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자격시험(한자교육진흥회) 사범 기출사자성어(21~120회 완결)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자자격시험(한자교육진흥회) 사범 기출사자성어(21~120회 완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가나다순

본문내용

찰 한
움직일동
두근거릴계




9
새신만명-굿, 푸닥거리를 하는 무당/경망스럽고 방정맞은 사람
굿할 새
귀신 신
일만 만
밝을 명




2
새옹지마-변방 늙은이의 말/세상만사는 예측할 수 없음(轉禍爲福)
변방 새
늙은이옹
어조사지
말 마




생이지지-학문을 닦지 않아도 태어나면서부터 앎/
배우지 않고 스스로 깨우쳐 앎
날 생
말이을이
알 지
어조사지




12
서간충비-쥐의 간과 벌레의 팔/쓸모없거나 하찮음
쥐 서
간 간
벌레 충
팔 비




8
서동부언-거짓말을 퍼뜨려 민심을 선동함
서로 서
움직일동
뜰 부
말씀 언




7
서리지탄-궁궐터에 기장만이 무성이 자람/때가 늦음을 한탄함
(麥秀之嘆)
기장 서
떠날 리
어조사지
탄식할탄




11
서절구투-쥐나 개처럼 가만히 물건을 훔침/좀도둑
쥐 서
훔칠 절
개 구
훔칠 투




19
서제막급-배꼽을 물려해도 물수 없음/
이미 저지른 잘못에 대해 후회해도 소용없음
씹을 서
배꼽 제
없을 막
미칠 급




10
석고대죄-거적을 깔고 엎드려서 임금의 처분이나 명령을 기다림
자리 석
짚 고
기다릴대
허물 죄




2
선기옥형-고대 중국에서 천체의 운행을 관측하는 기구(渾天儀)
옥 선
구슬 기
구슬 옥
저울대형




3
설니홍조-눈밭의 기러기 발자국은 녹으면 사라짐/인생무상,희미한 추억
눈 설
진흙 니
큰기러기홍
손톱 조




설부화용-눈처럼 하얀피부와 꽃다운 얼굴/미인(花容月態, 傾國之色)
눈 설
살갗 부
꽃 화
얼굴 용




설왕설래-서로 변론을 주고 받으며 옥신각신함
말씀 설
갈 왕
말씀 설
올 래




성학집요-율곡 이이가 지은 제왕의 교습서
성인 성
배울 학
모일 집
요긴할요



세시증-설떡을 찌는 시루/
많은 사람이 같은 시기에 다같이 쓰려고 찾는 물건
해 세
때 시
시루 증




세한고절-추운 계절에도 혼자 푸르른 대나무
해 세
찰 한
외로울고
마디 절




세한송백-추운 겨울의 소나무와 잣나무/변치 않는 굳은 지조와 절개
해 세
찰 한
소나무송
측백나무백




3
소리장도-겉으로는 웃으나 속으로 칼을 숨김(面從腹背, 口蜜腹劍)
웃을 소
속 리
감출 장
칼 도




9
소의간식-밝기 전에 옷을 입고, 해가 진후에 밥을 먹음/
임금이 정사를 부지런히 돌봄
밤 소
옷 의
해질 간
밥 식




6
소장지변-병풍사이의 변화/내부에서 일어난 변란/형제들 사이의 싸움
쑥 소
담 장
어조사지
변할 변




소중유검-웃음속에 칼이 있음/
겉으로는 따르나 속으로는 딴 생각을 품음(笑裏藏刀)
웃음 소
가운데중
있을 유
칼 검




속수무책-손을 묶어 놓은 듯 아무런 대책이 없음
묶을 속
손 수
없을 무
꾀 책




속수지례-처음 가르침을 받을 때 스승에게 육포를 드리는 예절
묶을 숙
포 수
어조사지
예도 례




2
송양지인-송나라의 인정(대의명분이나 불필요한 인정으로 화를 입음)
송나라송
도울 양
어조사지
어질 인




수구초심-여우는 죽을 때 언덕에 머리를 바르게 함(근본을 잊지 않음)
머리 수
언덕 구
처음 초
마음 심




수불석권-손에서 책을 떼어놓지 않음/꾸준히 공부함
손 수
아닐 불
풀 석
책 권




6
수수방관-팔짱을 끼고 보고만 있음
소매 수
손 수
곁 방
볼 관




수어지교-물과 고기의 사귐(管鮑之交, 芝蘭之交, 莫逆之友, 金蘭之交)
물 수
물고기어
어조사지
사귈 교




수오지심-자기의 옳지 못함을 부끄러워하고, 타인의 옳지 못함을
미워함
부끄러울수
미워할오
어조사지
마음 심




3
수주대토-그루터기를 지켜 토끼를 기다림/고지식하고, 융통성이 없음
(刻舟求劍)
지킬 수
그루 주
기다릴대
토끼 토




7
숙맥불변-콩과 보리를 구분하지 못함/어리석고 못남(菽麥)
콩 숙
보리 맥
아닐 불
분별할변




6
숙수지공-콩과 물로 드리는 공/
가난 속에서도 정성을 다하여 부모를 섬김
콩 숙
물 수
어조사지
이바지할공




4
숙속지문-콩, 조와 같은 글/사람이 두루 알 수 있는 쉬운 글
콩 숙
조 속
어조사지
글월 문




4
숙흥야매-일찍 일어나고 늦게 잠/일에 몰두함
이를 숙
일 흥
밤 야
잘 매




4
순망치한-입술이 없으면 이가 시림/떨어질 수 없는 관계
(脣齒輔車, 輔車相依)
입술 순
망할 망
이 치
찰 한




3
술이부작-기술할 따름이지 새로 지어내는 것은 아님
펼 술
말이을이
아닐 부
지을 작




3
승가람(라)마-승려가 살면서 불도를 닦는 곳
증 승
절 가
쪽 람
문지를마


3
승소-승려의 빗/쓸모없는 물건
중 승
빗 소




시도지교-저자와 거리에서의 사귐/단지 이익을 위한 교제
저자 시
길 도
어조사지
사귈 교




시비지심-옳음과 그름을 가릴줄 아는 마음
옳을 시
아닐 비
어조사지
마음 심




12
시위소찬-재덕이나 공덕 없이 국가의 녹만 받아 먹는 관리
주검 시
자리 위
본디 소
밥 찬




2
식소사번-먹는 것은 적고 일은 많음/수고는 많이 하나 얻는 것이 적음
먹을 식
작을 사
일 사
번거로울번




신사명변-신중히 생각하고 분별을 명확히 함
삼갈 신
생각 사
밝을 명
말잘할변




신상필벌-상과 벌은 공평하여야 함
믿을 신
상줄 상
바드시필
벌할 벌




2
신언서판-인물을 뽑을 때 몸, 언변, 글, 판단력의 네 가지를 말함
몸 신
말씀 언
글 서
판단할판




2
신체발부-몸, 머리, 피부의 몸 전체를 이르는 말
몸 신
몸 체
터럭 발
살갗 부




신출귀몰-귀신처럼 나타났다 귀신처럼 사라짐
귀신 신
날 출
귀신 귀
빠질 몰




심심상인-마음에서 마음으로 전해짐(以心傳心, 敎外別傳)
마음 심
마음 심
서로 상
도장 인




5
십시일반-열사람이 한 술식 더하면 한 그릇이 됨
열 십
숟가락시
한 일
밥 반




16
십한일폭-열흘 춥고 하루 볕이
  • 가격1,500
  • 페이지수24페이지
  • 등록일2023.07.19
  • 저작시기2025.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1858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