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본문내용
들이 다른 애착 유형의 사람보다 높게 나온 것은 안정형 애착인 사람이 불안이 가장 낮고 고억압자가 많다는 것을 뜻한다. 셋째, 고억압 집단은 저억압 집단과 비교하여 스트레스를 지각하는 정도가 낮았는데, 이는 선행 연구들의 결과를 지지하는 것이기도 하며, 억압을 많이 하는 사람의 부적 정서 경험이 얕다는 결과를 입증한 것이다. 애착 유형에 따른 스트레스의 지각 차이는 불안/양가 애착, 회피 애착, 안정 애착의 순으로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넷째, 스트레스 대처 양식인 적극적 대처 양식과 문제 중심적 대처양식, 사회적 지지 추구 대처 양식 중에서 앞의 두 가지 양식은 안정 애착인 고억압자와 저억압자가 유의미하게 많이 사용함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안정 애착인 사람이 스트레스에 적극 잘 대처한다는 기존의 연구 결과와 일치하는 것이다. 회피 애착인 저억압자가 사회적 지지 추구 대처 양식을 가장 적게 사용한 것은 그들이 타인을 신뢰하거나 의지하지 못하고 가까워지는 것을 두려워함을 반증하는 것이기도 하다. 즉, 애착은 억압과 스트레스 지각 그리고 대처 양식에 영향을 미치며 애착 유형과 억압 정도에 따라 스트레스에 대한 지각과 대처 양식이 다름을 알 수 있었다.
추천자료
부모-자녀의 효과적인 의사소통 방법(문제청소년과 일반청소년 비교)
심리통계실습 보고서 -애착과 자아존중감, 대인관계 능력, 외적불안 간의 관계-
아버지와의 애착형성이 불안정한 딸의 건강한 정신 형성에 미치는 긍정적인 요인
우리 아이의 행동장애의 이유와 해결방안
[문제행동아동][문제행동][행동문제]아동문제행동의 유형, 아동문제행동과 부모의 애정, 아동...
[심리학과 심리치료] 융 치료에 대한 개관적 이해 - 철학적 전제, 성격모델, 건강모델과 이상...
교과논리 및 논술 E형 ‘영유아기 뇌발달’과 관련된 논문 1개 기사 2개 이상을 읽고 주제와 관...
대인관계의심리학 ) 타인과의 관계가 실질적인 인지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하시오
아동발달_애착이론에 대해 정의하고 애착유형별 기관부적응아동에 대해 바람직한 양육방법을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