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삼국시대의 교육사상가
고려의 교육사상가
조선시대의 성리학적 교육사상가
조선시대 실학적 교육사상가
조선말기의 교육사상가
해방후의 교육사상가
그리스의 교육사상가
중세의 교육사상가
인문주의 교육사상가
실학주의 교육사상가
계몽주의의 교육사상가
고려의 교육사상가
조선시대의 성리학적 교육사상가
조선시대 실학적 교육사상가
조선말기의 교육사상가
해방후의 교육사상가
그리스의 교육사상가
중세의 교육사상가
인문주의 교육사상가
실학주의 교육사상가
계몽주의의 교육사상가
본문내용
교육철학 및 교육사
Report
(삼국시대, 고려, 조선, 해방 후,
그리스, 로마, 중세, 인문주의, 실학주의, 계몽주의 교육사상가 조사)
삼국시대의 교육사상가
1. 원광 (542-640)
1) 교육이념 - 세속오계
2) 교욱적 인간상 - 힘과 슬기의 조화적 인간, 즉 문무겸비의 화랑이야 말로 이상적 인간 상이라고 보았다
3) 교육방법 - 신체적 단련과 정신적 수양의 방법으로 화랑도를 가르쳤다.
2. 원효 (617-686) (해동화엄종의 창시자)
1) 교육이념 - 화쟁의 논지는 불교경전의 부분을 통합하면 만류가 일미이며 불의 지공부 사함을 전개하념 백가의 이쟁이 그대로 살려져 화할 수 있다는 것이다.
2) 교육적 인간상 - 중도인 또는 주체적 의식인, 물질과 허무주의에 빠지지 않고 오직 중 도를 걷는 사람이야 말로 중요하다고 본다.
3) 교육방법 - 시청작적 방법은 그가 만든 무애가와 함께 노래부르며 거리로 다니면서 민중교화에 크게 이바지 하였다. 여기에서 무애란 사람은 한번 나면 죽는 다는 것을 의미한다.
※원효는 대중적으로 불교를 포교하기 위해 노력하였으며 해동엄종의 창시자 이다.
그의 교육 사상으로는 첫째, 유심연기의 사상이다. 교육의 참된 목적은 자기의 인간 됨 을 중시하고 더욱 더 인간다운 인간, 가치로운 인간이 되기 위한 양식을 스스로의 탐구 와 노력과 의지로써 체득하도록 해야한다는 원리이다. 이것은 타율적 모방적 학습보다 도 개인의 고유한 창의적 학습을 중요시한 교육사상으로서 자학자습에 의한 내적 자각 의 교육이론에 연결된다.
3. 설총
1) 교육이념 - 군왕교육의 이념을 ‘유덕선정’에 두었다.
2) 교육적 인간상 - 성장직인, 즉 남을 렇뜯지 않고 서로 힘을 합하여 왕응 돕고 경영 관 리에 있어 비상한 재는을 보일 수 있는 실력인을 말한다.
3) 교육방법 - 비유법적 교육방법, 화왕계(군왕교육사상)가 대표적인 예이다.
※설총은 원효를 아버지로 하고 요석공주를 어머니로 하여 태어났다. 그는 유교의 대표자 지만 그에 관한 기록은 오직 신문왕 대의 유명한 학자요, 특히 신라 10현의 한사람으로 만 전해지고 있다. 또 강수, 최치원과 더불어 신라 3문장 중의 1인으로 해동경학의 조 종으로 손꼽히고 있다. 그는 해동경학에 기여한 공으로 고려 현종 13년에 홍유후에 추 봉되고 문묘에 배향되었다. 그리고 경주의 서악서원에 제향되었다. 원효와 설총 부자는 신라에 있어서 불교와 유교의 양면을 대표하고 있었다. 설총의 저술은 많았겠지만 불행 히도 전해지는 것은 하나도 없다. 다만 삼국사기에 그가 지은 것으로 전해지는 한 이야 기만 기록으로 남아 있으니 이른바 화왕계 1편이다. 화왕계는 설총의 군주교육사상을 말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교육사상적인 면에서 본다면 퇴계의 성학십도, 율곡의 성학 집요와 같이 군주교육에 관한 것으로서 정신적 지주를 같이 한다고 하겠다.
* 삼국시대 교육사상가의 비교 표
고려의 교육사상가
1. 최충 (984-1068)
1) 교육이념 : 성인의 도
2) 교육적 인간상 : 6정신장
3) 교육 방법 : 계절에 따른 교육의 효과에 관심, 조교제 실시 (하과, 각촉부시)
2. 안향 (1243-1306)
1) 교육이념 : 인륜을 강조하면서 배불의 입장
2) 교육목적 : 일상생활의 실천의 도를 강조하였다.
3) 교육적 인간상 : 충, 효, 예, 신, 경, 성의 독목을 갖춘 도덕적 인간이다.
※그의 가장 중요한 공적은 섬학전 제도인데 이는 국학이 부진하고 재정이 곤란하여 교육 재정이 어려움을 지적하고 문무관리로부터 기부금을 모아 양현고 재정을 충당하여 장학 기금 설립 하였다. 안향이 우리의 교육사에서 차지하는 위치는 실로 다대하다. 생존시 에는 홍학양현에 힘
Report
(삼국시대, 고려, 조선, 해방 후,
그리스, 로마, 중세, 인문주의, 실학주의, 계몽주의 교육사상가 조사)
삼국시대의 교육사상가
1. 원광 (542-640)
1) 교육이념 - 세속오계
2) 교욱적 인간상 - 힘과 슬기의 조화적 인간, 즉 문무겸비의 화랑이야 말로 이상적 인간 상이라고 보았다
3) 교육방법 - 신체적 단련과 정신적 수양의 방법으로 화랑도를 가르쳤다.
2. 원효 (617-686) (해동화엄종의 창시자)
1) 교육이념 - 화쟁의 논지는 불교경전의 부분을 통합하면 만류가 일미이며 불의 지공부 사함을 전개하념 백가의 이쟁이 그대로 살려져 화할 수 있다는 것이다.
2) 교육적 인간상 - 중도인 또는 주체적 의식인, 물질과 허무주의에 빠지지 않고 오직 중 도를 걷는 사람이야 말로 중요하다고 본다.
3) 교육방법 - 시청작적 방법은 그가 만든 무애가와 함께 노래부르며 거리로 다니면서 민중교화에 크게 이바지 하였다. 여기에서 무애란 사람은 한번 나면 죽는 다는 것을 의미한다.
※원효는 대중적으로 불교를 포교하기 위해 노력하였으며 해동엄종의 창시자 이다.
그의 교육 사상으로는 첫째, 유심연기의 사상이다. 교육의 참된 목적은 자기의 인간 됨 을 중시하고 더욱 더 인간다운 인간, 가치로운 인간이 되기 위한 양식을 스스로의 탐구 와 노력과 의지로써 체득하도록 해야한다는 원리이다. 이것은 타율적 모방적 학습보다 도 개인의 고유한 창의적 학습을 중요시한 교육사상으로서 자학자습에 의한 내적 자각 의 교육이론에 연결된다.
3. 설총
1) 교육이념 - 군왕교육의 이념을 ‘유덕선정’에 두었다.
2) 교육적 인간상 - 성장직인, 즉 남을 렇뜯지 않고 서로 힘을 합하여 왕응 돕고 경영 관 리에 있어 비상한 재는을 보일 수 있는 실력인을 말한다.
3) 교육방법 - 비유법적 교육방법, 화왕계(군왕교육사상)가 대표적인 예이다.
※설총은 원효를 아버지로 하고 요석공주를 어머니로 하여 태어났다. 그는 유교의 대표자 지만 그에 관한 기록은 오직 신문왕 대의 유명한 학자요, 특히 신라 10현의 한사람으로 만 전해지고 있다. 또 강수, 최치원과 더불어 신라 3문장 중의 1인으로 해동경학의 조 종으로 손꼽히고 있다. 그는 해동경학에 기여한 공으로 고려 현종 13년에 홍유후에 추 봉되고 문묘에 배향되었다. 그리고 경주의 서악서원에 제향되었다. 원효와 설총 부자는 신라에 있어서 불교와 유교의 양면을 대표하고 있었다. 설총의 저술은 많았겠지만 불행 히도 전해지는 것은 하나도 없다. 다만 삼국사기에 그가 지은 것으로 전해지는 한 이야 기만 기록으로 남아 있으니 이른바 화왕계 1편이다. 화왕계는 설총의 군주교육사상을 말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교육사상적인 면에서 본다면 퇴계의 성학십도, 율곡의 성학 집요와 같이 군주교육에 관한 것으로서 정신적 지주를 같이 한다고 하겠다.
* 삼국시대 교육사상가의 비교 표
고려의 교육사상가
1. 최충 (984-1068)
1) 교육이념 : 성인의 도
2) 교육적 인간상 : 6정신장
3) 교육 방법 : 계절에 따른 교육의 효과에 관심, 조교제 실시 (하과, 각촉부시)
2. 안향 (1243-1306)
1) 교육이념 : 인륜을 강조하면서 배불의 입장
2) 교육목적 : 일상생활의 실천의 도를 강조하였다.
3) 교육적 인간상 : 충, 효, 예, 신, 경, 성의 독목을 갖춘 도덕적 인간이다.
※그의 가장 중요한 공적은 섬학전 제도인데 이는 국학이 부진하고 재정이 곤란하여 교육 재정이 어려움을 지적하고 문무관리로부터 기부금을 모아 양현고 재정을 충당하여 장학 기금 설립 하였다. 안향이 우리의 교육사에서 차지하는 위치는 실로 다대하다. 생존시 에는 홍학양현에 힘
추천자료
(유아교육철학및교육사E)놀이가 유아교육에 차지하는 비중을 교육철학자들의 입장을 빌려와 논의
[2020 교육철학및교육사 2A][출처표기] 아동중심 교육과 이것이 유아교육에서 의미하는 것이 ...
[교육철학및교육사 C형] 코메니우스의 교육사상과 그의 사상이 오늘날 유아교육에 주는 시사...
[교육철학및교육사 2021] 1. 포스트 모더니즘이 주장하는 교육관 2. 유아교육에 적용 3. 실천...
교육철학및교육사a ) 아동중심 교육과 이것이 유아교육에서 의미하는 것이 무엇인지 구체적으...
교육철학및교육사 ) 교육철학, 교사관, 배움관 등을 정리해 보는 문제입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