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화이야기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 79
  • 80
  • 81
  • 82
  • 83
  • 84
  • 85
  • 86
  • 87
  • 88
  • 89
  • 90
  • 91
  • 92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명화이야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산드로 보티첼리 (Sandro Botticelli)
- 이탈리아
‘르네상스’란? - 고대 그리스·로마 문화의 재생 or 부활
- 16세기 이탈리아의 화가가 쓴 저서에서 처음으로 사용
그 후, 19세기 중엽에 프랑스/독일어로 번역되어 르네상스로 불림
- 이탈리아인들은 전통 문화를 부활시키려는 복고정신과 인간성의 부활 정신이 강했음. 곧, 중세 크리스트 교회가 인간성을 없애고 신의 권위만을 강조해왔던 탓으로 이 시대의 인간들은 고대 그리스나 로마 시대의 인간중심의 생활을 다시 찾으려는 욕구가 다소 강하게 일어남.
- 르네상스 → 인간중심의 문화 / 인본주의 사상
→ 14세기 이탈리아 피렌체에서 시작
(북유럽 지역에 전파되어 근대 유럽 문화 태동의 기반이 됨)
밀로의 비너스
초기 르네상스 미술
중세 양식이 남아있어 기독교 관련주제가 많았음.
그리스 시대처럼 조화와 균형에 의한 이상미 이념추구
투시화법에 의한 원근법
그리스 로마신화주제
인간의 아름다운 육체표현 (나체화시작)
유화발달 및 각종 물감 고안
화가들
13세기 말 ~ 14세기 초
15세기 초기 이탈리아
초기 플랑드르 화가
두치오, 마르티니, 치마부에, 조토
마사치오, 안젤리코, 도나텔로, 만테냐, 보티첼리
얀 반 에이크
중세와 르네상스 미술의 특성은?
중세의 미술
- 기독교 주제
- 상징적으로 포현
- 입체감과 명암 X
- 원근법 무시
- 형태보다는
상징성을 추구
십자가의 예수님
<조토>
수태고지
: 마리아께 잉태사실을 알림
르네상스의 미술
- 기독교와 신화가 주제
- 실제 있는 그대로 표현
- 입체감과 명암 구사
- 원근법 사용
- 형태의 정확성을 위한 노력
플랑드르 미술
- 일상생활의 모습을 주제로 함
- 초상화를 많이 그림
프레스코화
- 프레스코(Fresco)는 a fresco (방금 회를 칠한 위에)
라는 이탈리아어에서 나온 낱말
- 덜 마른 회 반죽 위에 수용성 물감으로 채색한 벽화
- 벽이 마르게 되면 수용성 물감이 벽에 스며들면서 고착되어
색채가 견고하게 붙는 기법을 이용한 것
템페라
- 템퍼(temper) = ‘원하는 농도로 만든다’라는 동사에서 유래
- 안료에 결합력이 있는 점착성 전색제를 섞어 부드럽게 하여 만들어짐
- (프레스코화는 점착제가 들어있지 않음)은 초기에 템페라의 전색제는
달걀 노른자를 물에 희석시켜 만들었고, 나무나 벽판 패널이 사용됨
- 템페라 물감은 바른 뒤 몇 분이 지나면 덧칠도 가능
유화
- 기름을 용매로 사용
- 건조에 시간이 소요
- 눈에 비친 자연을 실제의 색감을 통해 세밀하게 묘사 가능
- 리얼리즘(Realism) 화풍을 탄생시키는 계기
- 초상화에 지대한 영향을 끼침
르네상스의 예술 후원
1) 새로운 문화 창출
→ 경제적으로 풍요로워지면서, 사상·문학·미술·건축 등 다방면에 걸쳐 관심을 갖음
2) 단테, 보카티오 같은 문인들이 활동하고, 건물들도 새로 지으며 화가들의 지위도 상승
: 길드의 장인 → 예술가로 승격
3) 예술 후원
→ 부자들은 적극적으로 화가, 조각가, 건축가들의 작품활동을 적극적으로 후원하였다.
대표적인 가문이 메디치 가문
메디치 가
- 상업으로 성공하여 14세기부터 피렌체의 정치계에 등장하여, 이탈리아 르네상스의 보호자로서뿐만 아니라,
당시 유럽 굴지의 금융업자로서, 또 피렌체공화국과 토스카나공국의 지배자로서 유명
<로렌초 메디치>
피렌체의 위대한 통치자
코시모 메디치 메달을 든 남자
피렌체의 메디치 가가 살던
베키오 궁
메디치 가문
메디치 가와 보티첼리의 관계는?
- 메디치 가 덕분에 장사를 하고 있던 라마의 후원으로 그려짐
- 라마는 메디치 가에게 잘 보이고 싶은 마음으로 이 그림에
메디치 가 인물들을 등장시키도록 했음
- 자신도 이들과 함께 같은 부류에 속함을 나타내고자 한 것이라 추측
- 선명한 색채, 여러 각도에서 관찰된 인물들, 균형감 있는 구도
보티첼리
<동방박사 세 사람의 예배>
초기 르네상스 시대의 화가 보티첼리는 어떤 삶을 살았을까?
피렌체 출생, 본명은 산드로 필리페피(Sandro Filipepi)로 그의 이름은 일 보티첼로(맥주통)라고 불리는 전당포 주인인 형 조반니에게서 따온 것이다. 피렌체의 모든 주요 회에 그림을 그린 이탈리아 초기 르네상스의 대표적 화가이다.
어려서부터 필립포 리피, 베로키오 등 피렌체 유명 화가의 영향을 받긴 했으나, 결국 1470년대 중기에는 보티첼리의 독자적인 미술 성향이 확립되었다. 그는 15세기 피렌체의 정서. 즉, 고대의 자유로운 공기에 심취했던 르네상스 인문주의자의 섬세한 영혼을 표현
  • 가격1,000
  • 페이지수92페이지
  • 등록일2023.07.14
  • 저작시기2017.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1806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