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가나다순
본문내용
풀 시
건널 제
무리 중
璞
玉
渾
金
박옥혼금-다듬지 않은 옥과 쇠/검소하고 질박한 사람
옥돌 박
구슬 옥
흐릴 혼
쇠 금
盤
溪
曲
徑
반계곡경-서려있는 계곡과 구불구불한 길/
정당치 않은 방법으로 억지스럽게 함
소반 반
시내 계
굽을 곡
지름길경
盤
根
錯
節
반근착절-서리 뿌리와 얼크러진 마디/매우 어려운 사건
소반 반
뿌리 근
어그날착
마디 절
飯
囊
酒
袋
반낭주대-밥을 담는 자루와 술을 담는 자루/
술과 음식을 축내며 일을 하지 않는 사람
밥 반
주머니낭
술 주
자루 대
班
門
弄
斧
2
반문농부-匠人인 반수의 문 앞에서 도끼 솜씨를 자랑함/
자기의 실력을 모르고 어리석게 덤빔
나눌 반
문 문
희롱할농
도끼 부
斑
駁
之
嘆
반박지탄-편파적이고 불공정함에 대한 한탄
얼룩무늬반
논박할박
어조사지
탄식할탄
攀
轅
臥
轍
4
반원와철-수레멍에를 당기고 바퀴아래 누워 못 가게함/
못 가게 간절히 간청함
더위잡을반
끌채 원
누울 와
바큇자국철
旁
岐
曲
徑
3
방기곡경-일을 바르지 않고 그릇되고 억지스럽게 함
곁 방
갈림길기
굽을 곡
지름길경
魚
尾
2
방어정미-방어는 피곤하면 하얀 꼬리가 붉어짐/과한 부담
방어 방
물고기어
붉을 정
꼬리 미
杯
盤
狼
藉
3
배반낭자-술잔과 그릇이 어지러이 흩어져 있음/
술자리 끝난 뒤의 난잡한 모습
잔 배
소반 반
이리 낭
깔개 자
白
駒
過
隙
7
백구과극-흰 말이 지난가는 것을 문틈으로 봄/눈 깜빡할 사이/
세월이 빠름
흐니 백
망아지구
지날 과
틈 극
百
怜
百
백령백리-매우 영리하고 민첩함
일백 백
영리할령
일백 백
똑똑할리
白
玉
微
瑕
백옥미하-흰 옥에도 흠이 있다/훌륭한 것에도 약간의 결점이 있음
흰 백
구슬 옥
작을 미
허물 하
白
龍
魚
服
백룡어복-흰 용이 물고기 옷을 입음/신분이 높은 이가 남모르게 다님
흰 백
용 룡
물고기어
옷 복
白
刃
可
踏
백인가답-칼날도 밟을 수 있음/용기 있음의 비유(白刃可蹈)
흰 백
칼날 인
옳을 가
밟을 답
白
刃
可
蹈
2
백인가도-칼날도 밟을 수 있음/용기 있음의 비유(白刃可踏)
흰 백
칼날 인
옳을 가
밟을 도
白
晝
奪
백주창탈-대낮에 남의 물건을 빼앗음
흰 백
낮 주
부딪칠창
빼앗을탈
百
尺
竿
頭
2
백척간두-긴 장대의 끝에 서 있음/매우 위태로운 상황
(累卵之危, 焦眉之急, 風前燈火)
일백 백
자 척
장대 간
머리 두
百
骸
俱
痛
백해구통-온몸이 아프지 않은 곳이 없음
일백 백
뼈 해
함께 구
아플 통
雲
覆
雨
2
번운복우-구름이 뒤집혀 비가옴/손바닥 뒤집듯이 인정이 변하기 쉬움
뒤칠 번
구름 운
다시 복
비 우
伐
性
之
斧
벌성지부-양심을 끊는 도끼/사람을 마음을 탐하게 하여 성명성을 잃음
칠 벌
성품 성
어조사지
도끼 부
邪
進
慶
벽사진경-요사스러운 귀신을 몰아내고 기뻐할 만한 일로 나아감
열 벽
간사할사
나아갈진
경사 경
秉
燭
夜
遊
2
병촉야유-촛불을 들고 밤에 놂/경치가 좋을 즈음 밤중까지 놂
잡을 병
촛불 촉
밤 야
놀 유
輔
時
救
難
보시구난-시대를 도와서 환난을 구함/
잘못을 바로잡고 미치지 못하는 곳을 보필함
도울 보
때 시
구원할구
어려울난
覆
巢
破
卵
복소파란-둥우리를 뒤엎고 알을 깸/부모의 재난에 자식도 화를 당함
덮을 복
새집 소
깨뜨릴파
알 란
蓬
頭
亂
髮
봉두난발-다북쑥처럼 흐트러진 머리털
쑥 봉
머리 두
어지러울난
터럭 발
蓬
萊
弱
水
봉래약수-동쪽바다의 동래섬과 서쪽강인 약수의 차이/차이가 매우 큼/
거리가 매우 멂
쑥 봉
며아주래
약할 약
물 수
蓬
戶
甕
2
봉호옹유-쑥으로 만든 문과 항아리 조각으로 만든 창문/매우 가난함
쑥 봉
지게문호
독 옹
들창 유
婦
姑
勃
谿
부고발계-며느리와 시어머니가 서로 싸움(谿 성내다)
며느리부
시어미고
일어날발
시내 계
膚
受
之
부수지소-살을 애는 듯한 간절한 하소연
살갗 부
받을 수
어조사지
하소연할소
負
薪
救
火
부신구화-땔나무를 지고 불을 끔/
폐해를 없애려고 한 것이 도리어 폐해를 조장함
질 부
섶 신
구원할구
불 화
負
荊
請
罪
4
부형청죄-가시나무를 등에 지고 죄를 청함/
스스로 죄를 인정하고 사죄함
질 부
가시나무형
청할 청
허물 죄
北
轅
適
楚
2
북원적초-나릇(채)을 북으로 하고 남쪽인 초나라로 가려함/
의도하는 바와 행하는 바가 다름
북녘 북
끌채 원
맞을 적
초나라초
焚
書
坑
儒
2
분서갱유-책을 태우고 선비를 생매장함
불사를분
책 서
구덩이갱
선비 유
不
倦
不
懈
불권불해-싫증을 내지 않고 게을리 하지 아니함
아닐 불
게으를권
아닐 불
게으를해
鵬
程
萬
里
붕정만리-붕새가 날아갈 길이 만리임/머나먼 여정/앞날이 요원함
붕새 붕
한도 정
일만 만
마을 리
誹
謗
之
木
비방지목-나무에 북을 걸어 나라에 불만,고통,소원을 말하게 함/
선한 정치
헐뜯을비
헐뜯을방
어조사지
나무 목
飛
蛾
赴
火
비아부화-나방이 불로 뛰어듦/
스스로 위험 속으로 뛰어들어 멸망을 초래함
날 비
나방 아
다다를부
불 화
飛
揚
跋
扈
4
비양발호-날랜 새가 날고 큰 물고기가 날뜀/
신하가 멋대로 법을 무시하고 날뜀
날 비
날릴 양
밟을 발
따를 호
脾
胃
難
定
비위난정-비위가 뒤집혀 가라앉지 않음/비위가 상하여 마음이 아니꼬움
지라 비
밥통 위
어려울난
정할 정
牝
鷄
司
晨
2
빈계사신-암탉이 새벽에 우는 일을 맡음/
부인이 남편을 젖혀 놓고 일을 처리함
암컷 빈
닭 계
맡을 사
새벽 신
牝
黃
牡
驪
빈황모려-누런 암말이 아닌 검은 숫말/
외적인 것보다 내적 덕목이 중요함(牝牡黃驪)
암컷 빈
누를 황
수컷 모
검은말려
徙
家
忘
妻
6
사가망처-이사를 하며 아내를 잊어버림/건망증이 심함/
의리를 분별 못하는 어리석은 사람
옮길 사
집 가
잊을 망
아내 처
四
顧
無
親
사고무친-사면을 돌아보아도 친한(도와줄)사람이 없음
(孤立無援, 四面楚歌)
넉 사
돌아볼고
없을 무
친할 친
使
驥
捕
鼠
3
사기포서-천리마로 쥐를 잡게함/인재를 하찮은 일에 씀
부릴 사
천리마기
잡을 포
쥐 서
捨
量
沈
舟
사량침주-식량을 버리고 배를 침몰시킴/목숨을 걸고 대처함(背水之陣)
버릴 사
헤아릴량
잠길 침
배 주
駟
馬
難
追
사마난추-네 필의 말이 끄는 매우 빠른 수레는
건널 제
무리 중
璞
玉
渾
金
박옥혼금-다듬지 않은 옥과 쇠/검소하고 질박한 사람
옥돌 박
구슬 옥
흐릴 혼
쇠 금
盤
溪
曲
徑
반계곡경-서려있는 계곡과 구불구불한 길/
정당치 않은 방법으로 억지스럽게 함
소반 반
시내 계
굽을 곡
지름길경
盤
根
錯
節
반근착절-서리 뿌리와 얼크러진 마디/매우 어려운 사건
소반 반
뿌리 근
어그날착
마디 절
飯
囊
酒
袋
반낭주대-밥을 담는 자루와 술을 담는 자루/
술과 음식을 축내며 일을 하지 않는 사람
밥 반
주머니낭
술 주
자루 대
班
門
弄
斧
2
반문농부-匠人인 반수의 문 앞에서 도끼 솜씨를 자랑함/
자기의 실력을 모르고 어리석게 덤빔
나눌 반
문 문
희롱할농
도끼 부
斑
駁
之
嘆
반박지탄-편파적이고 불공정함에 대한 한탄
얼룩무늬반
논박할박
어조사지
탄식할탄
攀
轅
臥
轍
4
반원와철-수레멍에를 당기고 바퀴아래 누워 못 가게함/
못 가게 간절히 간청함
더위잡을반
끌채 원
누울 와
바큇자국철
旁
岐
曲
徑
3
방기곡경-일을 바르지 않고 그릇되고 억지스럽게 함
곁 방
갈림길기
굽을 곡
지름길경
魚
尾
2
방어정미-방어는 피곤하면 하얀 꼬리가 붉어짐/과한 부담
방어 방
물고기어
붉을 정
꼬리 미
杯
盤
狼
藉
3
배반낭자-술잔과 그릇이 어지러이 흩어져 있음/
술자리 끝난 뒤의 난잡한 모습
잔 배
소반 반
이리 낭
깔개 자
白
駒
過
隙
7
백구과극-흰 말이 지난가는 것을 문틈으로 봄/눈 깜빡할 사이/
세월이 빠름
흐니 백
망아지구
지날 과
틈 극
百
怜
百
백령백리-매우 영리하고 민첩함
일백 백
영리할령
일백 백
똑똑할리
白
玉
微
瑕
백옥미하-흰 옥에도 흠이 있다/훌륭한 것에도 약간의 결점이 있음
흰 백
구슬 옥
작을 미
허물 하
白
龍
魚
服
백룡어복-흰 용이 물고기 옷을 입음/신분이 높은 이가 남모르게 다님
흰 백
용 룡
물고기어
옷 복
白
刃
可
踏
백인가답-칼날도 밟을 수 있음/용기 있음의 비유(白刃可蹈)
흰 백
칼날 인
옳을 가
밟을 답
白
刃
可
蹈
2
백인가도-칼날도 밟을 수 있음/용기 있음의 비유(白刃可踏)
흰 백
칼날 인
옳을 가
밟을 도
白
晝
奪
백주창탈-대낮에 남의 물건을 빼앗음
흰 백
낮 주
부딪칠창
빼앗을탈
百
尺
竿
頭
2
백척간두-긴 장대의 끝에 서 있음/매우 위태로운 상황
(累卵之危, 焦眉之急, 風前燈火)
일백 백
자 척
장대 간
머리 두
百
骸
俱
痛
백해구통-온몸이 아프지 않은 곳이 없음
일백 백
뼈 해
함께 구
아플 통
雲
覆
雨
2
번운복우-구름이 뒤집혀 비가옴/손바닥 뒤집듯이 인정이 변하기 쉬움
뒤칠 번
구름 운
다시 복
비 우
伐
性
之
斧
벌성지부-양심을 끊는 도끼/사람을 마음을 탐하게 하여 성명성을 잃음
칠 벌
성품 성
어조사지
도끼 부
邪
進
慶
벽사진경-요사스러운 귀신을 몰아내고 기뻐할 만한 일로 나아감
열 벽
간사할사
나아갈진
경사 경
秉
燭
夜
遊
2
병촉야유-촛불을 들고 밤에 놂/경치가 좋을 즈음 밤중까지 놂
잡을 병
촛불 촉
밤 야
놀 유
輔
時
救
難
보시구난-시대를 도와서 환난을 구함/
잘못을 바로잡고 미치지 못하는 곳을 보필함
도울 보
때 시
구원할구
어려울난
覆
巢
破
卵
복소파란-둥우리를 뒤엎고 알을 깸/부모의 재난에 자식도 화를 당함
덮을 복
새집 소
깨뜨릴파
알 란
蓬
頭
亂
髮
봉두난발-다북쑥처럼 흐트러진 머리털
쑥 봉
머리 두
어지러울난
터럭 발
蓬
萊
弱
水
봉래약수-동쪽바다의 동래섬과 서쪽강인 약수의 차이/차이가 매우 큼/
거리가 매우 멂
쑥 봉
며아주래
약할 약
물 수
蓬
戶
甕
2
봉호옹유-쑥으로 만든 문과 항아리 조각으로 만든 창문/매우 가난함
쑥 봉
지게문호
독 옹
들창 유
婦
姑
勃
谿
부고발계-며느리와 시어머니가 서로 싸움(谿 성내다)
며느리부
시어미고
일어날발
시내 계
膚
受
之
부수지소-살을 애는 듯한 간절한 하소연
살갗 부
받을 수
어조사지
하소연할소
負
薪
救
火
부신구화-땔나무를 지고 불을 끔/
폐해를 없애려고 한 것이 도리어 폐해를 조장함
질 부
섶 신
구원할구
불 화
負
荊
請
罪
4
부형청죄-가시나무를 등에 지고 죄를 청함/
스스로 죄를 인정하고 사죄함
질 부
가시나무형
청할 청
허물 죄
北
轅
適
楚
2
북원적초-나릇(채)을 북으로 하고 남쪽인 초나라로 가려함/
의도하는 바와 행하는 바가 다름
북녘 북
끌채 원
맞을 적
초나라초
焚
書
坑
儒
2
분서갱유-책을 태우고 선비를 생매장함
불사를분
책 서
구덩이갱
선비 유
不
倦
不
懈
불권불해-싫증을 내지 않고 게을리 하지 아니함
아닐 불
게으를권
아닐 불
게으를해
鵬
程
萬
里
붕정만리-붕새가 날아갈 길이 만리임/머나먼 여정/앞날이 요원함
붕새 붕
한도 정
일만 만
마을 리
誹
謗
之
木
비방지목-나무에 북을 걸어 나라에 불만,고통,소원을 말하게 함/
선한 정치
헐뜯을비
헐뜯을방
어조사지
나무 목
飛
蛾
赴
火
비아부화-나방이 불로 뛰어듦/
스스로 위험 속으로 뛰어들어 멸망을 초래함
날 비
나방 아
다다를부
불 화
飛
揚
跋
扈
4
비양발호-날랜 새가 날고 큰 물고기가 날뜀/
신하가 멋대로 법을 무시하고 날뜀
날 비
날릴 양
밟을 발
따를 호
脾
胃
難
定
비위난정-비위가 뒤집혀 가라앉지 않음/비위가 상하여 마음이 아니꼬움
지라 비
밥통 위
어려울난
정할 정
牝
鷄
司
晨
2
빈계사신-암탉이 새벽에 우는 일을 맡음/
부인이 남편을 젖혀 놓고 일을 처리함
암컷 빈
닭 계
맡을 사
새벽 신
牝
黃
牡
驪
빈황모려-누런 암말이 아닌 검은 숫말/
외적인 것보다 내적 덕목이 중요함(牝牡黃驪)
암컷 빈
누를 황
수컷 모
검은말려
徙
家
忘
妻
6
사가망처-이사를 하며 아내를 잊어버림/건망증이 심함/
의리를 분별 못하는 어리석은 사람
옮길 사
집 가
잊을 망
아내 처
四
顧
無
親
사고무친-사면을 돌아보아도 친한(도와줄)사람이 없음
(孤立無援, 四面楚歌)
넉 사
돌아볼고
없을 무
친할 친
使
驥
捕
鼠
3
사기포서-천리마로 쥐를 잡게함/인재를 하찮은 일에 씀
부릴 사
천리마기
잡을 포
쥐 서
捨
量
沈
舟
사량침주-식량을 버리고 배를 침몰시킴/목숨을 걸고 대처함(背水之陣)
버릴 사
헤아릴량
잠길 침
배 주
駟
馬
難
追
사마난추-네 필의 말이 끄는 매우 빠른 수레는
추천자료
한자능력시험(한국어문회) 특급한자(1328자)
한자능력시험(한국어문회) 특급한자(1328자)-훈음쓰기
한자능력시험(한국어문회) 특급-전의어
한자능력시험(한국어문회) 특급II한자(1150자)
한자능력시험(한국어문회) 특급II한자(1150자)-훈음쓰기
한자능력시험(한국어문회) 특급한자(1328자)-한자쓰기
한자능력시험(한국어문회) 특급II한자(1150자)-한자쓰기
한자능력시험(한국어문회) 특급II-전의어
한자능력시험(한국어문회), 한자자격시험(한자교육진흥회) 3급한자(1817자)
한자능력시험(한국어문회), 한자자격시험(한자교육진흥회) 3급한자-훈음쓰기(1817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