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본론
1. 사례연구 주제에 따른 문헌고찰
1) 해부학적 구조와 기능
2) 병태생리
3) 위험요인
4) 임상증상
5) 진단검사
6) 치료
7) 간호진단별 간호
2. 간호과정 사례연구
1) 간호사정
(1) 일반정보
(2) 간호력과 건강사정
① 간호력
② 건강사정
2) 진단검사
(1) 혈액검사
(2) 영상의학검사
(3) 기타 자료
3) 치료(약물, 수술 등)
4) 간호과정 적용
Ⅲ. 결론
Ⅳ. 참고문헌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본론
1. 사례연구 주제에 따른 문헌고찰
1) 해부학적 구조와 기능
2) 병태생리
3) 위험요인
4) 임상증상
5) 진단검사
6) 치료
7) 간호진단별 간호
2. 간호과정 사례연구
1) 간호사정
(1) 일반정보
(2) 간호력과 건강사정
① 간호력
② 건강사정
2) 진단검사
(1) 혈액검사
(2) 영상의학검사
(3) 기타 자료
3) 치료(약물, 수술 등)
4) 간호과정 적용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8
14:00
110/70
80
36.9
20
8/21
8:00
110/70
76
36.8
18
10:00
110/70
82
36.4
20
12:00
120/80
78
36.6
18
14:00
120/80
69
36.8
20
8/22
8:00
110/70
83
36.6
18
10:00
110/70
87
36.4
20
12:00
120/80
76
36.8
18
14:00
120/80
79
36.8
18
8/23
8:00
110/70
72
36.6
20
10:00
110/70
82
36.6
20
12:00
110/70
86
36.8
18
14:00
120/80
74
36.4
18
8/24
8:00
110/70
76
36.6
20
10:00
120/80
80
37.1
20
12:00
110/70
84
36.8
18
14:00
120/80
82
36.6
20
8/25
8:00
110/70
74
36.4
20
10:00
110/70
80
36.8
20
12:00
120/80
74
36.8
18
14:00
110/70
84
36.6
20
3. 피부상태, 모세혈관 충만 상태를 사정하였고 이상 증상이 관찰되지 않았다.
4. 호흡이 용이하도록 Semifowler’s position을 취해 주었다.
5. 산소분압 감소, CO2 분압 감소, 호흡근 피로 등 호흡부전의 징후가 관찰되었다.
6. 절대안정을 취하도록 하였다.
7. 흥분, 호흡기 억압, 졸림, 저산소, 부정맥, 무호흡 등 투약의 부작용이 관찰되지 않았다.
평가
1. 대상자는 1주일 이내에 산소포화도 95%를 유지한다. (달성)
2. 대상자는 3일 이내에 호흡곤란을 호소하지 않는다. (미달성)
3. 대상자는 3일 이내에 정상적인 호흡양상을 보인다. (미달성)
일 시
8월 24일
입원 후 ( 5 )일 / 수술 후 ( )일
사정
주관적 자료
“상의가 땀으로 젖어있어요.”
“손목이 빨개요.
객관적 자료
억제대 (+, 상지)
· 손발 축축한 피부
억제대 사용으로 인한 손목 피부 발진, 피부 탄력 저하
활동상태 사정 시 침상안정 대상자
간호진단
억제대 사용으로 인한 피부통합성장애의 위험
간호계획
<장기목표>
대상자는 퇴원 전까지 피부 손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단기목표>
대상자는 3일 이내에 손목 피부의 발적이 사라진다.
중재계획
계획
근거
2시간마다 피부통합성을 사정한다.
2. 위생, 배설, 영양 상태를 사정한다.
3. 억제대 적용 필요성을 24시간마다 재평가한다.
4. 2시간마다 체위를 변경한다.
5. 의복, 린넨을 건조하게 유지하고 주름이 없게 한다.
6. 정상체온을 유지하기 위해 간호를 실시한다.
1. 피부의 전반적인 상태를 알고 피부손상을 예방할 수 있다.
2. 피부가 청결하지 않을 경우 피부 발진 부위에 균이 침범해 더 큰 감염을 일으킬 수 있다.
3. 억제대를 대신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보고 억제대 사용을 최소화하여야 한다.
4. 올바른 체위변경은 피부의 압력을 감소시킨다.
5. 건조하고 주름 없는 의복은 마찰력을 감소시켜 피부손상을 예방할 수 있다.
6. 고체온은 피부손상의 위험도를 상승시킨다.
간호중재
2시간마다 피부통합성을 사정하였다.
2. 위생, 배설, 영양 상태를 사정하였다.
3. 억제대 적용 필요성을 24시간마다 재평가하였다.
4. 2시간마다 체위를 번갈아가며 변경해주었다.
5. 의복, 린넨을 건조하게 유지하고 주름이 없게 하였다.
6. 주기적으로 체온을 모니터링하고 정상체온 유지를 위한 간호를 실시하였다.
평가
1. 대상자는 퇴원 전까지 피부 손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달성)
2. 대상자는 3일 이내에 손목 피부의 발적이 사라진다. (달성)
일 시
8월 23일
입원 후 ( 4 )일 / 수술 후 ( )일
사정
주관적 자료
“침대에서 거의 움직이지 않아요.”
“아무것도 안하고 싶어요.”
객관적 자료
활동상태 사정 시 침상에서 거의 움직이지 않음이 관찰됨
수면을 하루 12시간 이상 하는 것이 관찰됨
간호진단
질병예후와 관련된 무력감
간호계획
<장기목표>
1. 퇴원 전까지 질병예후에 대해 긍정적인 생각을 가지고 무력감이 사라질 것이다.
<단기목표>
2. 2주일 이내에 수면이 10시간 이하로 감소될 것이다.
중재계획
계획
근거
1. 수면양상과 수면시간을 매일 사정하고,
수면 질 향상의 방법에 대해 교육한다.
2. 대상자의 활동 상태를 매일 사정한다.
3. 질병예후에 대해 긍정적으로 교육한다.
4. 정서적 지지를 해준다.
5. 치료적 의사소통을 한다.
1. 수면의 질이 낮아지면 일상생활에서의 무력감을 발생시킨다.
2. 저하된 활동 상태가 지속되면 무력감을 악화시킨다.
3. 질병에 대한 교육은 대상자의 불안을 완화시킬 수 있다.
4. 정서적 지지는 무력감을 완화시킨다.
5. 치료적인 의사소통은 대상자의 무력감을 완화시킨다.
간호중재
1. 수면양상과 수면시간을 매일 사정하였다.
- 매일 얕은 잠을 자며, 12시간의 수면을 취하여 수면의 질을 높일 수 있는
방법에 대해 교육하였다.
2. 대상자의 활동 상태를 매일 사정하였다.
- 매일 침상에서만 활동을 지속하였다.
3. 질병예후에 대해 긍정적으로 교육해주었다.
4. 정서적 지지를 해주었다.
5. 치료적 의사소통을 해주었다.
평가
수면시간의 변화가 없었으며, 질병예후에 대한 긍정적으로 변화가 없었으며 무력감이 사라지지 않았다.
5. 결론
코로나19로 인해 많은 병원들이 비대면 실습으로 진행되는데, 성인간호학실습(3)을 OO대학교병원 OO병동에서 대면으로 진행하게 되었다. 이번이 두 번째 OO대병원 실습이었다. 첫 실습 때는 V/S 측정도 미숙하였고 병원 구조도 어려워서 너무 막막하게 느껴졌는데, 두 번째 임상실습이라 자신감도 생기고 조금 여유로움이 생겼다. 이번 실습 주제가 심혈관계통이었는데 수업 시간에 아직 배우지 않은 부분이라 용어 등이 너무 생소했다. 심근경색을 앓고 있는 환자를 대상자로 선정하여 공부했는데, 여전히 어렵지만 수업 시간에 좀 더 집중해서 공부할 수 있는 동기부여가 되었다고 생각한다. 심근경색증 대상자에게 적절한 간호중재 방법을 알게 되었다.
<참고문헌>
수문사 성인간호학(2021)
고문사 비판적사고와 간호과정(2021)
국가건강정보포털 의학정보
14:00
110/70
80
36.9
20
8/21
8:00
110/70
76
36.8
18
10:00
110/70
82
36.4
20
12:00
120/80
78
36.6
18
14:00
120/80
69
36.8
20
8/22
8:00
110/70
83
36.6
18
10:00
110/70
87
36.4
20
12:00
120/80
76
36.8
18
14:00
120/80
79
36.8
18
8/23
8:00
110/70
72
36.6
20
10:00
110/70
82
36.6
20
12:00
110/70
86
36.8
18
14:00
120/80
74
36.4
18
8/24
8:00
110/70
76
36.6
20
10:00
120/80
80
37.1
20
12:00
110/70
84
36.8
18
14:00
120/80
82
36.6
20
8/25
8:00
110/70
74
36.4
20
10:00
110/70
80
36.8
20
12:00
120/80
74
36.8
18
14:00
110/70
84
36.6
20
3. 피부상태, 모세혈관 충만 상태를 사정하였고 이상 증상이 관찰되지 않았다.
4. 호흡이 용이하도록 Semifowler’s position을 취해 주었다.
5. 산소분압 감소, CO2 분압 감소, 호흡근 피로 등 호흡부전의 징후가 관찰되었다.
6. 절대안정을 취하도록 하였다.
7. 흥분, 호흡기 억압, 졸림, 저산소, 부정맥, 무호흡 등 투약의 부작용이 관찰되지 않았다.
평가
1. 대상자는 1주일 이내에 산소포화도 95%를 유지한다. (달성)
2. 대상자는 3일 이내에 호흡곤란을 호소하지 않는다. (미달성)
3. 대상자는 3일 이내에 정상적인 호흡양상을 보인다. (미달성)
일 시
8월 24일
입원 후 ( 5 )일 / 수술 후 ( )일
사정
주관적 자료
“상의가 땀으로 젖어있어요.”
“손목이 빨개요.
객관적 자료
억제대 (+, 상지)
· 손발 축축한 피부
억제대 사용으로 인한 손목 피부 발진, 피부 탄력 저하
활동상태 사정 시 침상안정 대상자
간호진단
억제대 사용으로 인한 피부통합성장애의 위험
간호계획
<장기목표>
대상자는 퇴원 전까지 피부 손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단기목표>
대상자는 3일 이내에 손목 피부의 발적이 사라진다.
중재계획
계획
근거
2시간마다 피부통합성을 사정한다.
2. 위생, 배설, 영양 상태를 사정한다.
3. 억제대 적용 필요성을 24시간마다 재평가한다.
4. 2시간마다 체위를 변경한다.
5. 의복, 린넨을 건조하게 유지하고 주름이 없게 한다.
6. 정상체온을 유지하기 위해 간호를 실시한다.
1. 피부의 전반적인 상태를 알고 피부손상을 예방할 수 있다.
2. 피부가 청결하지 않을 경우 피부 발진 부위에 균이 침범해 더 큰 감염을 일으킬 수 있다.
3. 억제대를 대신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보고 억제대 사용을 최소화하여야 한다.
4. 올바른 체위변경은 피부의 압력을 감소시킨다.
5. 건조하고 주름 없는 의복은 마찰력을 감소시켜 피부손상을 예방할 수 있다.
6. 고체온은 피부손상의 위험도를 상승시킨다.
간호중재
2시간마다 피부통합성을 사정하였다.
2. 위생, 배설, 영양 상태를 사정하였다.
3. 억제대 적용 필요성을 24시간마다 재평가하였다.
4. 2시간마다 체위를 번갈아가며 변경해주었다.
5. 의복, 린넨을 건조하게 유지하고 주름이 없게 하였다.
6. 주기적으로 체온을 모니터링하고 정상체온 유지를 위한 간호를 실시하였다.
평가
1. 대상자는 퇴원 전까지 피부 손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달성)
2. 대상자는 3일 이내에 손목 피부의 발적이 사라진다. (달성)
일 시
8월 23일
입원 후 ( 4 )일 / 수술 후 ( )일
사정
주관적 자료
“침대에서 거의 움직이지 않아요.”
“아무것도 안하고 싶어요.”
객관적 자료
활동상태 사정 시 침상에서 거의 움직이지 않음이 관찰됨
수면을 하루 12시간 이상 하는 것이 관찰됨
간호진단
질병예후와 관련된 무력감
간호계획
<장기목표>
1. 퇴원 전까지 질병예후에 대해 긍정적인 생각을 가지고 무력감이 사라질 것이다.
<단기목표>
2. 2주일 이내에 수면이 10시간 이하로 감소될 것이다.
중재계획
계획
근거
1. 수면양상과 수면시간을 매일 사정하고,
수면 질 향상의 방법에 대해 교육한다.
2. 대상자의 활동 상태를 매일 사정한다.
3. 질병예후에 대해 긍정적으로 교육한다.
4. 정서적 지지를 해준다.
5. 치료적 의사소통을 한다.
1. 수면의 질이 낮아지면 일상생활에서의 무력감을 발생시킨다.
2. 저하된 활동 상태가 지속되면 무력감을 악화시킨다.
3. 질병에 대한 교육은 대상자의 불안을 완화시킬 수 있다.
4. 정서적 지지는 무력감을 완화시킨다.
5. 치료적인 의사소통은 대상자의 무력감을 완화시킨다.
간호중재
1. 수면양상과 수면시간을 매일 사정하였다.
- 매일 얕은 잠을 자며, 12시간의 수면을 취하여 수면의 질을 높일 수 있는
방법에 대해 교육하였다.
2. 대상자의 활동 상태를 매일 사정하였다.
- 매일 침상에서만 활동을 지속하였다.
3. 질병예후에 대해 긍정적으로 교육해주었다.
4. 정서적 지지를 해주었다.
5. 치료적 의사소통을 해주었다.
평가
수면시간의 변화가 없었으며, 질병예후에 대한 긍정적으로 변화가 없었으며 무력감이 사라지지 않았다.
5. 결론
코로나19로 인해 많은 병원들이 비대면 실습으로 진행되는데, 성인간호학실습(3)을 OO대학교병원 OO병동에서 대면으로 진행하게 되었다. 이번이 두 번째 OO대병원 실습이었다. 첫 실습 때는 V/S 측정도 미숙하였고 병원 구조도 어려워서 너무 막막하게 느껴졌는데, 두 번째 임상실습이라 자신감도 생기고 조금 여유로움이 생겼다. 이번 실습 주제가 심혈관계통이었는데 수업 시간에 아직 배우지 않은 부분이라 용어 등이 너무 생소했다. 심근경색을 앓고 있는 환자를 대상자로 선정하여 공부했는데, 여전히 어렵지만 수업 시간에 좀 더 집중해서 공부할 수 있는 동기부여가 되었다고 생각한다. 심근경색증 대상자에게 적절한 간호중재 방법을 알게 되었다.
<참고문헌>
수문사 성인간호학(2021)
고문사 비판적사고와 간호과정(2021)
국가건강정보포털 의학정보
추천자료
병태생리 관련
급성 심근경색(Acute Myocardial Infarction) 케이스스터디
급성심근경색, MI A+받은 특급자료입니다!!!!!!!! - 급성 심근 경색 AMI : Acute Myocardial ...
ICU case study, Acute Myocardiac Infarction, AMI 케이스 스터디, 중환자실 케이스스터디, ...
급성심근경색증(Acute myocardial infarction) 케이스 스터디 - 급성심근경색 급성심근경색 ...
급성심근경색증(acute myocardial infarction AMI) 케이스 스터디
a++ 칭찬받은 과제 성인간호 실습 급성 심근경색증(acute myocardial infarction) 케이스 발...
[A+] 성인간호학실습 급성심근경색증 Acute myocardial infarction 간호진단 2개 간호과정 2...
[간호학과] [성인간호학실습] [A+받은과제] Adult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ARDS 급성...
소개글