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청각장애아교육] 청각장애아의 교육적 조치(교수방법)
I. 구어·청각 교육법
1. 청능훈련
2. 발성·발어 지도
3. 독화지도
1) 독화의 개념
2) 독화 관련 변인
4. 발음 암시법
II. 종합적 의사소통법
1. 수화
2. 지화
III. 이중언어-이중문화 접근
* 참고문헌
I. 구어·청각 교육법
1. 청능훈련
2. 발성·발어 지도
3. 독화지도
1) 독화의 개념
2) 독화 관련 변인
4. 발음 암시법
II. 종합적 의사소통법
1. 수화
2. 지화
III. 이중언어-이중문화 접근
* 참고문헌
본문내용
제2언어로서의 수화 학습으로 구분할 수 있다.
모국어로서의 수화 학습에서는 완전하고 능숙한 수화 노출이 필요하고, 시각적인 지각 능력의 발달을 통한 수화소의 변별 능력을 높이고, 문법 표지로 비수지 신호를 이용하며, 다양한 어휘 학습법에 따른 지도가 중시된다.
제2언어로서의 수화 학습에서는 모국어 간섭, 농문화의 기반 취약, 일반적인 학습단계에서의 오류, 학습자의 개인적 요인을 고려해야 한다. 완전한 수화에 노출되도록 수화 모국어 사용자가 지도하면 더욱 효율적이다. 이를 위해 원어민 가정이나 언어 공동체 속에서 지내거나 집중훈련에 의한 경험, 언어 캠프나 축제, 언어 공동체 방문 등이 효율적이다.
(2) 지화
지화는 지문자를 사용하여 의사소통하는 것으로 지문자라고도 한다. 지문자는 손의 변형으로 문자의 자모와 숫자를 나타내는 것이다. 한국 지문자는 24개의 손 모양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은 한글 자모음을 나타낸다. 지문자는 모양은 있으나 의미가 없다는 점에서 수화의 기호와 구별된다. 수화의 각 기호는 모양과 의미를 가지고 있다.
III. 이중언어-이중문화 접근
\'이중언어-이중문화(bilingual-bicultural) 접근\'은 교실에서 교수를 위한 1차 언어로 수화를 채택하여 가르치는 것을 의미하며, 영어를 읽기와 쓰기를 위한 2차 언어로 가르친다. 이 접근에서는 농아동 중심의 교육, 사회, 문화를 인정하는 교육의 본질에 초점을 두고, 농아동 교육에 농인사회의 역사와 기여, 가치, 전통을 포함시킬 것을 주장한다. 즉, 이중언어-이중문화 접근은 \'두 가지 언어와 두 가지 문화를 배우는 것\'을 의미한다.
* 참고문헌
이상행동의 심리학 / 이현수, 이인혜 외 3명 저 / 대왕사 / 2012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발달심리학 : 신명희, 서은희 외 3명 저 / 2013 / 학지사
공중보건학 / 김낙상 저, 에듀팩토리, 2016
장애인복지의 이해 - 강영실 저, 신정/2016
성장발달과 건강 : 김태임, 김희순 외 3명 저 / 2014 / 교문사
발달심리학 : 신명희, 서은희 외 3명 저 / 2013 / 학지사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정신장애 사례연구 / 김청송 저 / 학지사 / 2002
알기 쉬운 공중보건학 / 이련리, 조갑연 외 4명 저, 효일, 2017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모국어로서의 수화 학습에서는 완전하고 능숙한 수화 노출이 필요하고, 시각적인 지각 능력의 발달을 통한 수화소의 변별 능력을 높이고, 문법 표지로 비수지 신호를 이용하며, 다양한 어휘 학습법에 따른 지도가 중시된다.
제2언어로서의 수화 학습에서는 모국어 간섭, 농문화의 기반 취약, 일반적인 학습단계에서의 오류, 학습자의 개인적 요인을 고려해야 한다. 완전한 수화에 노출되도록 수화 모국어 사용자가 지도하면 더욱 효율적이다. 이를 위해 원어민 가정이나 언어 공동체 속에서 지내거나 집중훈련에 의한 경험, 언어 캠프나 축제, 언어 공동체 방문 등이 효율적이다.
(2) 지화
지화는 지문자를 사용하여 의사소통하는 것으로 지문자라고도 한다. 지문자는 손의 변형으로 문자의 자모와 숫자를 나타내는 것이다. 한국 지문자는 24개의 손 모양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은 한글 자모음을 나타낸다. 지문자는 모양은 있으나 의미가 없다는 점에서 수화의 기호와 구별된다. 수화의 각 기호는 모양과 의미를 가지고 있다.
III. 이중언어-이중문화 접근
\'이중언어-이중문화(bilingual-bicultural) 접근\'은 교실에서 교수를 위한 1차 언어로 수화를 채택하여 가르치는 것을 의미하며, 영어를 읽기와 쓰기를 위한 2차 언어로 가르친다. 이 접근에서는 농아동 중심의 교육, 사회, 문화를 인정하는 교육의 본질에 초점을 두고, 농아동 교육에 농인사회의 역사와 기여, 가치, 전통을 포함시킬 것을 주장한다. 즉, 이중언어-이중문화 접근은 \'두 가지 언어와 두 가지 문화를 배우는 것\'을 의미한다.
* 참고문헌
이상행동의 심리학 / 이현수, 이인혜 외 3명 저 / 대왕사 / 2012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발달심리학 : 신명희, 서은희 외 3명 저 / 2013 / 학지사
공중보건학 / 김낙상 저, 에듀팩토리, 2016
장애인복지의 이해 - 강영실 저, 신정/2016
성장발달과 건강 : 김태임, 김희순 외 3명 저 / 2014 / 교문사
발달심리학 : 신명희, 서은희 외 3명 저 / 2013 / 학지사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정신장애 사례연구 / 김청송 저 / 학지사 / 2002
알기 쉬운 공중보건학 / 이련리, 조갑연 외 4명 저, 효일, 2017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키워드
추천자료
특수아의 분류 및 정의 또는 행동특성, 교육적조치
[특수교육][장애인교육][장애아교육]장애아동(특수아동)의 의미와 교육권, 정신지체아동의 교...
(아동행동연구) 아동의 지적장애(정신지체), 학습장애 보고서
우리나라 유아특수교육의 현황과 문제점 (유아특수교육의 개념, 필요성, 유아특수교육의 현황...
[2020 특수교육학개론4공통][정서 및 행동장애 선정] 1.발달지체에 대한 정의 및 진단, 발달...
[2020 특수교육학개론4공통][의사소통장애 선정] 1. 발달지체에 대한 정의 및 진단, 발달지체...
[2021 특수교육학개론][기말시험] 1.발달지체에 대한 개념, 발달지체 영유아 교수방법, 발달...
특수 교육학개론 기말 과제
시각장애아동의 교육적 조치(시각장애아 교육 및 지도중재방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