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존 로크의 교육론
본문내용
할 수 있는 모든 주의와 방법을 다 동원해서 아이들의 교육을 감시하고 감독하는 사람에 의해 아이의 정서에 정착되어야 한다.
46 낙담(Dejected)
˚반면에 아이들을 너무 엄격하게 관리 감독함으로써 아이들의 정신이 속박되거나 의기소침해지고 좌절된다면, 그들은 모든 활기와 근면을 상실하고 앞의 경우보다 더 나쁜 상태에 놓이게 된다.
버릇없이 날뛰는 아이들 중에는 그대도 활기와 근면을 상실하고 앞의 경우보다 더 나쁜 상태에 놓이게 된다.
버릇없이 날뛰는 아이들 중에는 그래도 활기와 기상은 살아 있어서 바른 길로 인도되면 때로는 유능하고 위대한 사람이 되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낙담한 정신들, 겁먹고 무기력하고 의기소침한 아이들은 나중에 자라서 무언가를 성취할 가능성이 거의 없다.
이건 두 가지 극단적인 위험을 피하는 것이야 말로 위대한 교육기술로서, 내 생각에는, 어떻게 하면 아이의 기분을 편하게 하고 활기차고 자유롭게 유지하면서 동시에 마음속으로 원하는 부적절한 욕망을 억제하고 하기 싫지만 해야 할 일들을 하도록 만들 것인지, 이들 서로 모순되는 듯 보이는 두 가지를 어떻게 조화시킬 것인가에 진정한 교육의 비밀이 들어 있다.
47 매질
호되게 야단을 치거나 회초리를 드는 것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느슨하고 손쉬운 방법이다. 이것은 교육적으로 가장 부적절한 방법이다.
48 이러한 종류의 체벌은 육체적, 현세적 쾌락에 탐닉하려는 우리의 타고난 성향과, 어떻게 해서든 고통을 모면하려는 우리의 타고난 성향을 극복하는 데 전혀 도움이 되지 않고, 오히려 이러한 성향을 조장한다. 잘못을 범한 것에 대한 부끄러움이 육체적 고통 이상으로 아이에게 영향을 미치지 못할 때에는 어떤 종류의 체벌도 아이들에겐 도움이 될 수 없다고 생각한다.
49 처음에는 흥미를 갖고 받아들이던 일도 그것 때문에 매를 맞고 꾸중을 듣고 괴롭힘을 당하게 되면 싫어지게 된다는 것은 너무나 당연한 일로 보인다. 어른도 이러한 방법으로 어떤 것도 기꺼이 받아들이게 할 수 없을 것이다. 욕지기 나는 약을 먹는 데 쓰는 컵을 보게 되면 누구나 속이 메스꺼워진다. 그래서 그 컵의 모양이 아무리 멋있고 좋은 재질로 만들어지고 아무리 깨끗하다고 하더라도, 그 컵으로는 아무것도 마시고 싶지 않아질 것이다.
50 이러한 종류의 노예적 훈련은 노예근성을 길러낸다. 회초리의 공포가 아이를 짓누르고 있는 동안에는 아이들은 순종하고 또한 순종하는 척하지만, 일단 그 회초리의 공포가 제거되면, 그리고 무모의 시야에서 벗어나서 처벌을 받지 않을 것이란 확신이 서게 되면, 아이들은 더욱 제멋대로 행동하게 되므로, 이러한 방법으로는 그 성향은 결코 바뀌지 않고 반대로 강화되고 증대될 것이다. 그리고 이런 식으로 속박을 당한 후에는 보통 더욱 강력하게 폭발한다.
51 만약 아이를 지나치게 엄격하게 다룬다면 완전히 기가 꺽여버려 우울해 하는 아이가 되어버릴 수도 있다.
무기력하고 활기 없는 아이들은, 그들이 시끄럽게 떠들거나 소란을 피우지 않는다는 이유로, 칭찬하는 어리석은 어른들은 이런 아이의 ‘자연스런 침착함’을 좋아할 수도 있겠지만, 이런 아이들은 결국에는 자기 친구들 사이에서는 불쾌한 존재로 여겨지고 평생동안 그 자신에게나 남들에게나 쓸모 없는 존재가 될 것이다.
52 그러므로 매질과 모든 종류의 노예적인 체벌들은 아이를 현명하고 선량하고 순진한 사람으로 키우려는 교육에 사용되기에 부적합한 훈련방식이다. 따라서 이러한 방법은 함부로 사용해서는 안 되며, 사용하더라도 극히 제한적으로, 그것도 극히 중대한 경우와 극단적인 경우에 대해서만 사용해야 한다.
(그래야만, 아이는 제한적이고 중대한, 극단적인 상황과 매질처벌을 연결시켜 생각하게 된다.)
나는 작은 소녀들이 몇 시간씩이나 머리를 맞대고 ‘공기놀이(dibstones)를 연습하면서 그것을 잘해 보려고 굉장히 애를 쓰고 있는 것을 본 적이 있다. 그것을 보면서 나는, 어른들이 조금만 머리를 쓴다면 아이들이 좀 더 유용한 어떤 것을 습득하기 위해 노력하도록 만들 수 있을 텐데 그렇게 하지 않는 것은 모두 어른들의 잘못과 태만 때문이라 생각이 들었다.
아이는 어른들처럼 게을러지기가 쉽지 않다. 아이의 분주한 기질을 일부분 유익한 일을 배우는 데로 돌리고 있지 않다면, 그것은 전적으로 어른들의 책임이다. 만약 어른들이 이 작은 흉내쟁이들이 따라서 하고 싶어 하는 기분의 절반만 유익한 일이 쏟도록 지도해 준다면, 아이들은 현재 즐겨 하고 있는 놀이처럼 즐거운 기분으로 그 일에 전념하게 될 것이다.
보상(Rewards)
아이들이 좋아하는 것을 상으로 주면서 그들의 환심을 사는 것도 마찬가지로 신중히 피해야 한다.
자기 자식이 책을 읽게 하려고 사과나 설탕에 절인 자두 등 그가 제일 좋아하는 것을 주는 부모는 자식의 쾌락 추구 행위를 승인함과 동시에 모든 수단과 방법을 다 동원해서 억제하고 근절해야 할 위험한 성향을 오히려 조장하고 있는 것이다.
당신이 한편으로 부정적인 성향을 억제하려고 하면서 다른 한편에서 스스로 그런 성향을 만족시켜 주려고 타협하는 한, 당신은 아이에게그러한 성향을 극복하는 법을 가르쳐 줄 수 없다. 아이가 선량하고 현명하며 유덕한 사람으로 키우기 위해서는 그가 자신의 욕망을 억제하고, 그의 이성이 반대로 하도록 충고하고 또한 그의 의무가 반대로 하기를 요구할 때 언제든지, 부(富)와 화려한 옷, 미각을 즐겁게 하는 것들을 거부하는 법을 배우도록 해야 한다.
아이에게 돈을 줌으로써 그가 당연히 해야할 일을 하도록 유혹하거나, 맛있는 음식을 줌으로써 그가 공부하는 수고를 보상해 주거나, 좋은 옷이나 신발을 사주겠다고 약속하면서 이런 저런 사소한 일을 시키는 부모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보상을 제안하는 것은 결국 그런 것들이 그들이 추구해야할 좋은 대상임을 인정하게 하고, 그런 것들을 통하여 그들의 욕망을 부추기며, 아이들로 하여금 그런것들에서 자신의 행복을 찾도록 길들이는 것이 아니고 무엇이겠는가?
53 아이들에게 ‘무해한 기쁨’을 줄 수 있는 것은 무엇이든지 충분히 즐기는 가운데 그들의 삶이 최대한 즐겁고 유쾌하도록 해주어야 한다.
56 평판(Reputation)
그것은
46 낙담(Dejected)
˚반면에 아이들을 너무 엄격하게 관리 감독함으로써 아이들의 정신이 속박되거나 의기소침해지고 좌절된다면, 그들은 모든 활기와 근면을 상실하고 앞의 경우보다 더 나쁜 상태에 놓이게 된다.
버릇없이 날뛰는 아이들 중에는 그대도 활기와 근면을 상실하고 앞의 경우보다 더 나쁜 상태에 놓이게 된다.
버릇없이 날뛰는 아이들 중에는 그래도 활기와 기상은 살아 있어서 바른 길로 인도되면 때로는 유능하고 위대한 사람이 되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낙담한 정신들, 겁먹고 무기력하고 의기소침한 아이들은 나중에 자라서 무언가를 성취할 가능성이 거의 없다.
이건 두 가지 극단적인 위험을 피하는 것이야 말로 위대한 교육기술로서, 내 생각에는, 어떻게 하면 아이의 기분을 편하게 하고 활기차고 자유롭게 유지하면서 동시에 마음속으로 원하는 부적절한 욕망을 억제하고 하기 싫지만 해야 할 일들을 하도록 만들 것인지, 이들 서로 모순되는 듯 보이는 두 가지를 어떻게 조화시킬 것인가에 진정한 교육의 비밀이 들어 있다.
47 매질
호되게 야단을 치거나 회초리를 드는 것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느슨하고 손쉬운 방법이다. 이것은 교육적으로 가장 부적절한 방법이다.
48 이러한 종류의 체벌은 육체적, 현세적 쾌락에 탐닉하려는 우리의 타고난 성향과, 어떻게 해서든 고통을 모면하려는 우리의 타고난 성향을 극복하는 데 전혀 도움이 되지 않고, 오히려 이러한 성향을 조장한다. 잘못을 범한 것에 대한 부끄러움이 육체적 고통 이상으로 아이에게 영향을 미치지 못할 때에는 어떤 종류의 체벌도 아이들에겐 도움이 될 수 없다고 생각한다.
49 처음에는 흥미를 갖고 받아들이던 일도 그것 때문에 매를 맞고 꾸중을 듣고 괴롭힘을 당하게 되면 싫어지게 된다는 것은 너무나 당연한 일로 보인다. 어른도 이러한 방법으로 어떤 것도 기꺼이 받아들이게 할 수 없을 것이다. 욕지기 나는 약을 먹는 데 쓰는 컵을 보게 되면 누구나 속이 메스꺼워진다. 그래서 그 컵의 모양이 아무리 멋있고 좋은 재질로 만들어지고 아무리 깨끗하다고 하더라도, 그 컵으로는 아무것도 마시고 싶지 않아질 것이다.
50 이러한 종류의 노예적 훈련은 노예근성을 길러낸다. 회초리의 공포가 아이를 짓누르고 있는 동안에는 아이들은 순종하고 또한 순종하는 척하지만, 일단 그 회초리의 공포가 제거되면, 그리고 무모의 시야에서 벗어나서 처벌을 받지 않을 것이란 확신이 서게 되면, 아이들은 더욱 제멋대로 행동하게 되므로, 이러한 방법으로는 그 성향은 결코 바뀌지 않고 반대로 강화되고 증대될 것이다. 그리고 이런 식으로 속박을 당한 후에는 보통 더욱 강력하게 폭발한다.
51 만약 아이를 지나치게 엄격하게 다룬다면 완전히 기가 꺽여버려 우울해 하는 아이가 되어버릴 수도 있다.
무기력하고 활기 없는 아이들은, 그들이 시끄럽게 떠들거나 소란을 피우지 않는다는 이유로, 칭찬하는 어리석은 어른들은 이런 아이의 ‘자연스런 침착함’을 좋아할 수도 있겠지만, 이런 아이들은 결국에는 자기 친구들 사이에서는 불쾌한 존재로 여겨지고 평생동안 그 자신에게나 남들에게나 쓸모 없는 존재가 될 것이다.
52 그러므로 매질과 모든 종류의 노예적인 체벌들은 아이를 현명하고 선량하고 순진한 사람으로 키우려는 교육에 사용되기에 부적합한 훈련방식이다. 따라서 이러한 방법은 함부로 사용해서는 안 되며, 사용하더라도 극히 제한적으로, 그것도 극히 중대한 경우와 극단적인 경우에 대해서만 사용해야 한다.
(그래야만, 아이는 제한적이고 중대한, 극단적인 상황과 매질처벌을 연결시켜 생각하게 된다.)
나는 작은 소녀들이 몇 시간씩이나 머리를 맞대고 ‘공기놀이(dibstones)를 연습하면서 그것을 잘해 보려고 굉장히 애를 쓰고 있는 것을 본 적이 있다. 그것을 보면서 나는, 어른들이 조금만 머리를 쓴다면 아이들이 좀 더 유용한 어떤 것을 습득하기 위해 노력하도록 만들 수 있을 텐데 그렇게 하지 않는 것은 모두 어른들의 잘못과 태만 때문이라 생각이 들었다.
아이는 어른들처럼 게을러지기가 쉽지 않다. 아이의 분주한 기질을 일부분 유익한 일을 배우는 데로 돌리고 있지 않다면, 그것은 전적으로 어른들의 책임이다. 만약 어른들이 이 작은 흉내쟁이들이 따라서 하고 싶어 하는 기분의 절반만 유익한 일이 쏟도록 지도해 준다면, 아이들은 현재 즐겨 하고 있는 놀이처럼 즐거운 기분으로 그 일에 전념하게 될 것이다.
보상(Rewards)
아이들이 좋아하는 것을 상으로 주면서 그들의 환심을 사는 것도 마찬가지로 신중히 피해야 한다.
자기 자식이 책을 읽게 하려고 사과나 설탕에 절인 자두 등 그가 제일 좋아하는 것을 주는 부모는 자식의 쾌락 추구 행위를 승인함과 동시에 모든 수단과 방법을 다 동원해서 억제하고 근절해야 할 위험한 성향을 오히려 조장하고 있는 것이다.
당신이 한편으로 부정적인 성향을 억제하려고 하면서 다른 한편에서 스스로 그런 성향을 만족시켜 주려고 타협하는 한, 당신은 아이에게그러한 성향을 극복하는 법을 가르쳐 줄 수 없다. 아이가 선량하고 현명하며 유덕한 사람으로 키우기 위해서는 그가 자신의 욕망을 억제하고, 그의 이성이 반대로 하도록 충고하고 또한 그의 의무가 반대로 하기를 요구할 때 언제든지, 부(富)와 화려한 옷, 미각을 즐겁게 하는 것들을 거부하는 법을 배우도록 해야 한다.
아이에게 돈을 줌으로써 그가 당연히 해야할 일을 하도록 유혹하거나, 맛있는 음식을 줌으로써 그가 공부하는 수고를 보상해 주거나, 좋은 옷이나 신발을 사주겠다고 약속하면서 이런 저런 사소한 일을 시키는 부모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보상을 제안하는 것은 결국 그런 것들이 그들이 추구해야할 좋은 대상임을 인정하게 하고, 그런 것들을 통하여 그들의 욕망을 부추기며, 아이들로 하여금 그런것들에서 자신의 행복을 찾도록 길들이는 것이 아니고 무엇이겠는가?
53 아이들에게 ‘무해한 기쁨’을 줄 수 있는 것은 무엇이든지 충분히 즐기는 가운데 그들의 삶이 최대한 즐겁고 유쾌하도록 해주어야 한다.
56 평판(Reputation)
그것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