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본문내용
마름병(지고병) : 가지가 끝으로부터 아래쪽으로 말라죽음
- 줄기마름병(동고병) : 줄기나 가지의 겉껍질이 거칠어지고 전체가 말라죽음
- 탄저병 : 환부에 움푹 들어간 암색 병반 만들고 표면에 분홍색 점물질 생김
- 더뎅이병(창가병) : 과실의 덩이,줄기,잎 등에 생기며, 병든 조직의 둘레는 코르크화 되어 거칠어진다.
- 미라병 : 열매 등이 바짝 마르고 축소
<국부적 병징>
① 더뎅이병(창가병) ② 궤양병 ③ 구멍병(천공병) ④ 점무늬병 ⑤ 오반병 : 병반이 불규칙하게 퍼지며 더러워지는 병
⑥ 모자이크병 ⑦ 줄무늬병(조반병)
<전신적 병징>
① 시들음병(위조병) ② 오갈병(위축병) ③ 황화병(chlorosis)
(b) 부분적 병징
① 혹병 지는병 ② 빗자루병 ③ 가지마름병
④ 줄기마름병 ⑤ 불마름병 ⑥ 미라병
⑦ 썩음병 ⑧ 잎말림병
2. 표징
(1) 표징
- 표징(sign) : 병원체가 병든 식물의 표면에 나타나서 눈으로 가려낼 수 있을 때(진균(곰팡이), 균핵, 점질물, 이상 돌출물 등)
- 비전염성 병이나 바이러스, 바이로이드, 파이토플라스마에 있어서는 표징이 나타나지 않는다.
- 표징에는 병원체의 영양기관(개체유지)에 의한 것과 병원체의 번식기관(종족보존)에 의한 것이 있다.
영양기관
균사체,균사속,균사막,근상균사속,선상균사,균핵, 자좌
번식기관
포자,분생자병,분생자퇴,분생자좌,포자퇴,포자낭,병자각,자낭각,자낭구,자낭반,세균점괴,포자각,버섯등
(2) 표징의 종류
영양기관
균사균사속 : 대부분 균사를 기주식물의 세포내에 형성하여 영양을 섭취 (잿빛곰팡이병)
균사막 : 뿌리썩음병, 자줏빛날개무늬병
근상균사속 : 아밀라리아뿌리썩음병, 리지나뿌리썩음병
균핵 : 벼 잎집무늬마름병, 미립 균핵병, 벚나무 균핵병
자좌 : 삼나무 붉은마름병
번식기관
포자 : 가루, 점괴, 돌기모양 등
자실체
(3) 표징에 따른 병명
- 자줏빛 날개무늬병(자문우병) : 뿌리나 줄기의 땅가 표면에 자주색 실이나 그물 모양의 막
- 흰 날개무늬병(백문우병) : 뿌리가 썩으며 그 표면에 회백색 실이나 깃털모양의 것들이 엉켜붙는다.
- 그을음병(매병) : 잎, 가지, 열매 등의 표면에 더러운 그을음
- 매각병 : 벼과작물의 꽃으로부터 자흑색, 뿔 모양의 단단한 덩어리
- 균핵병 : 말라 죽은 조직 속표면에 검은 쥐똥같은 덩어리
- 노균병 : 잎 뒷변에 흰 서리 또는 가루 모양의 곰팡이가 생기고 표면은 약간 누렇게
- 잿빛 곰팡이병 : 열매꽃잎이 무르고 표면에 쥐털 같은 곰팡이
- 흰가루병(백분병) : 잎, 어린 가지 등의 표면에 흰가루 뿌린 듯
- 녹병 : 여름포자 세대에 잎에 황색, 적갈색 등의 가루가 나는 병반 多
- 깜부기병(흑수병) : 이삭에 발병 多, 환부에서 검은 가루
02. 진단 방법 및 순서
1. 식물병의 진단
(1) 진단 및 동정
- 진단 : 병든 식물체를 정밀하게 검사하여 비슷한 병과 구별하
고, 정확한 병명 결정하는 것
- 발병상황, 환경조건, 식물의 종, 식물의 노유(老幼), 재배환경 등을 먼저 밝힘
- 전염성 여부 결정 후 전염성이면, 동정하여 정확한 병명 결정
- 동정 : 병원체 분리 배양하고 실험 거쳐 종명 결정
- 병환부에 병원균외 다른 미생물도 존재하므로 병환부에서 검출된 미생물은 KOCH 원칙에 따라 증명(바이러스, 흰가루병균, 녹병균과 같은 절대기생체는 만족할수 없는 것도 있다.)
- KOCH 3원칙
① 병원체는 반드시 병환부에 존재한다
② 병원체를 순수배양하여 접종하면 같은 병을 일으킨다
③ 접종한 식물로부터 같은 병원체를 다시 분리할수 있다.
#미생물의 분리-배양-인공접종-재분리
(2) 포장진단
- 식물병진단의 첫단계는 병이 발생한 포장(땅)에 대해 조사
(3) 식물세균병의 진단
- 직접적 진단법 : 병징, 표징조사, 세균분리동정, 병원성 검정, 현미경 관찰
- 간접적 진단법 : 항혈청이나 핵산이용
- 유출검사법(Ooze test) : 줄기를 잘라 물에 넣었을 때 단면에서 스며나오는 분비물(우즈)로 세균병 진단
- 병원세균 분리할 때 배지선택이 중요, 병든 식물체 조직에서 병원세균 분리할 때는 2~3종 배지를 함께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
- 병원세균 분리 방법은 이병식물체의 종류, 형성된 병징, 감염토양 등에 따라 다양
(4) 식물바이러스병의 진단
- 먼저 육안 진단
- 면역학적 진단(혈청이용): 한천겔 면역확산법(AGID), 형광항체법, 효소결합항체법(ELISA), 슬라이드법,
직접조직프린트 면역분석법(DTBIA), 적혈구 응징반응법
- 분자생물학적 진단 : 역전사 중합효소 연쇄반응법(RT-PCR), PAGE분석법, 닷 블라트법
- 물리화학적 특성 조사 : 내열성(바이러스가 불활성화되는 온도), 내희석성(희석한계), 내보존성(확성을 얼마나 오래 하는지)
- 바이로이드병 진단 : 지표식물 검정법(눈접 통한 생물검정), RT-PCR (시간 소요 많고 정밀도 낮다)
(5) 파이토플라스마병 진단
- 체관부(사부)에만 존재, 전자현미경으로 사부내 세포 관찰
- 이병절편을 Dienes염색하여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푸르게 염색되고 집락 형태 유지되는 것을 파이트플라스마의 집락으로 판정)
- 이병 조직의 사부를 DAPI나 형광색소등으로 염색하여 형광현미경으로 관찰 후 이병 여부 진단
- 감염조직에 테트라사이클린이나 페니실린 접종하여 저항성 판단, 건전한 기주에 병든 기주의 가지 접목하여 전염성 봄
2. 식물병 진단법의 종류
(1) 육안적 진단
- 병징이나 표징을 보고 병 이름을 판단하는 방법
- 육안적 진단에서 표징은 절대적, 진단에 결정적인 역할 함
- 습식처리 : 병환부가 마르거나 오래 되어 상태가 좋지 않을 때 물에 적신 신문지나 휴지를 넣어 포화습도의 상태유지(진균병 진단에 많이 이용)
(2) 해부학적현미경적 진단
- 현미경 이용하여 병원체의 유무, 병원균의 종류 및 형태, 병원균의 균사 모양 및 편모 수와 위치, 항체와 반응 시 나타나는 형광형상 등 조사하여 진단
- 담배 모자이크 바이러스(TMV)에 감염시 다각형의 결정 형성
- 감자 X바이러스의 경우 과립 봉입체(X-body)
- Potyvirus 감염시 풍차 모양의 봉입체 형성
(봉입체 정보가 몇
- 줄기마름병(동고병) : 줄기나 가지의 겉껍질이 거칠어지고 전체가 말라죽음
- 탄저병 : 환부에 움푹 들어간 암색 병반 만들고 표면에 분홍색 점물질 생김
- 더뎅이병(창가병) : 과실의 덩이,줄기,잎 등에 생기며, 병든 조직의 둘레는 코르크화 되어 거칠어진다.
- 미라병 : 열매 등이 바짝 마르고 축소
<국부적 병징>
① 더뎅이병(창가병) ② 궤양병 ③ 구멍병(천공병) ④ 점무늬병 ⑤ 오반병 : 병반이 불규칙하게 퍼지며 더러워지는 병
⑥ 모자이크병 ⑦ 줄무늬병(조반병)
<전신적 병징>
① 시들음병(위조병) ② 오갈병(위축병) ③ 황화병(chlorosis)
(b) 부분적 병징
① 혹병 지는병 ② 빗자루병 ③ 가지마름병
④ 줄기마름병 ⑤ 불마름병 ⑥ 미라병
⑦ 썩음병 ⑧ 잎말림병
2. 표징
(1) 표징
- 표징(sign) : 병원체가 병든 식물의 표면에 나타나서 눈으로 가려낼 수 있을 때(진균(곰팡이), 균핵, 점질물, 이상 돌출물 등)
- 비전염성 병이나 바이러스, 바이로이드, 파이토플라스마에 있어서는 표징이 나타나지 않는다.
- 표징에는 병원체의 영양기관(개체유지)에 의한 것과 병원체의 번식기관(종족보존)에 의한 것이 있다.
영양기관
균사체,균사속,균사막,근상균사속,선상균사,균핵, 자좌
번식기관
포자,분생자병,분생자퇴,분생자좌,포자퇴,포자낭,병자각,자낭각,자낭구,자낭반,세균점괴,포자각,버섯등
(2) 표징의 종류
영양기관
균사균사속 : 대부분 균사를 기주식물의 세포내에 형성하여 영양을 섭취 (잿빛곰팡이병)
균사막 : 뿌리썩음병, 자줏빛날개무늬병
근상균사속 : 아밀라리아뿌리썩음병, 리지나뿌리썩음병
균핵 : 벼 잎집무늬마름병, 미립 균핵병, 벚나무 균핵병
자좌 : 삼나무 붉은마름병
번식기관
포자 : 가루, 점괴, 돌기모양 등
자실체
(3) 표징에 따른 병명
- 자줏빛 날개무늬병(자문우병) : 뿌리나 줄기의 땅가 표면에 자주색 실이나 그물 모양의 막
- 흰 날개무늬병(백문우병) : 뿌리가 썩으며 그 표면에 회백색 실이나 깃털모양의 것들이 엉켜붙는다.
- 그을음병(매병) : 잎, 가지, 열매 등의 표면에 더러운 그을음
- 매각병 : 벼과작물의 꽃으로부터 자흑색, 뿔 모양의 단단한 덩어리
- 균핵병 : 말라 죽은 조직 속표면에 검은 쥐똥같은 덩어리
- 노균병 : 잎 뒷변에 흰 서리 또는 가루 모양의 곰팡이가 생기고 표면은 약간 누렇게
- 잿빛 곰팡이병 : 열매꽃잎이 무르고 표면에 쥐털 같은 곰팡이
- 흰가루병(백분병) : 잎, 어린 가지 등의 표면에 흰가루 뿌린 듯
- 녹병 : 여름포자 세대에 잎에 황색, 적갈색 등의 가루가 나는 병반 多
- 깜부기병(흑수병) : 이삭에 발병 多, 환부에서 검은 가루
02. 진단 방법 및 순서
1. 식물병의 진단
(1) 진단 및 동정
- 진단 : 병든 식물체를 정밀하게 검사하여 비슷한 병과 구별하
고, 정확한 병명 결정하는 것
- 발병상황, 환경조건, 식물의 종, 식물의 노유(老幼), 재배환경 등을 먼저 밝힘
- 전염성 여부 결정 후 전염성이면, 동정하여 정확한 병명 결정
- 동정 : 병원체 분리 배양하고 실험 거쳐 종명 결정
- 병환부에 병원균외 다른 미생물도 존재하므로 병환부에서 검출된 미생물은 KOCH 원칙에 따라 증명(바이러스, 흰가루병균, 녹병균과 같은 절대기생체는 만족할수 없는 것도 있다.)
- KOCH 3원칙
① 병원체는 반드시 병환부에 존재한다
② 병원체를 순수배양하여 접종하면 같은 병을 일으킨다
③ 접종한 식물로부터 같은 병원체를 다시 분리할수 있다.
#미생물의 분리-배양-인공접종-재분리
(2) 포장진단
- 식물병진단의 첫단계는 병이 발생한 포장(땅)에 대해 조사
(3) 식물세균병의 진단
- 직접적 진단법 : 병징, 표징조사, 세균분리동정, 병원성 검정, 현미경 관찰
- 간접적 진단법 : 항혈청이나 핵산이용
- 유출검사법(Ooze test) : 줄기를 잘라 물에 넣었을 때 단면에서 스며나오는 분비물(우즈)로 세균병 진단
- 병원세균 분리할 때 배지선택이 중요, 병든 식물체 조직에서 병원세균 분리할 때는 2~3종 배지를 함께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
- 병원세균 분리 방법은 이병식물체의 종류, 형성된 병징, 감염토양 등에 따라 다양
(4) 식물바이러스병의 진단
- 먼저 육안 진단
- 면역학적 진단(혈청이용): 한천겔 면역확산법(AGID), 형광항체법, 효소결합항체법(ELISA), 슬라이드법,
직접조직프린트 면역분석법(DTBIA), 적혈구 응징반응법
- 분자생물학적 진단 : 역전사 중합효소 연쇄반응법(RT-PCR), PAGE분석법, 닷 블라트법
- 물리화학적 특성 조사 : 내열성(바이러스가 불활성화되는 온도), 내희석성(희석한계), 내보존성(확성을 얼마나 오래 하는지)
- 바이로이드병 진단 : 지표식물 검정법(눈접 통한 생물검정), RT-PCR (시간 소요 많고 정밀도 낮다)
(5) 파이토플라스마병 진단
- 체관부(사부)에만 존재, 전자현미경으로 사부내 세포 관찰
- 이병절편을 Dienes염색하여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푸르게 염색되고 집락 형태 유지되는 것을 파이트플라스마의 집락으로 판정)
- 이병 조직의 사부를 DAPI나 형광색소등으로 염색하여 형광현미경으로 관찰 후 이병 여부 진단
- 감염조직에 테트라사이클린이나 페니실린 접종하여 저항성 판단, 건전한 기주에 병든 기주의 가지 접목하여 전염성 봄
2. 식물병 진단법의 종류
(1) 육안적 진단
- 병징이나 표징을 보고 병 이름을 판단하는 방법
- 육안적 진단에서 표징은 절대적, 진단에 결정적인 역할 함
- 습식처리 : 병환부가 마르거나 오래 되어 상태가 좋지 않을 때 물에 적신 신문지나 휴지를 넣어 포화습도의 상태유지(진균병 진단에 많이 이용)
(2) 해부학적현미경적 진단
- 현미경 이용하여 병원체의 유무, 병원균의 종류 및 형태, 병원균의 균사 모양 및 편모 수와 위치, 항체와 반응 시 나타나는 형광형상 등 조사하여 진단
- 담배 모자이크 바이러스(TMV)에 감염시 다각형의 결정 형성
- 감자 X바이러스의 경우 과립 봉입체(X-body)
- Potyvirus 감염시 풍차 모양의 봉입체 형성
(봉입체 정보가 몇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