕희(2005).『전통 혼례음식』.서울:광문각.
김열규(2006).『한국인의 혼례』,서울:현실문화연구.
강정연,『슬플 땐 매운 떡볶이』, 비룡소, 2011.
이창일(2008).『정말 궁금한 우리예절 53가지』.서울:(주)위즈덤하우스.
권석만 (2010). 심리학의 관점에서 본 욕망과 행복의 관계. 철학사상.
녹생성장위원회, (2010), 음식물쓰레기 줄이기 종합대책, 녹색성장위원회.
이선미, 박기환 (2013). 행동활성화/억제체계가 폭식행동에 미치는 영향:정서조절곤란의 매개효과. 인지행동치료.
서인혜(2016),「음식 이미지를 통한 환유적 표현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수연(2015),「음식이미지를 통한 시공간 표현 연구」, 한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윤서석 (2008),「한국의 떡문화」,『동아시아식생활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 가격6,0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23.03.22
  • 저작시기2023.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0136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