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해결중심 단기가족치료의 치료목표, 치료과정, 치료기법
I. 치료목표
II. 치료기법
(1) 기본적 치료기법
1. 경청
2. 치료자의 비언어적 행동
3. 클라이언트가 사용하는 핵심용어의 모방
4. 요약
5. 개방형 질문
6. 쉽고 간략한 설명
7. 침묵의 사용
8. 클라이언트의 비언어적 행동에 대한 주목
9. 자기노출
10. 칭찬
11. 클라이언트의 지각에 대한 확인
12. 감정이입
13. 초점을 클라이언트에게 되돌리기
14. 해결중심적 대화의 확대
(2) 성공적 질문기법
1. 면접 전 변화에 관한 질문
2. 예외질문
3. 기적질문
4. 척도질문
5. 대처질문
6. 칭찬지질문
7. 관계성 질문
III. 치료과정 및 단계
* 참고문헌
I. 치료목표
II. 치료기법
(1) 기본적 치료기법
1. 경청
2. 치료자의 비언어적 행동
3. 클라이언트가 사용하는 핵심용어의 모방
4. 요약
5. 개방형 질문
6. 쉽고 간략한 설명
7. 침묵의 사용
8. 클라이언트의 비언어적 행동에 대한 주목
9. 자기노출
10. 칭찬
11. 클라이언트의 지각에 대한 확인
12. 감정이입
13. 초점을 클라이언트에게 되돌리기
14. 해결중심적 대화의 확대
(2) 성공적 질문기법
1. 면접 전 변화에 관한 질문
2. 예외질문
3. 기적질문
4. 척도질문
5. 대처질문
6. 칭찬지질문
7. 관계성 질문
III. 치료과정 및 단계
* 참고문헌
본문내용
있기 마련이라는 것이 해결중심 단기가족치료의 기본전제0]다. 해결중심 단기가족치료에서는 한두 번의 중요한 예외를 찾아내서 계속 그것을 강조하면서 클라이언트의 성공을 확대하고 강화시켜 준다.
클라이언트가 행한 우연적 성공을 찾아내어 의도적으로 계속 실시하도록 격려한다. 이것은 예외상황을 찾아내어 그것을 밝히고, 클라이언트가 가지고 있는 자원을 활용하여 클라이언트의 자아존중감을 강화하는 것이다.
예외질문은 첫 면접에서 대체로 목표설정 후에 사용되고 2회 면접부터는 \"무엇이 더 좋아졌는가?\"라는 식으로 물을 수 있다.
3. 기적질문
기적질문은 문제 자체를 제거시키거나 감소시키지 않고 문제와 떨어져서 해결책을 상상하게 하는 것이다.
이 질문을 통해 치료자는 클라이언트가 바꾸고 싶어 하는 것을 스스로 설명하게 하여 문제에 대한 집착으로부터 벗어나 해결중심영역으로 들어가게 한다.
4. 척도질문
척도질문은 숫자의 마력을 이용하여 클라이언트에게 자신의 문제, 문제의 우선순위, 성공에 대한 태도, 정서적 친밀도, 자아존중감, 치료에 대한 확신, 변화를 위해 투자할 수 있는 노력, 진행에 관한 평가 등의 수준을 수치로 표현하도록 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척도질문을 통해서 치료자는 클라이언트의 변화과정을 격려하고 강화해 주는 구체적 정보를 얻을 수도 있다. 첫 면접에서는 면접 전 변화상태나 동기에 대해 파악한다.
5. 대처질문
이 질문은 자신의 미래를 매우 절망적으로 보아 아무런 희망이 없다고 하는 클라이언트에게 주로 사용한다. 이런 절망적 상황에 빠져 있는 클라이언트에게 희망을 심어 주기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대처방안에 관한 질문을 통해서 치료자는 클라이언트의 신념체계와 무력감에 대항해 보는 동시에 클라이언트에게 약간의 성공을 느끼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러한 질문을 통해서 치료자가 클라이언트에게 심어 주고자 하는 것은 클라이언트 자신이 바로 대처방안의 기술을 가졌음을 깨닫게 하는 것이다.
6. 칭찬질문
칭찬을 하는 것은 여러 가지 이점이 있다. 그중에서도 클라이언트 자신에 대한 개념을 바꾸어 주고 클라이언트로 하여금 치료자의 말에 따르도록 하는 데 유용하다. 칭찬에는 면접과정에서 나온 내용에 대하여 직접적 칭찬을 하는 경우와\"어떻게 그렇게 하셨나요?\"로 질문하는 간접적 칭찬이 있다.
7. 관계성 질문
가족 및 부부간의 관계성에 관한 질문을 통해 보다 효과적인 인간관계를 증진시켜 준다.
III. 치료과정 및 단계
해결중심 단기가족치료의 치료단계는 다음과 같다(최경석 외, 2006 ; Shazer, 1988).
(1) 본 치료에서 해결되기를 원하는 목표를 확인한다.
(2) 문제가 없는 예외의 상황을 발견한다.
(3a) 예외의 상황이 있는 경우, 예외의 상황이 의도적인가 우연적인가를 확인한다.
(3b) 예외의 상황이 없는 경우, 문제가 해결되었다고 했을 때 \"어떻게 다르게 행동할까요?\"라는 기적질문을 한다.
(4a) 같은 것 더하기 : 클라이언트에게 예외적 상황이 일어날 수 있는 행동을 더 많이 하게 하는 과제를 준다.
(4b) 어떻게 그렇게 되었는지 발견하기
1/ 클라이언트에게 예외의 상황이 언제, 어떻게 전개되는지를 관찰하게 한다.
2/ 지금부터 다음 면접 때까지 예외가 얼마나 있을지를 예상하도록 한다.
(4c) 아주 작은 부분 실행하기 : 기적이 일어난 것처럼 행동하게 하고 무엇이 달라지는지를 관찰하게 한다.
(4d) 대처방식에 대해 관찰하기
1/ 다음 면접 때까지 왜 상황이 더 나빠지지 않는가를 관찰하게 한다.
2/ 다음 면접 때까지 클라이언트의 생활에서 더 일어나기를 원하는 것이 무엇인가를 관찰하고 그것을 보고하게 한다.
* 참고문헌
상담 및 치료의 이론과 실제 / Richard Nelson Jones 저 / 김성봉 외 1명 역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가족관계 / 김정옥, 박귀영 외 3명 저 / 양서원 / 2012
가족관계론 / 김익균, 고선옥 외 3명 저/ 정민사 / 2012
가족문제와 복지 / 이영숙, 박경란 외 1명 저 / 신정 / 2008
가족치료 / 이영실, 이현우 외 3명 저 / 양서원 / 2017
가족학이론 : 관점과 쟁점 / 유계숙 외 저 / 하우 / 2013
현대사회와 가정 / 허혜경, 박인숙 외 1명 저 / 동문사 / 2017
가족생활교육 / 정현숙 저 / 신정 / 2016
상담이론과 실제 / 양명숙, 김동일, 김명권 외 2명 저 / 학지사 / 2013
교육심리학 : 학습심리학 / 이웅 저 / 한국교육기획 / 2009
클라이언트가 행한 우연적 성공을 찾아내어 의도적으로 계속 실시하도록 격려한다. 이것은 예외상황을 찾아내어 그것을 밝히고, 클라이언트가 가지고 있는 자원을 활용하여 클라이언트의 자아존중감을 강화하는 것이다.
예외질문은 첫 면접에서 대체로 목표설정 후에 사용되고 2회 면접부터는 \"무엇이 더 좋아졌는가?\"라는 식으로 물을 수 있다.
3. 기적질문
기적질문은 문제 자체를 제거시키거나 감소시키지 않고 문제와 떨어져서 해결책을 상상하게 하는 것이다.
이 질문을 통해 치료자는 클라이언트가 바꾸고 싶어 하는 것을 스스로 설명하게 하여 문제에 대한 집착으로부터 벗어나 해결중심영역으로 들어가게 한다.
4. 척도질문
척도질문은 숫자의 마력을 이용하여 클라이언트에게 자신의 문제, 문제의 우선순위, 성공에 대한 태도, 정서적 친밀도, 자아존중감, 치료에 대한 확신, 변화를 위해 투자할 수 있는 노력, 진행에 관한 평가 등의 수준을 수치로 표현하도록 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척도질문을 통해서 치료자는 클라이언트의 변화과정을 격려하고 강화해 주는 구체적 정보를 얻을 수도 있다. 첫 면접에서는 면접 전 변화상태나 동기에 대해 파악한다.
5. 대처질문
이 질문은 자신의 미래를 매우 절망적으로 보아 아무런 희망이 없다고 하는 클라이언트에게 주로 사용한다. 이런 절망적 상황에 빠져 있는 클라이언트에게 희망을 심어 주기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대처방안에 관한 질문을 통해서 치료자는 클라이언트의 신념체계와 무력감에 대항해 보는 동시에 클라이언트에게 약간의 성공을 느끼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러한 질문을 통해서 치료자가 클라이언트에게 심어 주고자 하는 것은 클라이언트 자신이 바로 대처방안의 기술을 가졌음을 깨닫게 하는 것이다.
6. 칭찬질문
칭찬을 하는 것은 여러 가지 이점이 있다. 그중에서도 클라이언트 자신에 대한 개념을 바꾸어 주고 클라이언트로 하여금 치료자의 말에 따르도록 하는 데 유용하다. 칭찬에는 면접과정에서 나온 내용에 대하여 직접적 칭찬을 하는 경우와\"어떻게 그렇게 하셨나요?\"로 질문하는 간접적 칭찬이 있다.
7. 관계성 질문
가족 및 부부간의 관계성에 관한 질문을 통해 보다 효과적인 인간관계를 증진시켜 준다.
III. 치료과정 및 단계
해결중심 단기가족치료의 치료단계는 다음과 같다(최경석 외, 2006 ; Shazer, 1988).
(1) 본 치료에서 해결되기를 원하는 목표를 확인한다.
(2) 문제가 없는 예외의 상황을 발견한다.
(3a) 예외의 상황이 있는 경우, 예외의 상황이 의도적인가 우연적인가를 확인한다.
(3b) 예외의 상황이 없는 경우, 문제가 해결되었다고 했을 때 \"어떻게 다르게 행동할까요?\"라는 기적질문을 한다.
(4a) 같은 것 더하기 : 클라이언트에게 예외적 상황이 일어날 수 있는 행동을 더 많이 하게 하는 과제를 준다.
(4b) 어떻게 그렇게 되었는지 발견하기
1/ 클라이언트에게 예외의 상황이 언제, 어떻게 전개되는지를 관찰하게 한다.
2/ 지금부터 다음 면접 때까지 예외가 얼마나 있을지를 예상하도록 한다.
(4c) 아주 작은 부분 실행하기 : 기적이 일어난 것처럼 행동하게 하고 무엇이 달라지는지를 관찰하게 한다.
(4d) 대처방식에 대해 관찰하기
1/ 다음 면접 때까지 왜 상황이 더 나빠지지 않는가를 관찰하게 한다.
2/ 다음 면접 때까지 클라이언트의 생활에서 더 일어나기를 원하는 것이 무엇인가를 관찰하고 그것을 보고하게 한다.
* 참고문헌
상담 및 치료의 이론과 실제 / Richard Nelson Jones 저 / 김성봉 외 1명 역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가족관계 / 김정옥, 박귀영 외 3명 저 / 양서원 / 2012
가족관계론 / 김익균, 고선옥 외 3명 저/ 정민사 / 2012
가족문제와 복지 / 이영숙, 박경란 외 1명 저 / 신정 / 2008
가족치료 / 이영실, 이현우 외 3명 저 / 양서원 / 2017
가족학이론 : 관점과 쟁점 / 유계숙 외 저 / 하우 / 2013
현대사회와 가정 / 허혜경, 박인숙 외 1명 저 / 동문사 / 2017
가족생활교육 / 정현숙 저 / 신정 / 2016
상담이론과 실제 / 양명숙, 김동일, 김명권 외 2명 저 / 학지사 / 2013
교육심리학 : 학습심리학 / 이웅 저 / 한국교육기획 / 2009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