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자기노출 진단검사: ‘조하리 창’
2. 대인관계의 역량 개발에 있어 조하리 창의 활용
3. 참고문헌
2. 대인관계의 역량 개발에 있어 조하리 창의 활용
3. 참고문헌
본문내용
타인의 맹목 자아에 관심을 두고 배려하며 서로 장점을 찾아낸다면 더욱 긴밀한 관계가 될 수도 있다. 억지로 맹목 자아에 초점을 두기 보다는 상대의 말을 경청하고 상대를 있는 그대로 관찰하며 이해하고 배우려 하면 나의 피드백을 통해 상대도 자신이 모르던 자기에 대해 이해를 넓힐 수 있을 것이다. 반대로 나의 맹목 자아에 대한 타인의 피드백을 지나치게 신경 써서 스스로 원치 않는 노출의 정도를 넓힌다면 관계가 부담스럽게 느껴지거나 자신감을 잃어버릴 수도 있다.
한편, 타인의 숨겨진 자아는 존중해주어야 할 필요가 있다. 내가 나를 노출하는 만큼 상대가 자신을 열어주지 않으면 종종 관계에 실망하거나 상처 받기 마련이지만, 대인관계란 반드시 주고받는 것이 계산에 맞게 떨어지는 이해관계가 아니다. 때로는 내가 상대에 비해 더 열려 있으면서 상대를 수용하는 관용을 보이는 것도 필요하다. 타인의 숨겨진 자아와 만나게 될 때에는 신중하게 피드백을 해야 한다. 단점을 지나치게 미화하거나 욕망에 무조건 동조해주는 것은 건전한 피드백이라 할 수 없다. 중요한 것은 자기보호형에 속하는 사람이 나에게 숨겨진 자아를 열어주는 것에 감사를 표하는 것이다. 역으로 나의 숨겨진 자아가 노출되는 것은 두려운 일이지만 그 두려움은 근거가 부족한 경우가 많다는 것을 인지해야 한다. 나의 숨겨진 자아를 노출했을 때에 그것이 순순히 받아들여지지 않는다 해도 방어적이거나 회피적인 태도를 보이지 않을 수 있는 내적 훈련이 필요하다.
3. 참고문헌: 교재와 위키피디아
김종운, 「만남 그리고 성장을 위한 인간관계 심리학」, 2017, p.100~105
한편, 타인의 숨겨진 자아는 존중해주어야 할 필요가 있다. 내가 나를 노출하는 만큼 상대가 자신을 열어주지 않으면 종종 관계에 실망하거나 상처 받기 마련이지만, 대인관계란 반드시 주고받는 것이 계산에 맞게 떨어지는 이해관계가 아니다. 때로는 내가 상대에 비해 더 열려 있으면서 상대를 수용하는 관용을 보이는 것도 필요하다. 타인의 숨겨진 자아와 만나게 될 때에는 신중하게 피드백을 해야 한다. 단점을 지나치게 미화하거나 욕망에 무조건 동조해주는 것은 건전한 피드백이라 할 수 없다. 중요한 것은 자기보호형에 속하는 사람이 나에게 숨겨진 자아를 열어주는 것에 감사를 표하는 것이다. 역으로 나의 숨겨진 자아가 노출되는 것은 두려운 일이지만 그 두려움은 근거가 부족한 경우가 많다는 것을 인지해야 한다. 나의 숨겨진 자아를 노출했을 때에 그것이 순순히 받아들여지지 않는다 해도 방어적이거나 회피적인 태도를 보이지 않을 수 있는 내적 훈련이 필요하다.
3. 참고문헌: 교재와 위키피디아
김종운, 「만남 그리고 성장을 위한 인간관계 심리학」, 2017, p.100~105
추천자료
동기부여(모티베이션)에 대한 사례조사 - 포스코(posco) 인재개발원을 중심으로
'조하리 창'에 대해 설명하고, 이것을 어떻게 대인관계 역량개발에 활용할 수 있는지 논하시오.
[조하리 창] 조하리 창을 대인관계 역량개발에 활용
조하리창에 대해 설명하고 이것을 어떻게 대인관계 역량개발에 활용할 수 있는지 논하시오
[사회과학] 조하리 창을 활용하여 자신의 자아를 분석하고 원만한 인간관계를 형성해 나아가...
[자아개방] 조하리창 - 조하리창의 영역과 대인관계 형성방법(조하리창의 설명과 대인관계 역...
현대인의 갈등 문제와 유형을 나열하고 본인이 취해야 할 태도를 서술하시오
[사회복지] 조하리 창에 대해 설명하고 이를 활용하여 좋은 대인관계 구축을 위해 요구되는 ...
조하리 창의 대인관계 역량개발 활용 방안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