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목차
Ⅰ. 서론
1.연구배경 및 연구목적
2.기업소개 및 제품소개
Ⅱ. 본론
1. 거시환경 분석
1) 인구통계학적 환경
2) 정치적 환경
3) 경제적 환경
4) 문화적 환경
5) 기술적 환경
6) 소결론
2. 미시환경 분석
1) 기업
2) 공급
3) 고객
4) 경쟁사
5) 유통
6) 소결론
3. SWOT 분석
4. STP 분석
5. 프렌치카페 기존 4P 전략
6. 경쟁사 4P 전략 비교
7. 프렌치카페 새로운 4P 전략
1.연구배경 및 연구목적
2.기업소개 및 제품소개
Ⅱ. 본론
1. 거시환경 분석
1) 인구통계학적 환경
2) 정치적 환경
3) 경제적 환경
4) 문화적 환경
5) 기술적 환경
6) 소결론
2. 미시환경 분석
1) 기업
2) 공급
3) 고객
4) 경쟁사
5) 유통
6) 소결론
3. SWOT 분석
4. STP 분석
5. 프렌치카페 기존 4P 전략
6. 경쟁사 4P 전략 비교
7. 프렌치카페 새로운 4P 전략
본문내용
소비패턴의 변화가 두드러지는 현상으로 커피가격은 해마다 약간의 가격 변화가 있겠지만 꾸준히 상향안정세를 보일 전망이다. 국제 커피기구 홈페이지(http://www.ico.org/)
② 우리나라 커피믹스 시장의 동향
다음으로 우리나라 커피믹스 시장의 동향에 대해 살펴보자. 우리나라 최초의 커피믹스는 1976년에 동서식품에서 개발하였고, 그 이후로 동서식품이 커피믹스 시장을 독점해오고 있다. 국내 커피믹스 시장은 동서식품의 ‘맥심’과 한국네슬레가 1987년 내놓은 ‘테이스터스 초이스’라는 브랜드가 최근까지 8 대 2의 비율로 시장을 양분해왔으나 5년 넘게 이어진 이 같은 시장 구도는 2011년에 완전히 허물어졌다. 남양유업은 2010년 12월 ‘프렌치카페 카페믹스’의 판매를 시작하며 “합성품인 카제인나트륨 대신 진짜 무지방 우유를 넣은 제품”이라며 공격적 마케팅을 시작하면서 경쟁구도가 완전히 바뀌었다. 원두커피 시장이 커지며 상대적으로 커피믹스는 건강에 좋지 않다는 인식을 갖기 시작한 소비자들에게 ‘진짜 우유를 넣은 커피믹스가 몸에 좋다’는 남양유업의 광고는 호소력 있게 파고들었기 때문이다. 남양유업의 공세에 불쾌해하며 침묵을 지키던 동서식품은 결국 시장 분위기에 눌려 지난해 5월 커피믹스에 쓰던 카제인나트륨을 천연 카제인으로 바꾸었다. 시장조사업체 AC닐슨에 따르면 2011년 11월 대형마트의 커피믹스 월간 판매량에서 남양유업은 14.4%의 점유율로 기존에 2위였던 한국네슬레(4.4%)를 멀찌감치 따돌리고 동서식품(77.7%)을 뒤쫓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커피 원두의 가격이 해가 갈수록 상향 세를 이어가고 있다. 따라서 커피 제품의 가격 또한 상승되면서 소비자들의 구매 부담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커 보인다. 국내 커피 믹스 시장은 동서와 네슬레의 이파전이었던 경쟁 구도가 2010년 남양유업의 프렌치카페 카페믹스가 등장하면서 삼파전으로 이어졌다. 2012년 네슬레는 테이스터스초이스를 퇴출시키면서 국내 커피믹스 시장의 경쟁은 동서와 남양과의 구도로 굳어졌다.
3. 기업소개 및 제품소개
1) 기업 소개
남양유업은 1964년 세워졌다. 창업자는 홍두영 명예회장. 남양유업이라는 이름은 홍 회장 성의 본관(남양 홍씨)에서 따온 것이다. 1967년 국내 최초의 국산 조제분유인 남양 분유를 출시했다. 1978년 6월 주식을 증권거래소에 상장했다. 1991년 요구르트 불가리스를 선보였고 1996년에는 천연 DHA가 함유된 아이슈타인 우유를 개발해 판매하기 시작했다. 이 해에 조제분유 아기사랑 시리즈를 시중에 선보였다. 외환위기 직후인 1998년 11월 남양유업은 상업, 조흥, 시한은행 등 3개 은행에서 빌린 180억 원의 빚을 모두 갚아 부차비율을 0%로 떨어뜨리며 무차입 경영을 시작했다. 2000년 남양유업은 요구르트 이오를, 2004년에는 맛있는 우유GT를 각각 출시했다.
주요 제품으로는 분유(아기사랑秀, 임페리얼드림), 우유(맛있는 우유GT, 아이슈타인), 요구르트(불가리스, 이오), 음료(17차), 커피(프렌치카페) 등이 있다. 제품을 생산하는 공장은 천안공장, 공주공장, 경주공장, 나주공장 등 모두 5곳이다. 2010년 9월 기준으로 우유가 전체 매출의 63.2%를 차지하고 있으며 분유가 21.7%, 음료 등 기타 부분이 15.1%를 차지하고 있다. 남양유업 2011년 사업보고서 참고
2) 제품 소개
① 웰빙 커피, 프렌치카페 카페믹스
남양유업의 프렌치카페 카페믹스는 프림 속 화학접합성품인 카제인나트륨 대신 무지방우유를 넣어 만든 것으로 갈수록 건강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소비자의 니즈를 반영한 제품이다. 이를 통해 남양은 네슬레를 제치고 시장 진출 1년 만에 업계 2위를 달성하였다. 까다로운 한국 소비자들의 입맛을 사로잡기 위하여 남양은 커피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였다. 일례로, 대부분의 서유럽 국가를 방문하여 유명 바리스타와 커피 전문가들과의 인터뷰를 토대로 커피의 쓴맛은 줄이고, 향을 깊게 만드는 퀵타임 프렌치 로스팅 기법을 개발하였다. 옹고집으로 탄생한 \'프렌치카페 카페믹스\', 아이뉴스24, 2011년 9월 27일,
② 좋은 커피는 좋은 원두로부터
그 밖에도 음료의 가장 중요한 재료인 커피 원두 선별에도 많은 공을 들였다. 해발 1척 200미터 이상에서 수확한 1등급 페루산 엘살바도르 원두를 수입하여 최종적인 유통에 이르기까지 총 227가지를 검사하고 있으며, 원재료를 생산하는 업체에 안전 등급을 매기고, 등급이 낮은 업체는 퇴출시키고 있다.
③ 제품 라인업 프렌치 카페 홈페이지(www.frenchcafemix.com)
프렌치 카페 홈페이지(www.frenchcafemix.com)
일반, 블랙, 1/2칼로리, 아이스커피, 클래식, 아라비카, 루카(아메리카노) 등 현재까지 총 18종류가 나와 있다.
Ⅱ. 본론
1. 거시환경 분석
1) 인구통계학적 환경
설탕과 우유가 귀하던 시절 커피믹스는 마신다는 것 자체만으로 사람들에게 신분을 드러내기도 했었다. 국민 소득이 높아지고 외식문화의 발전과 함께 새로운 커피문화가 형성되면서 커피에 대한 사랑이 커져가고 있다. 우리나라 국민 1인당 커피 소비량은 1975년 0.1kg에서 시작해 1988년 서울올림픽이 열리던 해 1kg을 넘었다. 식품의약품안전청에 따르면 2011년 우리 국민이 마신 커피는 하루 평균 300톤으로 에스프레소 3700만잔 분량이다. 원두시장이 급속히 커지고는 있지만 커피시장의 주류는 여전히 커피믹스다. 식품의약품안전청(식약청) 홈페이지(www.mfds.go.kr)>정보자료>분야별 정보>식품
한국인이 커피를 왜 마시는 지에 대한 이유로 피로 회복을 위해서라는 답변이 60.1%로 가장 높았고, 그 외로는 우울할 때, 두통해소, 숙취해소 등의 이유로 마신다는 보건복지부의 분석결과가 있었다. 또한 커피를 언제 마시는 가에 대한 자료는 블로그 리서치를 통해 분석한 결과, 주말에 데이트를 할 때, 그냥 생각날 때, 날씨가 꿀꿀할 때, 달달한 게먹고 싶을 때, 점심 먹고 난 후에 등 이제 커피가 한국인의 생활에 완전히 녹아들었음을 보여주고 있다. 성별 별로 커피를 마시는 이유를 조사한 결과 남성은 1위로 졸음을
② 우리나라 커피믹스 시장의 동향
다음으로 우리나라 커피믹스 시장의 동향에 대해 살펴보자. 우리나라 최초의 커피믹스는 1976년에 동서식품에서 개발하였고, 그 이후로 동서식품이 커피믹스 시장을 독점해오고 있다. 국내 커피믹스 시장은 동서식품의 ‘맥심’과 한국네슬레가 1987년 내놓은 ‘테이스터스 초이스’라는 브랜드가 최근까지 8 대 2의 비율로 시장을 양분해왔으나 5년 넘게 이어진 이 같은 시장 구도는 2011년에 완전히 허물어졌다. 남양유업은 2010년 12월 ‘프렌치카페 카페믹스’의 판매를 시작하며 “합성품인 카제인나트륨 대신 진짜 무지방 우유를 넣은 제품”이라며 공격적 마케팅을 시작하면서 경쟁구도가 완전히 바뀌었다. 원두커피 시장이 커지며 상대적으로 커피믹스는 건강에 좋지 않다는 인식을 갖기 시작한 소비자들에게 ‘진짜 우유를 넣은 커피믹스가 몸에 좋다’는 남양유업의 광고는 호소력 있게 파고들었기 때문이다. 남양유업의 공세에 불쾌해하며 침묵을 지키던 동서식품은 결국 시장 분위기에 눌려 지난해 5월 커피믹스에 쓰던 카제인나트륨을 천연 카제인으로 바꾸었다. 시장조사업체 AC닐슨에 따르면 2011년 11월 대형마트의 커피믹스 월간 판매량에서 남양유업은 14.4%의 점유율로 기존에 2위였던 한국네슬레(4.4%)를 멀찌감치 따돌리고 동서식품(77.7%)을 뒤쫓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커피 원두의 가격이 해가 갈수록 상향 세를 이어가고 있다. 따라서 커피 제품의 가격 또한 상승되면서 소비자들의 구매 부담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커 보인다. 국내 커피 믹스 시장은 동서와 네슬레의 이파전이었던 경쟁 구도가 2010년 남양유업의 프렌치카페 카페믹스가 등장하면서 삼파전으로 이어졌다. 2012년 네슬레는 테이스터스초이스를 퇴출시키면서 국내 커피믹스 시장의 경쟁은 동서와 남양과의 구도로 굳어졌다.
3. 기업소개 및 제품소개
1) 기업 소개
남양유업은 1964년 세워졌다. 창업자는 홍두영 명예회장. 남양유업이라는 이름은 홍 회장 성의 본관(남양 홍씨)에서 따온 것이다. 1967년 국내 최초의 국산 조제분유인 남양 분유를 출시했다. 1978년 6월 주식을 증권거래소에 상장했다. 1991년 요구르트 불가리스를 선보였고 1996년에는 천연 DHA가 함유된 아이슈타인 우유를 개발해 판매하기 시작했다. 이 해에 조제분유 아기사랑 시리즈를 시중에 선보였다. 외환위기 직후인 1998년 11월 남양유업은 상업, 조흥, 시한은행 등 3개 은행에서 빌린 180억 원의 빚을 모두 갚아 부차비율을 0%로 떨어뜨리며 무차입 경영을 시작했다. 2000년 남양유업은 요구르트 이오를, 2004년에는 맛있는 우유GT를 각각 출시했다.
주요 제품으로는 분유(아기사랑秀, 임페리얼드림), 우유(맛있는 우유GT, 아이슈타인), 요구르트(불가리스, 이오), 음료(17차), 커피(프렌치카페) 등이 있다. 제품을 생산하는 공장은 천안공장, 공주공장, 경주공장, 나주공장 등 모두 5곳이다. 2010년 9월 기준으로 우유가 전체 매출의 63.2%를 차지하고 있으며 분유가 21.7%, 음료 등 기타 부분이 15.1%를 차지하고 있다. 남양유업 2011년 사업보고서 참고
2) 제품 소개
① 웰빙 커피, 프렌치카페 카페믹스
남양유업의 프렌치카페 카페믹스는 프림 속 화학접합성품인 카제인나트륨 대신 무지방우유를 넣어 만든 것으로 갈수록 건강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소비자의 니즈를 반영한 제품이다. 이를 통해 남양은 네슬레를 제치고 시장 진출 1년 만에 업계 2위를 달성하였다. 까다로운 한국 소비자들의 입맛을 사로잡기 위하여 남양은 커피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였다. 일례로, 대부분의 서유럽 국가를 방문하여 유명 바리스타와 커피 전문가들과의 인터뷰를 토대로 커피의 쓴맛은 줄이고, 향을 깊게 만드는 퀵타임 프렌치 로스팅 기법을 개발하였다. 옹고집으로 탄생한 \'프렌치카페 카페믹스\', 아이뉴스24, 2011년 9월 27일,
② 좋은 커피는 좋은 원두로부터
그 밖에도 음료의 가장 중요한 재료인 커피 원두 선별에도 많은 공을 들였다. 해발 1척 200미터 이상에서 수확한 1등급 페루산 엘살바도르 원두를 수입하여 최종적인 유통에 이르기까지 총 227가지를 검사하고 있으며, 원재료를 생산하는 업체에 안전 등급을 매기고, 등급이 낮은 업체는 퇴출시키고 있다.
③ 제품 라인업 프렌치 카페 홈페이지(www.frenchcafemix.com)
프렌치 카페 홈페이지(www.frenchcafemix.com)
일반, 블랙, 1/2칼로리, 아이스커피, 클래식, 아라비카, 루카(아메리카노) 등 현재까지 총 18종류가 나와 있다.
Ⅱ. 본론
1. 거시환경 분석
1) 인구통계학적 환경
설탕과 우유가 귀하던 시절 커피믹스는 마신다는 것 자체만으로 사람들에게 신분을 드러내기도 했었다. 국민 소득이 높아지고 외식문화의 발전과 함께 새로운 커피문화가 형성되면서 커피에 대한 사랑이 커져가고 있다. 우리나라 국민 1인당 커피 소비량은 1975년 0.1kg에서 시작해 1988년 서울올림픽이 열리던 해 1kg을 넘었다. 식품의약품안전청에 따르면 2011년 우리 국민이 마신 커피는 하루 평균 300톤으로 에스프레소 3700만잔 분량이다. 원두시장이 급속히 커지고는 있지만 커피시장의 주류는 여전히 커피믹스다. 식품의약품안전청(식약청) 홈페이지(www.mfds.go.kr)>정보자료>분야별 정보>식품
한국인이 커피를 왜 마시는 지에 대한 이유로 피로 회복을 위해서라는 답변이 60.1%로 가장 높았고, 그 외로는 우울할 때, 두통해소, 숙취해소 등의 이유로 마신다는 보건복지부의 분석결과가 있었다. 또한 커피를 언제 마시는 가에 대한 자료는 블로그 리서치를 통해 분석한 결과, 주말에 데이트를 할 때, 그냥 생각날 때, 날씨가 꿀꿀할 때, 달달한 게먹고 싶을 때, 점심 먹고 난 후에 등 이제 커피가 한국인의 생활에 완전히 녹아들었음을 보여주고 있다. 성별 별로 커피를 마시는 이유를 조사한 결과 남성은 1위로 졸음을
추천자료
인터파크 마케팅 전략 분석
신궁전통한과의 마케팅 전략 수립
[마케팅/광고론A+]남양유업 악마의 유혹 프렌치카페 마케팅전략 분석
프렌치 카페,네슬레,동서식품,맥심,커피시장분석,커피산업,브랜드마케팅,서비스마케팅,글로벌...
[현대사회와 사회문제] 정보화사회와 청소년문제 - N세대,N세대의특성,N세대의가치관,N세대의...
남양유업의 커피믹스 시장 진출과 발전, 마케팅에 대하여 - 남양유업, 마케팅전략, 기업분석...
프렌치카페 카페믹스 마케팅전략 - 남양유업 프렌치카페 카페믹스 마케팅사례분석과 프렌치카...
농심 강글리오커피(Ganglio Coffee) 마케팅실패 사례분석과 강글리오 실패극복위한 새로운 대...
SNS의 개념과 특성, SNS-싸이월드, SNS-트위터,싸이월드의 특징,브랜드마케팅,서비스마케팅,...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