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Ⅰ. 본문
1) 상담을 방해하는 심리적 요인
2) 대화를 방해하는 심리적 요인
3) 인간관계시 방해하는 심리적 요인
Ⅱ. 참고문헌 및 참고자료
Ⅰ. 본문
1) 상담을 방해하는 심리적 요인
2) 대화를 방해하는 심리적 요인
3) 인간관계시 방해하는 심리적 요인
Ⅱ. 참고문헌 및 참고자료
본문내용
83)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오화미, 「긍정적 사고와 부정적 사고가 심리적 안녕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7.
부정적인 사고를 좀 더 구분하여 보면, 먼저 분노는 성가심, 좌절, 경멸, 걱정, 격노와 관련된 정서로(Izard, 1991), 자신이 원하는 목표가 방해를 받아 좌절되었을 경우, 또는 자신의 자존심이 손상되거나 위협받는다고 느끼는 경우에 나타나는 정서이다(이훈구, 이수정, 이은정, 박수애, 2003). 다음으로 슬픔은 낙심, 동정, 절망, 비탄, 연민 등과 관련된 정서로 자신의 목표를 상실했거나 포기되어질 때 일어나며, Lazarus는 목표상실 자체보다는 회복 불가능한 상황에 대한 무기력감으로 인해 슬픔이 나타난다고 보았다. 마지막으로 두려움은 공포, 불안, 초조, 전율, 염려 등과 관련된 정서로 자신의 편안함과 안정성을 위협하는 자극이 주
3) 인간관계시 방해하는 심리적 요인
(1) 회피(행동방식)
나는 인간관계시 방해하는 심리적 요인 중 행동방식에서는 인간을 회피하는 ‘회피성 성격장애’를 가지고 있다. 이것은 과거 학창시절에 겪은 친구들 사이에서 발생한 따돌림 사건이 원인이었다. 초등학교 6학년 수련회에서, 친한 친구를 뒷담화를 하였다. 이 당시 나는 뒷담화가 학교폭력인지 인지하지 못했고 어린 나이라서 철없이 행동하여 이 점을 깊이 후회하고 있다. 이후 초등학교 시절, 인간관계에 대한 두려움이 생겨 새로운 친구를 사귀기 두려워하는 문제로 발전되었다. 이로 인하여 중학교, 고등학교 시절, 친구를 사귀는 것에 대한 어려움이 있었다.
회피성 성격장애는 거절에 대해 매우 예민하고, 그로 인해 사회적으로 무기력한 모습을 보이는 인격장애이다. 자신을 거절하지 않을 것이라는 확신이 드는 사람만을 대상으로 인간관계를 맺고, 거부나 상실에 대한 두려움과 고통이 커서 오히려 혼자 지내려고 하지만, 내적으로는 친밀한 관계를 원하는 특징이 있다. 사회공포증을 동반하기도 한다. 네이버, “회피성 성격장애”,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27266&mobile&cid=51007&categoryId=51007, (2017.10.30)
회피형의 생활양식을 가진 사람은 매사에 소극적이며 부저적인 특징을 가진다. 이러한 생활양식을 가진 사람은 자신감이 없기 때문에 적극적으로 직면하는 것을 피한다. 회피형 사람은 마냥 시도하지도 않고 불평만 하기
부정적인 사고를 좀 더 구분하여 보면, 먼저 분노는 성가심, 좌절, 경멸, 걱정, 격노와 관련된 정서로(Izard, 1991), 자신이 원하는 목표가 방해를 받아 좌절되었을 경우, 또는 자신의 자존심이 손상되거나 위협받는다고 느끼는 경우에 나타나는 정서이다(이훈구, 이수정, 이은정, 박수애, 2003). 다음으로 슬픔은 낙심, 동정, 절망, 비탄, 연민 등과 관련된 정서로 자신의 목표를 상실했거나 포기되어질 때 일어나며, Lazarus는 목표상실 자체보다는 회복 불가능한 상황에 대한 무기력감으로 인해 슬픔이 나타난다고 보았다. 마지막으로 두려움은 공포, 불안, 초조, 전율, 염려 등과 관련된 정서로 자신의 편안함과 안정성을 위협하는 자극이 주
3) 인간관계시 방해하는 심리적 요인
(1) 회피(행동방식)
나는 인간관계시 방해하는 심리적 요인 중 행동방식에서는 인간을 회피하는 ‘회피성 성격장애’를 가지고 있다. 이것은 과거 학창시절에 겪은 친구들 사이에서 발생한 따돌림 사건이 원인이었다. 초등학교 6학년 수련회에서, 친한 친구를 뒷담화를 하였다. 이 당시 나는 뒷담화가 학교폭력인지 인지하지 못했고 어린 나이라서 철없이 행동하여 이 점을 깊이 후회하고 있다. 이후 초등학교 시절, 인간관계에 대한 두려움이 생겨 새로운 친구를 사귀기 두려워하는 문제로 발전되었다. 이로 인하여 중학교, 고등학교 시절, 친구를 사귀는 것에 대한 어려움이 있었다.
회피성 성격장애는 거절에 대해 매우 예민하고, 그로 인해 사회적으로 무기력한 모습을 보이는 인격장애이다. 자신을 거절하지 않을 것이라는 확신이 드는 사람만을 대상으로 인간관계를 맺고, 거부나 상실에 대한 두려움과 고통이 커서 오히려 혼자 지내려고 하지만, 내적으로는 친밀한 관계를 원하는 특징이 있다. 사회공포증을 동반하기도 한다. 네이버, “회피성 성격장애”,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27266&mobile&cid=51007&categoryId=51007, (2017.10.30)
회피형의 생활양식을 가진 사람은 매사에 소극적이며 부저적인 특징을 가진다. 이러한 생활양식을 가진 사람은 자신감이 없기 때문에 적극적으로 직면하는 것을 피한다. 회피형 사람은 마냥 시도하지도 않고 불평만 하기
추천자료
성 문제와 성 상담
[비만][운동][다이어트]비만의 정의, 비만의 원인, 비만의 위험인자와 위험도, 비만의 진단 ...
정신분석 상담이론 - 인간에 대한 기본 관점, 심리적 문제의 발생 과정, 정신적 갈등과 방어
[특수교육A+]발달장애 개념과 원인, 발생 요인과 특성, 발달장애 치료 및 가족에 미치는 영향...
비만에 관해서
교육심리학 학교교육과 정신건강
게슈탈트 집단상담의 특징, 과정, 기법, 상담에서의 역할 및 전망[A+ 추천 레포트]
부모상담 레포트
[아동상담론]아동상담의 주요 접근법 중 정신분석적 상담과 인간중심 상담에서 말하는 심리적...
[건강의 영향요인]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신체적 요인 행동적 요인 심리적 요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