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간호학 담낭염 간호과정 3개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성인간호학 담낭염 간호과정 3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1. 사례연구 --------------------------------------------------- 1p
1) 서론
2) 문헌고찰

2. 간호 정보 조사지 ----------------------------------------- 4p


3. 검사 -------------------------------------------------------- 11p
1) 진단검사
2) 특수검사

4. 치료요법 --------------------------------------------------- 12p
1) 약물 치료 현황
2) 기타 치료 현황


5. 간호과정(3개) -------------------------------------------------- 15p


6. 참고문헌 -------------------------------------------------- 21p

본문내용

파 진통제 좀 놔주면 안될까?”라고 주관적 호소함.
치료적
처방된 진통제를 사용한다.
- 2021년 10월 12일 18:10 PRN TRD 1@ + N/S 100ml inj.
-> 2021년 10월 12일 18:50 NRS 3점으로 감소하였음.
화제 전환을 통해 통증 이완을 유도한다.
> 환자분이 좋아하시는 TV 프로그램을 틀어드리는 것을 통해 이완요법을 시행함.
교육적
자가통증조절장치 (Patient controlled analgesia, PCA) 사용방법과 시기를 교육한다.
-> 2021년 10월 12일 15:10 PCA keep state. PCA 사용법 설명함.
대상자에게 심호흡을 교육한다.
-> 2021년 10월 12일 15:10 심호흡 교육함.
간호평가
단기 목표 달성함.
장기 목표 달성함.
5. 간호과정
건강
사정
날 짜
2021년 10월 12일
주관적 자료
“약간 더운 거 같아.”
객관적 자료
- 2021.10.12. 13:00PM, OP LSC = 복강경담낭절제술(복강경쓸개제거술), Abdomen.
- 시진, 촉진 결과 얼굴이 붉은 색이며, 얼굴 주변이 따뜻함.
수술 후 1일 째 체온이 37.5℃로 측정됨.
WBC(10.13), ESR(10.13), CRP(10.11) 모두 상승값을 보임.WBC
ESR
CRP
13.06
49
0.98
간호진단
2. 침습적 처치와 관련된 감염 위험성
간호목표
장기 : 대상자의 퇴원 시 WBC, ESR, CRP 수치 모두 정상이다.
단기 : 대상자는 1일 이내 체온이 37.0℃ 이하로 감소한다.
간호계획
진단적
체온을 주기적으로 사정한다.
이론적 근거
체온은 감염의 징후를 관찰할 수 있는 가장 간단한 방법이다.
체내 혈액 검사를 통해 감염을 확인할 수 있는 가장 확실한 방법이다.
WBC, ESR, CRP 혈액 검사를 시행한다.
항생제 투여를 통해 감염 관련 수치를 낮추도록 한다.
치료적
처방된 항생제를 투여한다.
Foley catheter은 요로감염을 야기할 수 있다.
Foley catheter의 삽입부위 감염 예방을 시행한다.
더 악화되지 않도록 즉각적인 간호를 하기 위해서이다.
교육적
대상자에게 수술 부위 피부 상태가 이상할 경우 알리도록 교육한다.
Foley line의 부적절한 관리는 요로감염을 야기한다.
대상자에게 Foley Line에 대해 교육한다.
간호수행
진단적
체온을 주기적으로 사정한다.
2021년 10월 12일
시간
BP
P
R
T ℃
08:00
140-90
78
20
37.0
12:00
137-83
68
20
36.7
13:00
130-80
64
20
36.6
15:00
127-88
65
20
36.4
15:30
131-85
64
20
36.6
16:30
124-82
62
20
37.2
18:00
130-86
60
20
37.5
24:00
130-80
64
20
37.7
WBC, ESR, CRP 혈액 검사를 시행한다.
검사명
평균값
날짜
검사결과
WBC
4-10
10^3/uL
10
/10
10
/12
10/10 11.26 10^3/uL
10/12 13.06 10^3/uL
ESR
0-15 mm/hr
10/11
49 mm/hr
CRP
0-0.5
mEq/L
10/13
0.98 mEq/L
치료적
항생제를 투여한다.
2021년 10월 12일 크라목신주 1.2g IV 시행함.
혈액 검사 결과 염증 수치와 수술 고 온 후 염증을 예방하기 위해 항생제 투여한다고 설명함.
foley catheter의 삽입부위 감염 예방을 시행한다.
2021년 10월 13일
foley catheter 피부 사정함. foley line 줄 꼬임 없음. 소변주머니 침상 아래로 향해있음.
교육적
대상자에게 수술 부위 피부 상태가 이상할 경우 알리도록 교육한다.
2021년 10월 13일
수술 부위를 직접 만져봤을 때 따뜻하고 부은 거 같을 때 간호사실로 바로 연락해달라고 교육하였음.
대상자에게 Foley Line에 대해 교육한다.
2021년 10월 13일
Foley line이 항상 꼬이지 않도록 하며, 소변 주머니는 절대로 침상 위로 올라오면 안되며, 혹시라도 선에 문제가 생기면 간호사실로 바로 연락해달라고 교육하였음.
간호평가
단기 목표 달성함.
장기 목표 달성함.
건강
사정
날 짜
2021년 10월 12일
주관적 자료
“수술 한 곳도 아프고, 이거 소변주머니 맞나? 그것 때문에 움직이기 힘들어.”
“자꾸 힘이 없어 늘어지는거 같아요. 피곤해요.”
“밥을 잘 챙겨먹는 편은 아니에요. 그냥 배고프면 먹어요.”
“아침은 워낙에 안 먹으니까 신청 빼주세요.”
“따로 비타민 같은것도 안 먹어요.”
객관적 자료
OP 2일차임에도 불구하고 통증을 호소하며, Foley catheter을 삽입 중임.
전해질 Na, Ca, Cl, Protein 수치 저하됨.
공복 당수치 129.6 임.
문진결과 평소 식이를 챙겨먹지 않으며, 입원 기간 동안 힘 없이 축 늘어진 모습을 보임.
간호진단
3. 식이습관과 관련된 전해질 불균형 위험성
간호목표
장기) 퇴원시까지 전해질 농도를 정상범위로 돌려놓는다.
단기) 5일 이내 전해질 수치를 정상 범위로 돌려놓는다.
간호계획
진단적
전해질 수치를 검사한다.
이론적 근거
영양상태는 신체 회복에 영향을 미친다.
욕창(Braden Scale)을 사정한다.
영양불균형과 함께 나타날 수 있는 욕창을 사정한다.
치료적
수액요법을 시행한다.
수액요법을 통해 부족한 수분 및 전해질을 보충한다.
침상 sild rail을 올려놓는다.
낙상 예방을 위해 침상 sild rail을 올려둔다.
교육적
당뇨환자 식사방법에 대해 교육하기.
당뇨병은 식습관의 개선이 요구되는 만성질환이다.
간호수행
진단적
2021년 10월 13일 09:00
검사명
평균값
날짜
검사결과
Na+
135-145mEq/L
10/13
136mEq/L
Ca+
9~11mg/dl
10/13
8.45 mg/dl
Cl-
98-106mEq/L
10/13
108mEq/L
Protein
6.0~8.0g/dL
10/13
5.5g/dL
2021년 10월 12일 08:40
감각인지 : 장애없음 (4점)
습기 : 거의 습하지 않음 (4점)
활동 : 침상안정 (1점)
움직임 : 때
  • 가격7,000
  • 페이지수21페이지
  • 등록일2023.08.20
  • 저작시기2022.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2093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