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1) 페미니스트 페다고지의 정의 및 시사점
2) 페미니즘에 관한 여러 가지 관점
3) 페미니스트 페다고지 이론들
3.
결론
4.
참고문헌
서론
2.
본론
1) 페미니스트 페다고지의 정의 및 시사점
2) 페미니즘에 관한 여러 가지 관점
3) 페미니스트 페다고지 이론들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필요가 있음
(2) 마르크스사회주의 페미니스트 페다고지
- 성별 불평등은 계급적성별적 계층화된 사회구조 측면에서 발생함을 인지해야함
- 학교, 가정, 노동시장은 연계되어 있으며 성별분업을 지양해야 함
- 가정에서도 역할분업이 유지되고 재생산되므로 개선되어야 함
(3) 급진적 페미니스트 페다고지
- 학교 교육은 남성 중심의 지식과 문화가 가득한 교육과정임
- 불평등한 남녀권력관계를 통해 남성이 여성에 대한 지배, 가부장제 이데올로기를 재생산하는 역할을 하고 있음
- 여성중심의 교육환경을 건설하여 여성의 건강한 발달과업을 이룰 수 있게 도와야 함
(4) 정신분석학 페미니스트 페다고지
- 여성은 자신의 목소리를 스스로 낼 수 있고, 지식의 구성자로 경험할 수 있음
- 여성은 자신의 삶을 변화시킬 수 있는 힘과 빔력, 안정적 심리발달 능력을 가진 존재임을 인식해야함
- 학습 환경 안에 여성의 경험을 연결하여 독립적, 비판적 사고로 자신만의 결론을 내리며 지속적으로 발전할 수 있음
(5) 후기구조주의 페미니스트 페다고지
- 남녀를 2분법적으로 갈라놓는 방법은 지양해야함
- 여성은 단수가 아닌 복수로 다양성과 복잡성이 교차하는 존재임
- 계급, 인종, 지역적 상황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개별성, 다양성을 아우르는 시각이 필요함
3. 결론
- 현재 다양하게 명명되고 있는 페미니스트 페다고지 관련 용어의 개념을 정리할 필요가 있음
- 페미니즘의 이론적 토대는 기존 사회 시스템이 추구하는 고정된 여성성을 타파하기 위함임
- 페미니스트 페다고지는 여성뿐만 아니라 남성, 소외된 소수의 그룹도 참여하는 교육실천으로서 개념이 확장될 필요가 있음
- 낮은 연령의 아동들부터 성인까지 모두에게 성 평등 교육을 의무화해야 함
- 서구에서 도입된 페미니스트 페다고지를 보다 한국 교육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실천할 필요성이 있음
- 계열성 있는 내용으로 교육과정에 포함될 때 비로소 연속성 있고 체계적인 성 평등 교육이 가능해짐
- 성 평등 교육에 있어 다양한 순기능을 가진 성 평등 교육 연구 모임을 장려하고 지원하기 위한 정책들이 필요함
[참고문헌]
1. 페다고지, 파울로프레이리, 그린비, 2019
2. 여성주의 교육학: 학습 리더십 의 출현 과 그 의미, 곽삼근, Ewha Womans University Press, 2008
3. 여성교육개론, 송현주, 교육과학사, 2015
4. 페미니즘과 페미니즘 윤리, 장선희, 울산대학교출판부, 2005
(2) 마르크스사회주의 페미니스트 페다고지
- 성별 불평등은 계급적성별적 계층화된 사회구조 측면에서 발생함을 인지해야함
- 학교, 가정, 노동시장은 연계되어 있으며 성별분업을 지양해야 함
- 가정에서도 역할분업이 유지되고 재생산되므로 개선되어야 함
(3) 급진적 페미니스트 페다고지
- 학교 교육은 남성 중심의 지식과 문화가 가득한 교육과정임
- 불평등한 남녀권력관계를 통해 남성이 여성에 대한 지배, 가부장제 이데올로기를 재생산하는 역할을 하고 있음
- 여성중심의 교육환경을 건설하여 여성의 건강한 발달과업을 이룰 수 있게 도와야 함
(4) 정신분석학 페미니스트 페다고지
- 여성은 자신의 목소리를 스스로 낼 수 있고, 지식의 구성자로 경험할 수 있음
- 여성은 자신의 삶을 변화시킬 수 있는 힘과 빔력, 안정적 심리발달 능력을 가진 존재임을 인식해야함
- 학습 환경 안에 여성의 경험을 연결하여 독립적, 비판적 사고로 자신만의 결론을 내리며 지속적으로 발전할 수 있음
(5) 후기구조주의 페미니스트 페다고지
- 남녀를 2분법적으로 갈라놓는 방법은 지양해야함
- 여성은 단수가 아닌 복수로 다양성과 복잡성이 교차하는 존재임
- 계급, 인종, 지역적 상황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개별성, 다양성을 아우르는 시각이 필요함
3. 결론
- 현재 다양하게 명명되고 있는 페미니스트 페다고지 관련 용어의 개념을 정리할 필요가 있음
- 페미니즘의 이론적 토대는 기존 사회 시스템이 추구하는 고정된 여성성을 타파하기 위함임
- 페미니스트 페다고지는 여성뿐만 아니라 남성, 소외된 소수의 그룹도 참여하는 교육실천으로서 개념이 확장될 필요가 있음
- 낮은 연령의 아동들부터 성인까지 모두에게 성 평등 교육을 의무화해야 함
- 서구에서 도입된 페미니스트 페다고지를 보다 한국 교육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실천할 필요성이 있음
- 계열성 있는 내용으로 교육과정에 포함될 때 비로소 연속성 있고 체계적인 성 평등 교육이 가능해짐
- 성 평등 교육에 있어 다양한 순기능을 가진 성 평등 교육 연구 모임을 장려하고 지원하기 위한 정책들이 필요함
[참고문헌]
1. 페다고지, 파울로프레이리, 그린비, 2019
2. 여성주의 교육학: 학습 리더십 의 출현 과 그 의미, 곽삼근, Ewha Womans University Press, 2008
3. 여성교육개론, 송현주, 교육과학사, 2015
4. 페미니즘과 페미니즘 윤리, 장선희, 울산대학교출판부, 2005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