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속에 나타난 교육사상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⑴플라톤의 󰡔국가론(國家論)』에서
⑵베이큰의 󰡔신기관(Novum Orgarum)』에서
⑶존로크의 󰡔교육사상(Some Thoughts concerning Education)』에서
⑷루소의 󰡔민약론(民約論)󰡕과 󰡔에밀(Emile)』에서
⑸스펜서의 󰡔교육론(敎育論)에서
⑹헉슬리의 󰡔과학과 교육(Science and Education)󰡕에서

본문내용

사상은 1860년의 교육론에서 엿볼 수 있다.
그의 의하면 교육의 목적은 완전한 생활을 준비시키는 데 있다고 하였다. 여기서 ‘완전한 생활‘이란 현실의 행복한 생활을 말하는 것이다. 그에 의하면 교육은 ‘어떻게 살 것인가’하는 사는 방법을 아동에게 가르쳐야 한다고 하였다. 이 교육론은 4편의 논문으로 되어 있는 바, 제 1장은 ‘어떤 지식이 가장 가치있는가?’, 제 2장은 ‘知育論’, 제3장은 ‘德育論’이 그것이다. 이들은 영국 및 미국에 지대한 영향을 주었다.
⑹헉슬리의 과학과 교육(Science and Education)에서
헉슬리는 그의 저서인 과학과 교육에서 교육을 정의하되, “교육은 자연의 법칙에 따라서 지식을 교수하고(여기서 자연이라고 하는 것은 물체와 물리의 힘을 의미할 뿐 아니라 사람과 사람의 관습을 의미한다) 사람의 감정과 의지를 자연의 법칙과 일치하게 만드는 것이다”라고 하였다. 헉슬리는 자연과 과학이라는 지식이 인류행복의 필수조건이며, 더욱 현대생활에 필요한 교양이라는 신념을 가고 과학교육의 필요성을 역설하였다.
#참고문헌
Adolph E.Meyer 20세기 교육의 사조, 대구, 이문출판사
조남규, 서양교육사, 서울, 교육과학사
  • 가격9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11.04.28
  • 저작시기2011.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7292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