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능력시험(한국어문회) 특급 기출사자성어(38~109회 완결)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자능력시험(한국어문회) 특급 기출사자성어(38~109회 완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가나다순

본문내용

풀 시
건널 제
무리 중




박옥혼금-다듬지 않은 옥과 쇠/검소하고 질박한 사람
옥돌 박
구슬 옥
흐릴 혼
쇠 금




반계곡경-서려있는 계곡과 구불구불한 길/
정당치 않은 방법으로 억지스럽게 함
소반 반
시내 계
굽을 곡
지름길경




반근착절-서리 뿌리와 얼크러진 마디/매우 어려운 사건
소반 반
뿌리 근
어그날착
마디 절




반낭주대-밥을 담는 자루와 술을 담는 자루/
술과 음식을 축내며 일을 하지 않는 사람
밥 반
주머니낭
술 주
자루 대




2
반문농부-匠人인 반수의 문 앞에서 도끼 솜씨를 자랑함/
자기의 실력을 모르고 어리석게 덤빔
나눌 반
문 문
희롱할농
도끼 부




반박지탄-편파적이고 불공정함에 대한 한탄
얼룩무늬반
논박할박
어조사지
탄식할탄




4
반원와철-수레멍에를 당기고 바퀴아래 누워 못 가게함/
못 가게 간절히 간청함
더위잡을반
끌채 원
누울 와
바큇자국철




3
방기곡경-일을 바르지 않고 그릇되고 억지스럽게 함
곁 방
갈림길기
굽을 곡
지름길경




2
방어정미-방어는 피곤하면 하얀 꼬리가 붉어짐/과한 부담
방어 방
물고기어
붉을 정
꼬리 미




3
배반낭자-술잔과 그릇이 어지러이 흩어져 있음/
술자리 끝난 뒤의 난잡한 모습
잔 배
소반 반
이리 낭
깔개 자




7
백구과극-흰 말이 지난가는 것을 문틈으로 봄/눈 깜빡할 사이/
세월이 빠름
흐니 백
망아지구
지날 과
틈 극




백령백리-매우 영리하고 민첩함
일백 백
영리할령
일백 백
똑똑할리




백옥미하-흰 옥에도 흠이 있다/훌륭한 것에도 약간의 결점이 있음
흰 백
구슬 옥
작을 미
허물 하




백룡어복-흰 용이 물고기 옷을 입음/신분이 높은 이가 남모르게 다님
흰 백
용 룡
물고기어
옷 복




백인가답-칼날도 밟을 수 있음/용기 있음의 비유(白刃可蹈)
흰 백
칼날 인
옳을 가
밟을 답




2
백인가도-칼날도 밟을 수 있음/용기 있음의 비유(白刃可踏)
흰 백
칼날 인
옳을 가
밟을 도




백주창탈-대낮에 남의 물건을 빼앗음
흰 백
낮 주
부딪칠창
빼앗을탈


竿

2
백척간두-긴 장대의 끝에 서 있음/매우 위태로운 상황
(累卵之危, 焦眉之急, 風前燈火)
일백 백
자 척
장대 간
머리 두




백해구통-온몸이 아프지 않은 곳이 없음
일백 백
뼈 해
함께 구
아플 통




2
번운복우-구름이 뒤집혀 비가옴/손바닥 뒤집듯이 인정이 변하기 쉬움
뒤칠 번
구름 운
다시 복
비 우




벌성지부-양심을 끊는 도끼/사람을 마음을 탐하게 하여 성명성을 잃음
칠 벌
성품 성
어조사지
도끼 부




벽사진경-요사스러운 귀신을 몰아내고 기뻐할 만한 일로 나아감
열 벽
간사할사
나아갈진
경사 경




2
병촉야유-촛불을 들고 밤에 놂/경치가 좋을 즈음 밤중까지 놂
잡을 병
촛불 촉
밤 야
놀 유




보시구난-시대를 도와서 환난을 구함/
잘못을 바로잡고 미치지 못하는 곳을 보필함
도울 보
때 시
구원할구
어려울난




복소파란-둥우리를 뒤엎고 알을 깸/부모의 재난에 자식도 화를 당함
덮을 복
새집 소
깨뜨릴파
알 란




봉두난발-다북쑥처럼 흐트러진 머리털
쑥 봉
머리 두
어지러울난
터럭 발




봉래약수-동쪽바다의 동래섬과 서쪽강인 약수의 차이/차이가 매우 큼/
거리가 매우 멂
쑥 봉
며아주래
약할 약
물 수




2
봉호옹유-쑥으로 만든 문과 항아리 조각으로 만든 창문/매우 가난함
쑥 봉
지게문호
독 옹
들창 유



谿
부고발계-며느리와 시어머니가 서로 싸움(谿 성내다)
며느리부
시어미고
일어날발
시내 계




부수지소-살을 애는 듯한 간절한 하소연
살갗 부
받을 수
어조사지
하소연할소




부신구화-땔나무를 지고 불을 끔/
폐해를 없애려고 한 것이 도리어 폐해를 조장함
질 부
섶 신
구원할구
불 화




4
부형청죄-가시나무를 등에 지고 죄를 청함/
스스로 죄를 인정하고 사죄함
질 부
가시나무형
청할 청
허물 죄




2
북원적초-나릇(채)을 북으로 하고 남쪽인 초나라로 가려함/
의도하는 바와 행하는 바가 다름
북녘 북
끌채 원
맞을 적
초나라초




2
분서갱유-책을 태우고 선비를 생매장함
불사를분
책 서
구덩이갱
선비 유




불권불해-싫증을 내지 않고 게을리 하지 아니함
아닐 불
게으를권
아닐 불
게으를해




붕정만리-붕새가 날아갈 길이 만리임/머나먼 여정/앞날이 요원함
붕새 붕
한도 정
일만 만
마을 리




비방지목-나무에 북을 걸어 나라에 불만,고통,소원을 말하게 함/
선한 정치
헐뜯을비
헐뜯을방
어조사지
나무 목




비아부화-나방이 불로 뛰어듦/
스스로 위험 속으로 뛰어들어 멸망을 초래함
날 비
나방 아
다다를부
불 화




4
비양발호-날랜 새가 날고 큰 물고기가 날뜀/
신하가 멋대로 법을 무시하고 날뜀
날 비
날릴 양
밟을 발
따를 호




비위난정-비위가 뒤집혀 가라앉지 않음/비위가 상하여 마음이 아니꼬움
지라 비
밥통 위
어려울난
정할 정




2
빈계사신-암탉이 새벽에 우는 일을 맡음/
부인이 남편을 젖혀 놓고 일을 처리함
암컷 빈
닭 계
맡을 사
새벽 신




빈황모려-누런 암말이 아닌 검은 숫말/
외적인 것보다 내적 덕목이 중요함(牝牡黃驪)
암컷 빈
누를 황
수컷 모
검은말려




6
사가망처-이사를 하며 아내를 잊어버림/건망증이 심함/
의리를 분별 못하는 어리석은 사람
옮길 사
집 가
잊을 망
아내 처




사고무친-사면을 돌아보아도 친한(도와줄)사람이 없음
(孤立無援, 四面楚歌)
넉 사
돌아볼고
없을 무
친할 친
使



3
사기포서-천리마로 쥐를 잡게함/인재를 하찮은 일에 씀
부릴 사
천리마기
잡을 포
쥐 서




사량침주-식량을 버리고 배를 침몰시킴/목숨을 걸고 대처함(背水之陣)
버릴 사
헤아릴량
잠길 침
배 주




사마난추-네 필의 말이 끄는 매우 빠른 수레는
  • 가격1,500
  • 페이지수20페이지
  • 등록일2023.07.19
  • 저작시기2025.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1857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