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가나다순
본문내용
材
동량지재-마룻대와 대들보/큰 인재(干城之材, 棟梁之器)
말룻대동
들보 량
어조사지
재목 재
東
北
工
程
동북공정-중국이 동북지역의 역사(고구려,발해)를 자신의 역사에
편입시키려는 계획
동녘 동
북녘 북
장인 공
한도 정
東
閃
西
忽
동섬서홀-동에 번쩍, 서에 번쩍 나타났다 사라짐/
여기저기 바쁘게 돌아다님
동녘 동
번쩍할섬
서녘 서
갑자기홀
董
狐
之
筆
4
동호지필-동호의 붓/
역사(사실)를 권세에 굽히지 않고 사실을 그대로 씀
바로잡을동
여우 호
어조사지
붓 필
燈
下
不
明
5
등하불명-등잔 밑이 어둡다
등 등
아래 하
아닐 불
밝을 명
麻
科
會
通
마과회통-조선 정조때 정약용이 홍역의 치료에 관해 펴낸 의학서
삼 마
과목 과
모일 회
통할 통
磨
斧
爲
針
4
마부위침-도끼를 갈아 바늘을 만듦/
어려운 일도 꾸준히 하면 이룰 수 있음
갈 마
도끼 부
할 위
바늘 침
磨
斧
作
針
10
마부작침-도끼를 갈아 바늘을 만듦
어려운 일도 꾸준히 하면 이룰 수 있음
갈 마
도끼 부
지을 작
바늘 침
麻
中
之
蓬
14
마중지봉-마밭의 쑥은 곧게 자람(환경의 중요성)(近墨者黑, 近朱者赤)
삼 마
가운제중
어조사지
쑥 봉
莫
如
敎
子
막여교자-자식을 가르치는 것보다 중요한 것은 없음
없을 막
같을 여
가르칠교
아들 자
莫
逆
之
友
막역지우-서로의 뜻을 거스르지 않는 친한 벗
(水魚之交, 金蘭之交, 管鮑之交)
없을 막
거스를역
어조사지
벗 우
萬
頃
蒼
波
만경창파-한없이 넓고 푸른 바다
일만 만
이랑 경
푸를 창
물결 파
萬
事
休
矣
2
만사휴의-모든 일이 끝났음/
모든 일이 실패로 돌아가 어찌해 볼 도리가 없음
일만 만
일 사
쉴 휴
어조사의
晩
時
之
歎
만시지탄-때가 늦음을 한탄함
늦을 만
때 시
어조사지
탄시할탄
望
雲
之
情
망운지정-구름을 보며 그리워함/고향의 부모님을 그리워함
바랄 망
구름 운
어조사지
뜻 정
麥
秀
之
嘆
4
맥수지탄-나라가 망한 것을 한탄함
보리 맥
빼어날수
어조사지
탄식할탄
孟
母
斷
機
맹모단기-맹자의 모가 베틀을 끊음/
학문을 그만두는 것을 꾸짖음(三遷之敎)
맏 맹
어미 모
끊을 단
틀 기
孟
母
三
遷
맹모삼천-맹자의 어머니가 교육을 위해 세 번 이사함
(孟母斷機, 斷機之戒)
맏 맹
어미 모
석 삼
옮길 천
明
若
觀
火
2
명약관화-불을 보듯이 밝게 보임(모든 것이 명백함)
밝을 명
같을 약
볼 관
불 화
毛
遂
自
薦
2
모수자천-모수가 스스로를 천거함/자기를 추천/
앞뒤를 모르고 나서는 사람
털 모
드디어수
스스로자
천거할천
沐
浴
齋
戒
목욕재계-부정을 타지 않도록 깨끗이 씻고 몸가짐을 가다듬음
모리감을목
목욕할욕
가지런할제
경계할계
猫
頭
縣
鈴
9
묘두현령-고양이 목에 방울달기/실행할 수 없는 헛된 논의
(卓上空論, 猫項懸鈴)
현
고양이묘
머리 두
매달 현
방울 령
猫
項
懸
鈴
2
묘항현령-고양이 목에 방울달기/실행할 수 없는 헛된 논의
(猫頭縣鈴, 卓上空論)
고양이묘
목 항
매달 현
방울 령
無
爲
徒
食
3
무위도식-아무 하는 일 없이 놀고 먹기만 함
없을 무
할 위
무리 도
먹을 식
刎
頸
之
交
7
문경지교-서로 죽음을 함께 할 수 있는 친한 벗(管鮑之交)
목벨 문
목 경
어조사지
사귈 교
勿
失
好
機
3
물실호기-좋은 기회를 놓치지 않음
말 물
잃을 실
좋을 호
틀 기
尾
生
之
信
5
미생지신-미생이라는 사람의 믿음/고지식하고 융통성이 없는 사람
(刻舟求劍)
꼬리 미
날 생
어조사지
믿을 신
美
酒
佳
果
미주가과-좋은 술과 좋은 과일
아름다울미
술 주
아름다울가
지경 계
博
覽
强
記
4
박람강기-동서고금을 읽고 내용을 잘 기억함(博學多識)
넓을 박
볼 람
굳셀 강
기록할기
磻
溪
隧
錄
2
반계수록-조선후기 유형원이 쓴 국가운영과 개혁을 논한 책
강이름반
시내 계
길 수
기록할록
反
面
敎
師
반면교사-다른 사람이나 사물의 잘못이나 허물에서 교훈을 얻음
돌이킬반
낯 면
가르칠교
스승 사
斑
衣
之
戱
반의지희-때때옷을 입고 놂/늙어서도 부모님을 즐겁게 해드림
(老萊之戱)
얼룩 반
옷 의
어조사지
즐길 희
反
哺
之
孝
반포지효-까마귀 새끼가 자라서 어미에게 먹이를 줌/부모봉양
돌이킬반
먹일 포
어조사지
효도 효
發
憤
忘
食
8
발분망식-일을 이루려고 끊임없이 분발함
쏠 발
분할 분
잊을 망
밥 식
防
禦
機
制
방어기제-불안, 욕구불만 등에 스스로 방어하기 위하여 자동적으로
취하는 행위
막을 방
막을 어
틀 기
절제할제
拜
金
思
想
배금사상-금을 숭상하는 세상/물질만능주의
절 배
쇠 금
생각 사
생각 상
杯
盤
狼
藉
배반낭자-술잔과 그릇이 어지러이 흩어져 있음/
술자리 끝난 뒤의 난잡한 모습
잔 배
소반 반
이리 상
깔개 자
杯
中
蛇
影
배중사영-술잔 속의 뱀/스스로 의혹에 빠져 고민함/
아무것도 아닌 일에 근심에 빠짐
잔 배
가운데중
뱀 사
그림자영
白
駒
過
隙
4
백구과극-흰 말이 지나가는 것을 문틈으로 봄/눈 깜빡할 사이/인생무상
흐니 백
망아지구
지날 과
틈 극
百
年
偕
老
4
백년해로-부부가 화락하며 함께 늙어감
일백 백
해 년
함께 해
늙을 로
白
面
書
生
2
백면서생-방안에서 글만 읽어 얼굴이 하얀 사람/세상물정을 모름
흰 백
낯 면
글 서
날 생
百
戰
老
將
백전노장-수 없이 전쟁터를 누빈 장수/경험이 많고 풍부함
일백 백
싸움 전
늙을 노
장수 장
伯
仲
之
勢
3
백중지세-형과 동생을 모를 정도로 기세가 비슷함
伯仲之間, 龍虎相搏, 難兄難弟)
맏 백
버금 중
어조사지
기세 세
百
尺
竿
頭
8
백척간두-백자나 되는 장대위에 올라섬/매우 위태로움
(風前燈火, 累卵之危)
일백 백
자 척
장대 간
머리 두
秉
之
性
3
병이지성-타고난 떳떳한 천성
잡을 병
떳떳할 이
떳떳할 이
성품 성
福
利
厚
生
복리후생-복지와 삶을 윤택하게 함
복 복
이로울리
두터울후
날 생
奉
檄
之
喜
6
봉격지희-부모를 모시는 사람이 고을의 원님이 된 기쁨/
부모봉양의 기쁨
받들 봉
격문 격
어조사지
기뿔 희
蓬
頭
亂
髮
3
봉두난발-다북쑥처럼 흐트러진 머리털
쑥 봉
머리 두
어지러울난
터럭 발
夫
婦
有
別
2
부부유별-남편과 아내는 분별/직분의 다름이 있어야함
지아비부
아내 부
있
동량지재-마룻대와 대들보/큰 인재(干城之材, 棟梁之器)
말룻대동
들보 량
어조사지
재목 재
東
北
工
程
동북공정-중국이 동북지역의 역사(고구려,발해)를 자신의 역사에
편입시키려는 계획
동녘 동
북녘 북
장인 공
한도 정
東
閃
西
忽
동섬서홀-동에 번쩍, 서에 번쩍 나타났다 사라짐/
여기저기 바쁘게 돌아다님
동녘 동
번쩍할섬
서녘 서
갑자기홀
董
狐
之
筆
4
동호지필-동호의 붓/
역사(사실)를 권세에 굽히지 않고 사실을 그대로 씀
바로잡을동
여우 호
어조사지
붓 필
燈
下
不
明
5
등하불명-등잔 밑이 어둡다
등 등
아래 하
아닐 불
밝을 명
麻
科
會
通
마과회통-조선 정조때 정약용이 홍역의 치료에 관해 펴낸 의학서
삼 마
과목 과
모일 회
통할 통
磨
斧
爲
針
4
마부위침-도끼를 갈아 바늘을 만듦/
어려운 일도 꾸준히 하면 이룰 수 있음
갈 마
도끼 부
할 위
바늘 침
磨
斧
作
針
10
마부작침-도끼를 갈아 바늘을 만듦
어려운 일도 꾸준히 하면 이룰 수 있음
갈 마
도끼 부
지을 작
바늘 침
麻
中
之
蓬
14
마중지봉-마밭의 쑥은 곧게 자람(환경의 중요성)(近墨者黑, 近朱者赤)
삼 마
가운제중
어조사지
쑥 봉
莫
如
敎
子
막여교자-자식을 가르치는 것보다 중요한 것은 없음
없을 막
같을 여
가르칠교
아들 자
莫
逆
之
友
막역지우-서로의 뜻을 거스르지 않는 친한 벗
(水魚之交, 金蘭之交, 管鮑之交)
없을 막
거스를역
어조사지
벗 우
萬
頃
蒼
波
만경창파-한없이 넓고 푸른 바다
일만 만
이랑 경
푸를 창
물결 파
萬
事
休
矣
2
만사휴의-모든 일이 끝났음/
모든 일이 실패로 돌아가 어찌해 볼 도리가 없음
일만 만
일 사
쉴 휴
어조사의
晩
時
之
歎
만시지탄-때가 늦음을 한탄함
늦을 만
때 시
어조사지
탄시할탄
望
雲
之
情
망운지정-구름을 보며 그리워함/고향의 부모님을 그리워함
바랄 망
구름 운
어조사지
뜻 정
麥
秀
之
嘆
4
맥수지탄-나라가 망한 것을 한탄함
보리 맥
빼어날수
어조사지
탄식할탄
孟
母
斷
機
맹모단기-맹자의 모가 베틀을 끊음/
학문을 그만두는 것을 꾸짖음(三遷之敎)
맏 맹
어미 모
끊을 단
틀 기
孟
母
三
遷
맹모삼천-맹자의 어머니가 교육을 위해 세 번 이사함
(孟母斷機, 斷機之戒)
맏 맹
어미 모
석 삼
옮길 천
明
若
觀
火
2
명약관화-불을 보듯이 밝게 보임(모든 것이 명백함)
밝을 명
같을 약
볼 관
불 화
毛
遂
自
薦
2
모수자천-모수가 스스로를 천거함/자기를 추천/
앞뒤를 모르고 나서는 사람
털 모
드디어수
스스로자
천거할천
沐
浴
齋
戒
목욕재계-부정을 타지 않도록 깨끗이 씻고 몸가짐을 가다듬음
모리감을목
목욕할욕
가지런할제
경계할계
猫
頭
縣
鈴
9
묘두현령-고양이 목에 방울달기/실행할 수 없는 헛된 논의
(卓上空論, 猫項懸鈴)
현
고양이묘
머리 두
매달 현
방울 령
猫
項
懸
鈴
2
묘항현령-고양이 목에 방울달기/실행할 수 없는 헛된 논의
(猫頭縣鈴, 卓上空論)
고양이묘
목 항
매달 현
방울 령
無
爲
徒
食
3
무위도식-아무 하는 일 없이 놀고 먹기만 함
없을 무
할 위
무리 도
먹을 식
刎
頸
之
交
7
문경지교-서로 죽음을 함께 할 수 있는 친한 벗(管鮑之交)
목벨 문
목 경
어조사지
사귈 교
勿
失
好
機
3
물실호기-좋은 기회를 놓치지 않음
말 물
잃을 실
좋을 호
틀 기
尾
生
之
信
5
미생지신-미생이라는 사람의 믿음/고지식하고 융통성이 없는 사람
(刻舟求劍)
꼬리 미
날 생
어조사지
믿을 신
美
酒
佳
果
미주가과-좋은 술과 좋은 과일
아름다울미
술 주
아름다울가
지경 계
博
覽
强
記
4
박람강기-동서고금을 읽고 내용을 잘 기억함(博學多識)
넓을 박
볼 람
굳셀 강
기록할기
磻
溪
隧
錄
2
반계수록-조선후기 유형원이 쓴 국가운영과 개혁을 논한 책
강이름반
시내 계
길 수
기록할록
反
面
敎
師
반면교사-다른 사람이나 사물의 잘못이나 허물에서 교훈을 얻음
돌이킬반
낯 면
가르칠교
스승 사
斑
衣
之
戱
반의지희-때때옷을 입고 놂/늙어서도 부모님을 즐겁게 해드림
(老萊之戱)
얼룩 반
옷 의
어조사지
즐길 희
反
哺
之
孝
반포지효-까마귀 새끼가 자라서 어미에게 먹이를 줌/부모봉양
돌이킬반
먹일 포
어조사지
효도 효
發
憤
忘
食
8
발분망식-일을 이루려고 끊임없이 분발함
쏠 발
분할 분
잊을 망
밥 식
防
禦
機
制
방어기제-불안, 욕구불만 등에 스스로 방어하기 위하여 자동적으로
취하는 행위
막을 방
막을 어
틀 기
절제할제
拜
金
思
想
배금사상-금을 숭상하는 세상/물질만능주의
절 배
쇠 금
생각 사
생각 상
杯
盤
狼
藉
배반낭자-술잔과 그릇이 어지러이 흩어져 있음/
술자리 끝난 뒤의 난잡한 모습
잔 배
소반 반
이리 상
깔개 자
杯
中
蛇
影
배중사영-술잔 속의 뱀/스스로 의혹에 빠져 고민함/
아무것도 아닌 일에 근심에 빠짐
잔 배
가운데중
뱀 사
그림자영
白
駒
過
隙
4
백구과극-흰 말이 지나가는 것을 문틈으로 봄/눈 깜빡할 사이/인생무상
흐니 백
망아지구
지날 과
틈 극
百
年
偕
老
4
백년해로-부부가 화락하며 함께 늙어감
일백 백
해 년
함께 해
늙을 로
白
面
書
生
2
백면서생-방안에서 글만 읽어 얼굴이 하얀 사람/세상물정을 모름
흰 백
낯 면
글 서
날 생
百
戰
老
將
백전노장-수 없이 전쟁터를 누빈 장수/경험이 많고 풍부함
일백 백
싸움 전
늙을 노
장수 장
伯
仲
之
勢
3
백중지세-형과 동생을 모를 정도로 기세가 비슷함
伯仲之間, 龍虎相搏, 難兄難弟)
맏 백
버금 중
어조사지
기세 세
百
尺
竿
頭
8
백척간두-백자나 되는 장대위에 올라섬/매우 위태로움
(風前燈火, 累卵之危)
일백 백
자 척
장대 간
머리 두
秉
之
性
3
병이지성-타고난 떳떳한 천성
잡을 병
떳떳할 이
떳떳할 이
성품 성
福
利
厚
生
복리후생-복지와 삶을 윤택하게 함
복 복
이로울리
두터울후
날 생
奉
檄
之
喜
6
봉격지희-부모를 모시는 사람이 고을의 원님이 된 기쁨/
부모봉양의 기쁨
받들 봉
격문 격
어조사지
기뿔 희
蓬
頭
亂
髮
3
봉두난발-다북쑥처럼 흐트러진 머리털
쑥 봉
머리 두
어지러울난
터럭 발
夫
婦
有
別
2
부부유별-남편과 아내는 분별/직분의 다름이 있어야함
지아비부
아내 부
있
추천자료
한자자격시험(한자교육진흥회) 사범한자-1500자
한자자격시험(한자교육진흥회) 사범한자(1500자)-훈음쓰기
한자자격시험(한자교육진흥회) 사범한자(1500자)-한자쓰기
한자자격시험(한자교육진흥회) 사범 한문문장
한자자격시험(한자교육진흥회) 사범 한자성어와 속담
한자자격시험(한자교육진흥회) 1급 배정한자(1200자)정리
한자자격시험(한자교육진흥회) 1급 배정한자(1200자)-훈음쓰기
한자자격시험(한자교육진흥회) 1급 배정한자(1200자)-한자쓰기
한자자격시험(한자교육진흥회) 1급 한문문장
한자자격시험(한자교육진흥회) 2급 배정한자(1000자)(필수700자포함)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